1 / 1
" 나노 물체"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르면 '나노기술-정적다중광산란(static multiple light scattering, SMLS)에 의한 액체 분산에서 나노 물체의 평균 크기 평가에 관한 ISO/TS 21357:2022 표준을 발표했다.이 표준은 SMLS 기술을 사용해 액체에 분산된 입자나 액적, 기포 등 나노 물체의 평균(구형) 등가 직경을 결정하기 위한 지침 및 요구 사항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다양한 재료에 적용 가능하며 농축된 시료의 희석이 필요하지 않다. 액체에서 나노 입자의 분산은 산업계 전반에서 사용되고 있다. 액체에 분산된 나노입자는 1차 입자, 덩어리, 응집체 등 물체의 응집이나 결집체로 이어질 수 있는 강약의 다양한 힘을 통해 상호작용한다.분산상태나 겉모양의 평균 입자 크기, 크기 분포는 제품제조, 보관, 가공중, 특히 샘플 희석이나 광범위한 준비가 필요한 측정을 사용할 때 결정된 것과 다를 수 있다. 시료 준비로 인해 응집체 또는 덩어리가 깨지거나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입자의 형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따라서 산업 이해 관계자들은 제품 개발과 품질 관리, 규정 준수를 위해 원래 상태의 분산액에 적용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을 요구한다.정적다중광산란(SMLS) 기반 측정 방법은 이 문서에 설명된 제한 사항 내에서 분산의 기본상태로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을 직접 측정할 수 있어 샘플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 표준의 범위를 넘어 SMLS는 응집 또는 결집 과정 때문에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의 시간적 변화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이 표준은 SMLS 기반 방법을 사용해 광범위한 농도를 갖는 다양한 샘플 유형(수령된 샘플 포함)에서 평균 등가 입자 직경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ISO/TS 21357:2022 표준은 ▶Introduction ▶Scope ▶Normative references ▶Terms and definitions ▶Symbols and abbreviated terms ▶Principles ▶Relevant theory ▶Key measurands ▶Method applicability and limitations ▶Method characteristics 등으로 구성돼 있다.또한 ▶Apparatus ▶Measurement procedure ▶Instrument preparation ▶Sample handling ▶System settings ▶Performance qualification ▶Data record ▶Measurement uncertainty ▶Annex ▶Bibliography 등을 포함한다.▲ 국제표준화기구(ISO) 홈페이지
-
2022-01-11미국 드렉셀대(Drexel University)의 연구에 따르면 사물인터넷(IoT)과 나노기술의 통합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나노기술 기반의 특별한 장점은 사물인터넷(IoT) 기기 제작 기술에 있다. 드렉셀대 연구원들은 '티타늄 카바이드 나노안테나' 를 개발했다.티타늄 카바이드 나노안테나는 무게나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간단한 원스텝 공정으로 어떤 물체에든 직접 분사할 수 있어 대상 물체를 빠르게 스마트 사물인터넷(IoT) 기기로 전환할 수 있다.사물인터넷(IoT)은 센서, 안테나, 프로세서, 소프트웨어 및 기타 기술이 내장된 상호 연관된 물리적 객체들의 시스템이다. 제약산업에서부터 유도 미사일에 이르기까지 사물인터넷(IoT)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범위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2025년 사물인터넷(IoT) 연결 장치 수에 대한 예측은 다음과 같은데, 생성되는 데이터 량은 수백 제타바이트, 설치장비는 750억개로 최고조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드렉셀대(Drexel University)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