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3dprinting"으로 검색하여,
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네덜란드 3D 프린팅업체인 얼티메이커(Ultimaker)에 따르면 정보 보안 관리에 대한 SO/IEC 2700 국제 표준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ISO/IEC 27001 인증은 회사의 비즈니스 전반에 적용하는 보안 정책 및 프로세스의 엄격함과 강력함을 보증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표준 인증을 통해 얼티메이커는 고객 보안에 대한 강한 의지를 증명한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정보보안에 대해 독립적으로 인증된 최초의 3D 프린팅 플랫폼 중 하나로 평가된다. 얼티메이커는 3D 프린팅 플랫폼 전반에 걸쳐 엄격한 보안 절차와 프로토콜을 구현하기 위해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또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유지 관리할 때 고객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고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얼티메이커의 고객은 국제적으로 인정된 기업 보안 국제 표준에 따라 관리된다는 확신을 갖고 얼티메이커의 소프트웨어 제품 및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참고로 ISO/IEC 27000 제품군에는 12개 이상의 표준이 있다. 이를 사용하면 모든 종류의 조직에서 재무 정보, 지적 재산, 직원 세부 정보 또는 제3자가 위탁한 정보와 같은 자산의 보안을 관리할 수 있다.특히 ISO/IEC 27000:2018은 정보보안 관리 시스템(ISMS)의 개요를 제공하며 ISMS 표준 제품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와 정의를 제공한다. 다만 ISMS 표준군 내에서 적용되는 모든 용어와 정의를 다루는 것은 아니다.▲ 얼티메이커(Ultimaker)의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
2019-11-18독일 레이저스캔 솔루션 제조업체인 스캔랩(SCANLAB GmbH)에 따르면 '폼넥스트(formnext) 2019'에서 다양한 센서를 읽는 스마트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스캔 시스템 제어 확장기능을 공개할 방침이다.특히 스캔랩은 3D 프린팅을 위해 'Open Interface Extension'을 공개할 예정이다. 지능형 인터페이스의 이 기능 모델은 센서 데이터를 스캔 시스템 제어에 통합할 수 있다.특히 전시회 시연자는 통합 센서의 범위가 얼마나 다양한지를 밝힐 예정이다. 폼넥스트 2019는 2019년 11월 19일부터 11월 22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는 3D 프린팅 박람회이다.스캔랩은 프로세스 센서 전문 지식을 강조하고 있다. 적층가공 사용자는 중앙 집중식 공정 데이터를 균일하게 쿼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상당한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특히 생산공정 중 측정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것은 품질 관리 및 제품 추적성에 있어서 점점 더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센서 데이터를 동기화된 스캐너 동작과 통합하는 것은 미래의 고객별 솔루션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 Germany-ScanLab-3Dprinting▲ 스캔랩(SCANLAB GmbH)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마켓리서치 기관인 리서치앤마켓닷컴(ResearchAndMarkets.com)에 따르면 글로벌 항공우주 3D 프린팅 시장(Global Aerospace 3D Printing Market)이 2024년까지 $2억 6,800만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CAGR 15 % 이상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항공우주 3D 프린팅 시장은 2018년 약 $1억 6,400만 달러의 가치를 기록했었다.3D 프린팅은 배출량 감소, 재료 사용 감소 및 연비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3D 프린팅은 전체 원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항공산업에서 사용되는 부품 및 부품을 커스터마이즈해 3D 프린팅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지역적으로, 항공우주 3D 프린팅 시장은 북미, 유럽, 남미 및 중동 및 아프리카를 포함한 다양한 지역으로 성장하고 있다.특히 북미 시장은 항공우주산업에서 3D 프린팅 기술의 채택률이 높기 때문에 2024년까지 상당한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USA-GlobalAerospace3DPrintingMarket-3D▲ 리서치앤마켓닷컴(ResearchAndMarkets.com)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영국 적층가공업체인 FDM Digital Solutions는 국내 항공우주산업에 PEEK의 3D 프린팅 도입했다. Roboze의 퓨전 필라멘트 기술에 대한 투자와 병행했다.EEK는 성공적인 생산을 위해 매우 특수화된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에 3D 프린팅이 어려운 열가소성 수지이다. Roboze는 450 °C 이상의 온도에 도달 할 수 있는 HVP(고점도 폴리머) 압출기를 개발했다.FDM Digital Solutions은 적층가공에서 생산된 부품에 훨씬 더 정확한 정확성을 부여하는 혁신적인 Beltless 기계를 사용한다.이와 같은 3D 프린팅의 힘과 PEEK의 내구성을 결합하면 우주 분야에서 많은 새로운 고 부가가치 어플리케이션을 열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3D 프린팅은 우주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조 공정으로 평가 받고 있다. 3D 프린팅 응용분야가 확대되면서 다양한 산업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UK-FDMdigitalSolutions-3Dprinting▲ FDM Digital Solution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캐나다 청소 로봇 제조업체인 아비드봇(Avidbots)에 따르면 시리즈 B 파이낸싱(Series B financing)을 통해 $2360만 달러를 유치했다. 미국의 벤처 캐피털 회사인 트루벤쳐스(True Ventures)에 의해 진행됐다.GGV Capital, SOSV, Real Ventures, 500 Startups Canada 등 기존 투자자와 Next47, BDC Capital 및 KCPL을 포함한 신규 투자자가 참여했다. 아비드봇은 온타리오주 키치너시(Kitchener, Ontario-based)에 위치해있다. 미국 국립 적층가공 혁신기관인 아메리카메이크(America Makes)에 따르면 3D 프린팅 연구 및 응용을 위한 두번째 위성센터를 개설했다. 센터는 Texas A&M University System의 일부인 Texas A&M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TEES)에 위치해 있다.아메리카메이크는 미국의 선진 가공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기관 및 단체와 함께 미국 국방부에 의해 설립됐다. 즉 아메리카메이크는 적층가공 USA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적층가공 기술의 신속한 도입을 담당한다. 캐나다 3D 프린팅 업체인 Formi3DP에 따르면 연방정부로부터 $ 15만달러의 자금을 유치했다. 혁신 솔루션 캐나다(Innovative Solutions Canada) 프로그램의 일환이다.투자금은 새로운 건축자재, 설계도구 및 연결된 차량을 개발할 때 주파수 선택적 엔지니어링 표면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에 사용할 방침이다.▲ Formi3D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4-04캐나다 3D 프린팅 업체인 Formi3DP에 따르면 연방정부로부터 $ 15만달러의 자금을 유치했다. 혁신 솔루션 캐나다(Innovative Solutions Canada) 프로그램의 일환이다.투자금은 새로운 건축자재, 설계도구 및 연결된 차량을 개발할 때 주파수 선택적 엔지니어링 표면을 통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에 사용할 방침이다.기술의 설계와 관련된 와이파이(Wi-Fi) 및 무선 주파수의 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2018년 12 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3곳의 3D 개발 스타트업 기업이 총 40만달러 이상을 받았다.참고로 해당 프로그램은 여성, 원주민 및 소수그룹이 이끄는 사업자를 지원한다. 2017년 예산이 처음 발표됐으며 5년 동안 연간 1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Canada-Formi3DP-3dPrinting▲ Formi3DP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4-01미국 국립 적층가공 혁신기관인 아메리카메이크(America Makes)에 따르면 3D 프린팅 연구 및 응용을 위한 두번째 위성센터를 개설했다. 센터는 Texas A&M University System의 일부인 Texas A&M Engineering Experiment Station(TEES)에 위치해 있다.아메리카메이크는 미국의 선진 가공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른 기관 및 단체와 함께 미국 국방부에 의해 설립됐다. 즉 아메리카메이크는 적층가공 USA 네트워크의 일환으로 적층가공 기술의 신속한 도입을 담당한다.미국은 2015년 엘파소 텍사스대학교의 켁 센터(Keck Center)에 최초의 위성센터를 오픈한 바 있다. 해당 센터는 3D 기술혁신에 중점을 둔 종합전문시설이다.이번에 개설된 두번째 위성센터는 미국의 적층가공 기술을 더욱 진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글로벌 수준의 엔지니어링 연구기관을 포함하도록 위성센터 네트워크를 확장했기 때문이다.특히 공동 목표의 시너지 효과를 이용해 혁신을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정부는 3D 프린팅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대규모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USA-AmericaMakes-3Dprinting▲아메리카메이크(America Makes)의 최초 위성 센터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3-29캐나다 맥마스터대(McMaster University)에 따르면 자성체를 사용해 3D 세포 클러스터를 빠르게 프린팅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특히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인공 종양을 만드는 방법도 완성했다.현재 인간의 건강을 연구하기 위한 테스트는 매우 비싸고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질병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실험실 환경에서 수행된다.신체의 여러 조건을 모방한 현실적인 3D 세포 클러스터를 제작할 수 있다면 테스트에서 동물을 사용하지 않을수도 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세포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의 자기적(magnetic) 특성을 사용했다.연구팀은 자성 염수화물(magnetic salt hydrate)인 Gd-DTPA가 함유된 세포 배양 배지에 인간의 유방암 세포를 유지시켰다. 대부분의 세포와 마찬가지로 이 유방암 세포는 FDA 승인 MRI 조영제인 Gd-DTPA보다 훨씬 약하게 자성체에 의해 이끌린다.이에 따라 자기장이 가해질 때, 염화 수화물은 자성체쪽으로 이동하여 세포를 최소 자기장 강도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시킬수 있다. 이것이 3D 세포 클러스터 형성의 시드(Seed)를 만들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결과적으로 연구팀은 6시간 안에 3D 암 종양을 프린팅했다. 이와같이 암세포를 함유한 종양이 3D프린팅을 통해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인공종양의 약물반응에 대한 테스트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많은 수의 실험이 수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머지 않아 동물을 대상으로 한 약물실험이 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Canada-McMasterUniversity-3Dprinting▲ 맥마스터대(McMaster University)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2-28일본 기술기업인 이리츠(株式会社イリス)에 따르면 이탈리아 3D 프린터 제조업체인 로보제(Roboze)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로보제의 3D 프린팅 기술을 일본에 제공받기 위한 목적이다.이리츠는 자동차 산업, 우주 항공 및 전자 산업 분야에서의 아시아 지역의 공급업자 또는 기술기업으로 평가 받고 있다. 이리츠는 고객의 생산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적층가공 기술을 공급하기를 희망하고 있다.로보제는 3D 프린터의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예정이다. 자체 개발한 3D 프린터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PEEK, Carbon PA, TPE 및 ABS에서 부품을 프린팅할 수 있다.로보제는 고온 복합재료 및 초고분자로 3D 프린팅할 수 있는 전자장치, 자동차 및 우주 항공분야에서 기술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예를 들어 이리츠는 자동차, 항공 우주 및 전자 분야의 고객에게 어셈블리 라인 및 극한 요구조건의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완성품을 생산할 수 있다. 로보제로부터 제공된 복합 소재 및 고온 슈퍼 폴리머용 3D 프린터 덕분이다.참고로 로보제는 양사의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비즈니스의 핵심 영역에서 3D 프린팅 기술을 전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Japan-KKIRISU-3Dprinting▲ 이리츠(株式会社イリス)의 대형 3D프린터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1-17프랑스 한정판 오토바이 제조업체인 비바(VIBA)에 따르면 3D프린트된 부품을 사용해 고전적인 오토바이를 재설계했다. 이 프로젝트는 독일의 금속 3D프린팅 전문업체인 SLM solutions 및 Rolf Lenk와 공동으로 진행됐다.비바의 3D프린팅된 오토바이는 제인(Jane)이라는 이름으로 명명됐다. 제인 오토바이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인기가 있는 혼다 Z시리즈 오토바이에서 영감을 얻었다. 혼다 Z50A, Z50M, Z50J와 같은 모델이 포함된다.제인 오토바이는 다수의 3D프린팅 부품들로 구성된다. 이 부품들은 3D프린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인 AlSi10Mg 금속으로 제작됐다. AlSi10Mg 금속은 가볍고 열 속성이 좋다.3D프린팅 프로세스을 이용해 제인 오토바이의 모든 부품을 인쇄하는 데 60시간 이상이 걸렸다. 특히 연료 탱크는 SLM 800 3D 프린터에서 프린팅 시간이 20시간 이상 소요됐다.3대의 SLM 프린터가 제인 오토바이의 5개 부품을 만드는데 투입됐다. 제인 오토바이는 디자인과 효율성 모두를 만족하도록 설계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France-Viba-3Dprinting-motorbike▲ 비바(Viba)의 제인 오토바이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