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Abstract"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3-11-15▲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암호화 알고리즘(cryptographic algorithms)은 텍스트를 인코딩하고 읽을 수 없도록 만드는 수학 기반 프로세스다. 암호화 알고리즘은 데이터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 인증을 제공할 뿐 아니라 디지털 서명, 기타 보안 목적으로 사용된다.암호화 알고리즘에는 양방향 알고리즘과 단방향 알고리즘이 있다. 전자인 양방향 알고리즘은 암호화 된 암호문을 복호화할 수 있으나 단방향 알고리즘은 복호화가 불가능하다.암호화·복호화 시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대칭키(비공개키) 방식과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비대칭키(공개키) 방식은 양방향 알고리즘에 해당된다. 해시(Hash) 방식은 단방향 알고리즘의 대표적인 예다.대칭키 알고리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DES(Data Encryption Standard)와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다. 비대칭 키 알고리즘은 RSA(Rivest-Shamir-Adleman) 및 ECC(타원 곡선 암호화) 등이 있다.참고로 타원곡선 암호화(ECC)는 암호화 및 디지털 서명에 적용되는 타원 곡선 사용을 기반으로 하는 비대칭 키 기술이다.ECC 기술을 사용하면 더 빠르고, 더 작고, 더 효율적인 암호화 키를 만들 수 있다. 다중 부분 표준 ISO/IEC 15946에서 다룬다.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정보사회의 건전성을 보장할 암호화는 △엔티티 인증(entity authentication)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 △부인 방지(non-repudiation) △경량 암호화(Lightweight cryptography) △디지털 권한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전자상거래(e-commerce) 및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 △암호화폐(cryptocurrency) 및 블록체인(blockchain) 등에 활용된다.엔티티 인증, 디지털 서명, 부인 방지에 이어 네 번째는 경량 암호화(Lightweight cryptography)이다. 컴퓨터 계산 복잡성이 제한된 응용 프로그램 및 기술에 사용된다.제한 요소는 메모리, 전력, 컴퓨팅 리소스 등이다.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a, IoT) 센서 또는 스마트 홈에서 기기를 켜는 장치와 같은 액추에이터 등 제한된 장치는 경량 대칭 암호화를 활용한다.현대 디지털 세계에서 경량 암호화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ISO/IEC 29192는 경량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다양한 암호화 기술을 지정하는 8개 부분으로 표준이 구성됐다.다섯 번째 디지털 권한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는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DRM은 암호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승인된 사용자만 자료에 접근하고 수정 및 배포하도록 허용한다.여섯 번째 전자상거래(e-commerce) 및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은 비대칭 키 암호화를 사용해 안전한 전자상거래가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암호화폐는 신용카드 정보 및 관련 개인정보 뿐 아니라 고객의 구매 내역, 거래 내역을 보호하며 온라인 쇼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일곱 번째 암호화폐(cryptocurrency) 및 블록체인(blockchain)의 경우 암호화 기술을 사용해 거래를 보호하는 디지털 통화를 암호화폐라고 말한다.각 암호화폐 코인은 분산 원장 기술(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DLTs, 예, 블록체인)을 통해 검증된다. 원장은 암호화를 사용해 서로 연결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기록의 목록(블록)을 의미한다.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정보사회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암호화(Cryptography)는 정보보안의 핵심 원칙인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중 기밀성과 무결성을 확보하는데 매우 중요한 도구다.데이터 기밀성은 데이터가 승인되지 않은 당사자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암호화와 같은 암호화 기술은 데이터 기밀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정당한 해독 키(key)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데이터를 읽을 수 없다.데이터 무결성은 데이터가 변조되거나 손상되지 않았음을 확인해준다. 데이터 무결성과 관련된 국제표준 ISO/IEC 9797은 메시지 인증 코드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지정한다.암호화는 주요 정보 보안 목표 외에도 △엔티티 인증(entity authentication)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 △부인 방지(non-repudiation) △경량 암호화(Lightweight cryptography) △디지털 권한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전자상거래(e-commerce) 및 온라인 쇼핑(online shopping) △암호화폐(cryptocurrency) 및 블록체인(blockchain) 등에도 사용되고 있다.첫 번째, 엔티티 인증(entity authentication)은 비밀에 대한 지식을 확인해 발신자의 신원을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ISO/IEC 9798는 엔티티 인증 및 프로토콜, 기술 등을 지정하는 일련의 국제표준이다.이를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암호화 기반 메커니즘과 프로토콜이 있다. 대칭 시스템(symmetric systems),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 영지식 기술(zero-knowledge techniques), 체크섬(checksums) 등이 대표적이다.두 번째, 디지털 서명(digital signatures)은 데이터가 서명자로부터 생성됐으며 변경되지 않았음을 확인함으로서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디지털 서명은 이메일 메시지, 전자 문서, 온라인 결제 등에 활용된다.디지털 서명 체계를 지정하는 국제표준에는 ISO/IEC 9796, ISO/IEC 14888, ISO/IEC18370, ISO/IEC 20008 등이 있다.세 번째, 부인 방지(non-repudiation)는 디지털 서명과 같은 암호화 기술을 사용해 메시지를 보낸 사람과 받은 사람이 각각 메시지슬 수발신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 없도록해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부인 방지에는 송신 부인 방지, 송달 부인 방지, 수신 부인 방지 등이 있다. 표준 ISO/IEC 13888은 부인 방지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 즉대칭 및 비대칭 기술을 설명한다.
-
2023-09-13▲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암호화(Cryptography)는 오늘날 저장소의 데이터와 안전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기술과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기술 및 알고리즘에는 수학, 컴퓨터 과학, 전자 및 디지털 신호 처리 등이 활용된다.광범위하게 말하면 암호화 시스템에는 △대칭키 암호화 또는 비밀 키(Symmetric-key cryptography or secret key) △비대칭키 암호화 또는 공개키(Asymmetric-key cryptography or public key) △암호화 키 관리(Cryptographic key management) △암호화 해시 함수(Cryptographic hash function) 등 4가지 유형이 있다.첫째, 대칭키 암호화 또는 비밀 키(Symmetric-key cryptography or secret key) 유형의 시스템은 메시지 발신자와 수신자 모두 동일한 키가 공유된다. 메시지를 암호화하거나 해독하기 위해 활용된다.둘째, 비대칭키 암호화 또는 공개키(Asymmetric-key cryptography or public key) 유형의 시스템은 공개키와 개인키 등 2개의 키가 있다. 쌍으로 구성돼 있으며 수학적으로 연관돼 있다.비대칭 암호화를 적용하기 위해 발신자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기 위해 지정된 수신자의 공개키를 사용하고 암호화된 메시지를 보낸다.메시지가 도착하면 수신자의 개인 키를 사용해야만 메시지를 해독할 수 있다. 해당 개인 키가 없으면 해킹된 메시지는 해커에게도 무용지물이다.암호화 메커니즘은 다양한 비대칭 암호를 지정하는 국제표준 모음인 ISO/IEC18033의 핵심이다. 멀티파트 시리즈에는 ID 기반 암호, 블록 암호, 스트림 암호 및 동형 암호화가 포함돼 있다.셋째, 암호화 키 관리(Cryptographic key management) 유형의 시스템은 대칭 및 비대칭 암호화에 사용되는 키를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여기에는 생성, 교환 및 배포, 저장, 사용, 안전한 파기 및 교체를 포함해 키의 전체 수명주기(life cycle)를 포괄하는 일련의 프로세스가 정돈돼 있다.키 관리가 부실하면 암호화된 데이터의 보호도 약해진다. 따라서 키 관리 및 키 생성과 관련된 국제표준이 다수 있다. 예를 들면 키관리 표준은 ISO/IEC 11770, 키 생성 표준에는 ISO/IEC18031 및 ISO/IEC18032 등이다.넷째, 암호화 해시 함수(Cryptographic hash function)는 어떤 길이의 데이터 문자열을 고정 길이의 해시된 출력(입력된 요약문)으로 변환하는 기술이다.해시 함수에는 디지털 서명, 메시지 인증 코드(message authentication codes, MACs), 테이터 손상 확인을 위한 체크섬(checksums)과 같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 해시 함수를 지정하는 국제표준은 ISO/IEC 9797-2, ISO/IEC 9797-3, ISO/IEC10118 등이다.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암호화(encryption, 暗號化)는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형식에서 이해할 수 없는 형식으로 뒤섞는 암호화 프로세스를 말한다.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암호화는 비밀 또는 개인 메시지를 암호 텍스트로 보내기 위한 방식이다. 암호화는 군사 비밀의 유지부터 금융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정보보안을 위한 코드와 암호가 사용돼 저장 중이거나 전송 중인 민감한 상업 정보에 대한 무단 접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모든 정보를 암호화한다.개인정보 보호, 데이터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 및 인증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거래 대부분이 온라인으로 처리될 뿐 아니라 개인적이고 직업적인 의사소통 역시 온라인으로 이뤄지며 암호화는 더욱 중요해졌다.참고로 승인된 수신자가 암호 텍스트를 수신받아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다시 해독하는 것을 암호해독(descrambling or decryption)이라 한다. 제3자가 읽지 못하도록 방지하기 위해 암호화 키를 사용해 수행된다.
-
▲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 [출처=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46 정보 및 문서(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관련 기술위원회는 TC1, TC2, TC4~TC6, TC8, TC10~TC12, TC14, TC17~TC22, TC24~31, TC33~TC39, TC41~TC45와 동일하게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프랑스 표준화협회(Association Française de Normalisation, AFNOR)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헬렌 슈(Mme Hélène Xu)가 책임진다. 의장은 그레고리 미우라(Mr Gregory Miura)으로 임기는 2028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패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마사사 카산토산(Mrs Martha Casantosa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도서관, 문서 및 정보 센터, 출판, 기록 보관소, 기록 관리, 박물관 문서, 색인 및 요약 서비스, 정보 과학과 관련된 관행의 표준화다.현재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된 표준은 35개, ISO/TC 46과 관련해 발행된 ISO 표준은 128개다. ISO/TC 46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4개며 ISO/TC 46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2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42명, 참관 회원은 32명이다.□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 15개 목록▲ISO 8:2019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Pres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periodicals▲ISO 9:1995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ISO 18:1981 Documentation — Contents list of periodicals▲ISO 214:1976 Documentation — Abstracts for publications and documentation▲ISO 215:1986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contributions to periodicals and other serials▲ISO 233-2:199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33-3:2023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3: Persian language — Transliteration▲ISO 233: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259-2:1994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 259:1984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Hebrew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843:199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Conversion of Greek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ISO 1086:199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itle leaves of books▲ISO 2145:1978 Documentation — Numbering of divisions and subdivisions in written documents▲ISO 2384:1977 Documentation — Presentation of translations▲ISO 3166-1:2020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names of countries and their subdivisions — Part 1: Country code□ ISO/TC 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 4개 목록▲ISO 9:1995/DAmd 1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Cyrill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Slavic and non-Slavic languages — Amendment 1▲ISO/AWI 233-1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1: Arabic language — Transliteration▲ISO/AWI 233-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Transliteration of Arabic characters into Latin characters — Part 2: Arabic language — Simplified transliteration▲ISO/AWI 5127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Foundation and vocabulary□ ISO/TC 45 사무국의 소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46/SC 4 Technical interoperability ; 발행된 표준 24개, 개발 중인 표준 5개▲ISO/TC 46/SC 8 Quality - Statistics and performance evalu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9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 ; 발행된 표준 26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46/SC 10 Requirements for document storage and conditions for preservation ; 발행된 표준 12개, 개발 중인 표준 3개▲ISO/TC 46/SC 11 Archives/records management ; 발행된 표준 19개, 개발 중인 표준 4개
-
2023-04-07▲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미국 특허 명세서에서 "공개의 요약(Abstract)"은 명세서의 청구범위 바로 다음에 위치한다. 특허 청구 범위가 아닌 명세서에 공개된 내용과 관련된다."공개의 요약"의 목적은 일반인과 미국 특허청이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대한 본질과 요점을 검토해 실시 가능성 여부에 대해 빠른 판단을 내리기 위함이다. 공개의 요약은 청구 범위의 영역을 평가하는 데는 사용되지 않는다.미국 특허청은 50자 내지 250자의 단문으로 서술될 것을 요청하고 있으며 250자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거절될 수 있다.공개의 요약에서 새로운 기술적인 사항의 공개가 선택 또는 변형을 요한다면 선택된 변형에 대한 예를 기술해야 한다.또한 공개의 요약에서는 "means"와 "said"와 같이 특허 청구 범위에 사용되어지는 법적인 문구와 용어의 사용은 피해야 한다. 제목에 포함돼 있는 사항을 반복하지 않고 함축적으로 서술돼야 한다.공개의 요약에는 다음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발명이 기계 도는 장치라면 그 구성과 동작 △기구라면 그 제작방법 △공정이라면 그 공정 단계 △화학적 화합물이라면 그 사용용도와 화합물의 일반적 특성 △혼합물이라면 그 성분 등이다.
-
2023-03-31▲ 미국 특허청 특허등록 이미지미국 특허 명세서는 발명의 명칭(title of invention), 상호 관련 참고자료(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 발명의 배경(background), 요약(summary), 도면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청구범위(what is claimed is), 공개의 요약(Abstract) 순으로 작성된다.발명의 명칭은 명세서 첫 번째 페이지의 상단에 위치하며, 간결하면서 기술적으로 정확하게 작성해야 된다. 너무 일반적이거나 넓은 의미의 명칭은 거절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호 관련 참고자료에서는 분할 출원서와 같은 출원서 뿐만 아니라 우선권이 청구된 최초 출원서를 포함하며 해당 출원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충분히 언급돼야 한다. 일반적으로 출원번호, 출원일, 발명자, 제목, 인적사항이 기재될 수 있다.만약 상호관련 참고자료에서 해당 출원서의 일련번호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라면, 명칭, 발명자, 주제, 대리인 등록번호, 외국 우선권 출원서 등 해당 출원서를 확인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상호 관련 참고자료에 기재된 해당 출원서의 내용은 해당 출원이 공개될때 비밀 유지 상태가 상실되므로 영업비밀로 유지되어야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호관련 참고자료가 되지 않아야 한다.또한 스폰서가 정부인 공동연구와 개발의 경우에는 발명에서의 어떤 권리에 대해 상호 관련 참고자료에 기술할 수 있다.
-
2023-02-23▲ 미국 특허청 특허 등록 로고 [출처=홈페이지]명세서는 해당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당업자)가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 문서다. 명세서에는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베스트 모드(best mode)를 제공해야 한다.명세서에는 발명의 명칭, 관련 출원의 상호 참증(해당시), 공동후원에 의한 연구에 있어서 발명의 권리에 대한 진술(해당시), 발명의 배경, 발명의 용약, 도면의 간단한 설명,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요약서가 포함된다.1) 발명의 명칭은 기술적으로 발명을 설명하도록 간략히 작성돼야 하며, 특허 분류와 색인 작업에 도움을 준다.2) 상호 참증은 최초 출원서에는 포함되지 않으며, 계속 출원(CA: Continuation Application), 분할출원(DA: Divisional Application), 또는 일부 계속 출원(CIP: Continuation-In-part Application)에 사용된다. 계속 출원, 분할출원, 일부 계속 출원은 최초 출원에 대한 출원일을 소급받기 위해 최초 출원서의 특정 자료를 포함해야 한다.3) 연방정부가 지원한 기금에 의해서 발명 또는 개발되었다면 발명에 대한 정부의 권리 범위와 관련한 진술서는 명세서에 첨부돼야 한다. 4) 발명의 배경에서는 발명의 기술 분야 및 발명에 관련된 기술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서술된다. 발명의 기술 분야에는 청구된 발명을 포함하는 기술적 분야를 설명해야 한다.특히 청구된 발명의 대상에 직접 관련돼야 하고, 미국 특허 분류에서 정의된 문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에 관련된 기술에는 선행기술을 간단하게 설명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장이 서술된다.다만, 여기에 서술된 문장은 선행기술로 인정된 기술로 평가될 수 있으므로 출원자의 발명 또는 일부에 대한 설명은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5) 요약(summary)에서는 발명에 필수적인 사항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발명의 장점 또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기술한다.6) 도면의 설명에서는 출원서에 도면이 포함된 경우에 도면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서술한다. 명세서에 도시된 도면은 정확하게 작성돼야 하고 출원서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명확히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7)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발명을 실시가능할 정도로 최소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 충분하고 상세히 설명해야 한다. 특히, 발명의 신규성이 있는 양태를 제시하고 기존 기술과 구별될 수 있도록 서술한다. 또한 출원서를 출원하는 시점에 발명에 대한 베스트 모드에 따른 실시예를 서술한다.일반 공중이 공개된 특허 명세서를 바탕으로 다수의 실험 없이도 발명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소송과정에서 베스트 모드가 아닌 것이 증명되는 경우에는 등록된 특허가 무효화 될수도 있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을 정확하게 묘사하도록 짧고 명확하게 서술돼야 한다.통상의 의미를 위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어를 함축적이거나 명료하게 정의한다면 출원자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자신만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구조나 공정 단계에 대해서는 이를 상세하게 서술할 필요는 없다.8) 특허 청구범위에는 발명의 대상을 특정하도록 명백하게 청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청구항이 포함돼야 한다. 청구범위는 발명에 대한 특허권의 보호범위를 한정한다.미국 특허 청구범위에서는 "I claim", "We claim" 또는 "What is claimed is"와 같은 문장으로 시작해야 한다. 청구범위는 다른 청구범위의 영향없이 발명을 청구하는 독립항과 다른 청구범위의 한정에 제약되는 종속항으로 구분된다.또한 청구범위는 가장 넓게 청구되는 첫 번째 청구범위부터 순차적으로 작성되며,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 번호를 붙여야 한다. 청구범위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대상만을 포함할 수 있다.이를 벗어나면 미국 특허청의 심사과정에서 거절되거나 소송과정에서 무효화될 수 있다. 청구범위 내에 사용된 용어와 문장의 의미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지지돼야 한다.9) 요약서(Abstract)에는 명세서의 기술적 공개를 요하는 내용을 간단히 요약한 내용이 서술되며 청구범위 다음에 위치한다.요약서는 특허청 심사관과 일반에게 빠른 정보를 제공하여 발명의 필수적인 사항을 용이하게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다. 요약서에는 발명의 장점 또는 이론적인 내용을 언급하지 않고 선행기술과 발명을 비교하지 않아야 한다.
-
2022-04-11미국 연방 순회 항소법원은 2018년 비에스지 테크(BSG Tech)와 바이시즌즈(BuySeasons, Inc.)에 대한 판결을 내렸다. 먼저 비에스지 테크가 3가지 특허권을 침해한 바이시슨즈를 고소했다.본 판례는 발명의 성립성 결여에 대한 것으로서, 연방 순회 항소 법원은 비에스지 테크의 특허가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안 과거 사용 정보를 고려한다.”는 추상적인 아이디어에 불과한 내용이라고 언급하며 특허 대상이 아니라고 판결했다.참고로 비에스지 테크는 2009년 설립된 이후 시카고 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컴퓨터 서비스, 컨설팅 등을 제공한다. BSG Tech v. BuySeasons, Inc. (FC 2018)Ineligible under S101 for US6035294S101 Invalidation Affirmed:• The claims relate to organizing database based on “relative historical usage information.”• Able to display the popularity of the various models of automobiles.• This patent was used in over 50+ lawsuits before it was held to be invalid in E.D. Texas.• Most cases were settled.• FC affirmed and held that the claims are directed to the abstract idea of considering historical usage info while inputting data. • Here, the use of historical info is not “rooted in computer technology.”• Claims do not recite any improvement (FC differentiated this case from Enfish and Visual Memory). ▲미국 특허청(USPTO) 빌딩(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