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으로 검색하여,
3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1999년 TC 219, TC 220 △2000년 TC 221, TC 222 △2001년 TC 224 △2002년 TC 225 △2004년 TC 226 TC 227 등이 있다.ISO/TC 229 나노기술(Nanotechnologie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228과 마찬가지로 2005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데이비드 마이클(Dr David Michael)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데니스 콜초프(Dr Denis Koltsov)로 임기는 2024년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몬자 코르터(Ms Monja Korter)이며 ISO 편집 관리자는 타이나 비셰비치(Ms Tajna Biscevic)이다.범위는 다음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한 나노기술 분야 표준화다.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크기 의존 현상이 시작되어 새로운 응용이 가능해지는 하나 이상의 차원에서 100나노미터 미만 나노 규모의 물질과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제어하는 것이다.두번째는 새로운 특성을 활용해 개선된 물질, 장치 및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개별 원자, 분자 및 벌크 물질의 특성과 다른 나노 규모 재료의 특성을 활용 하는 것이다.특정 작업에는 용어 및 명명법, 기준 물질에 대한 사양을 포함한 계량 및 계측, 테스트 방법론,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과학에 기반한 건강, 안전, 환경 실행과 같은 표준 개발이 포함된다. 현재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6개며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58개국, 참관 회원은 47개국이다.□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6개 중 15개 목록▷ISO/TS 4958:2024 Nanotechnologies — Vocabulary — Liposomes▷ISO/TS 4971:2023 Nanotechnologies — Performance evaluation of nanosuspensions containing clay nanoplates for quorum quenching▷ISO/TS 4988:2022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and bioassimilation of manufactured nano-objects in suspension using the unicellular organism Tetrahymena sp.▷ISO/TS 5094:2023 Nanotechnologies — Assessment of peroxidase-like activity of metal and metal oxide nanoparticles▷ISO/TS 5387:2023 Nanotechnologies — Lung burden mass measurement of nanomaterial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s▷ISO/TS 7833:2024 Nanotechnologies — Extraction method of nanomaterials from lung tissue by proteinase K digestion▷ISO/TS 10689:2023 Nanotechnologies — Superhydrophobic surfaces and coatings: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assessment▷ISO/TS 10797: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ISO/TS 10798:2011 Nanotechnologies — Chara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analysis▷ISO 10801:2010 Nanotechnologies — Generation of metal nanoparticle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 using the evaporation/condensation method▷ISO 10808:201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particles in inhalation exposure chambers for inhalation toxicity testing▷ISO/TS 10818:2023 Nanotechnologies — Textiles containing nanomaterials and nanostructures — Superhydrophobic characteristics and durability assessment▷ISO/TS 10867:2019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near infrared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ISO/TS 10868:2017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using ultraviolet-visible-near infrared (UV-Vis-NIR) absorption spectroscopy▷ISO/TR 10929:2012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 (MWCNT) samples□ ISO/TC 228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12개 목록▷ISO/FDIS 4962 Nanotechnologies — In vitro acute nanoparticle phototoxicity assay▷ISO/AWI TS 4963 Nanotechnologies — Radiotelemetry-spectral-echocardiography based real-time surveillance protocol for in vivo toxicity detection and monitoring of engineered nanomaterials (ENM)▷ISO/AWI TS 4966 Nanotechnologies — Nanostructured porous silica microparticles for chromatography▷ISO/AWI TS 5341 Nanotechnologies — Nomenclature — Part 1: General nomenclature▷ISO/AWI TS 9651 'Nanotechnologies —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graphene‐related 2D materials▷ISO/AWI 11308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carbon nanotube samples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ISO/CD TS 11353 Nanotechnologies — Test method for detection of nano-object release from respiratory masks media under different working conditions▷ISO/AWI TS 12769 Nanotechnologies — Toxicity assessment of manufactured nanomaterials in soils using plant Arabidopsis thaliana▷ISO/TS 12901-1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1: Principles and approaches▷ISO/CD TS 12901-2 Nanotechnologies —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pplied to engineered nanomaterials — Part 2: Use of the control banding approach▷ISO/AWI TS 12948 Nanotechnologies — Nanocomposite materials for insulating — Specification of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methods▷ISO/AWI TS 13121 Nanotechnologies — Nanomaterial risk evaluation▷ISO/DTS 13329 Nanomaterials — Preparation of safety data sheets (SDS)▷ISO/AWI TS 18196 Nanotechnologies — Measurement technique matrix for the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ISO/DTS 19590 Nanotechnologies — Characterization of nano-objects using single particl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
2024-04-09▲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1996년 TC 213, TC 214 △1998년 TC 215~218 1999년 TC 219, TC 220 등이 있다.ISO/TC 221 토목섬유(Geosynthetics)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2000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데이비드 하이드 1세(Mr David I Hyde)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피터 애치슨(Mr Peter Atchison)이며 임기는 2026년 말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안나 카테리나 로시(Dr Anna Caterina Rossi), ISO 편집 관리자는 타이나 비셰비치(Ms Tajna Biscevic) 등이다.범위는 지오텍스타일, 지오멤브레인, 토목합성재료 점토 차수재 및 기타 토목합성 관련 제품을 포함한 모든 토목합성 제품의 표준화다.현재 ISO/TC 22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47개며 ISO/TC 22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0개국, 참관 회원은 16개국이다.□ ISO/TC 22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47개 중 15개 목록▷ISO 9862:2023 Geosynthetics — Sampling and preparation of test specimens▷ISO 9863-1:2016 Geosynthetics — Determination of thickness at specified pressures — Part 1: Single layers▷ISO 9863-1:2016/Amd 1:2019 Geosynthetics — Determination of thickness at specified pressures — Part 1: Single layers — Amendment 1▷ISO 9864:2005 Geosynthetics —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mass per unit area of geotextiles and geotextile-related products▷ISO 10318-1:2015 Geosynthetics — Part 1: Terms and definitions▷ISO 10318-1:2015/Amd 1:2018 Geosynthetics — Part 1: Terms and definitions — Amendment 1▷ISO 10318-2:2015 Geosynthetics — Part 2: Symbols and pictograms▷ISO 10318-2:2015/Amd 1:2018 Geosynthetics — Part 2: Symbols and pictograms — Amendment 1▷ISO 10319:2015 Geosynthetics — Wide-width tensile test▷ISO 10320:2019 Geosynthetics — Identification on site▷ISO 10321:2008 Geosynthetics — Tensile test for joints/seams by wide-width strip method▷ISO 10722:2019 Geosynthetics — Index test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mechanical damage under repeated loading — Damage caused by granular material (laboratory test method)▷ISO 10769:2011 Clay geosynthetic barriers — Determination of water absorption of bentonite▷ISO 10772:2012 Geotextiles - Test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filtration behaviour of geotextiles under turbulent water flow conditions▷ISO 10773:2011 Clay geosynthetic barriers — Determination of permeability to gases□ ISO/TC 22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12개 목록▷ISO/AWI 10318-1 Geosynthetics — Part 1: Terms and definitions▷ISO/AWI 10318-2 Geosynthetics — Part 2: Symbols and pictograms▷ISO/DIS 10319 Geosynthetics — Wide-width tensile test▷ISO/DIS 12236 Geosynthetics — Static puncture test (CBR test)▷ISO/DIS 12957-2 Geosynthetics — Determination of friction characteristics — Part 2: Inclined plane test▷ISO/FDIS 13426-2 Geotextiles and geotextile-related products — Strength of internal structural junctions — Part 2: Geocomposites▷ISO/DIS 13428 Geosynthetics — Determination of the protection efficiency of a geosynthetic against impact damage▷ISO/FDIS 13431 Geotextiles and geotextile-related products — Determination of tensile creep and creep rupture behaviour▷ISO/DIS 13433 Geosynthetics — Determination of dynamic perforation (cone drop test)▷ISO/CD TR 18228-5 Design using geosynthetics — Part 5: Stabilization▷ISO/DTR 18228-8 Design using geosynthetics — Part 8: Surface erosion control▷ISO/TR 18228-10 Design using geosynthetics — Part 10: Asphalt pavements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107 △1963년 TC 108~111 △1964년 TC 112~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161 △1975년 TC 162~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1981년 TC 182 △1983년 TC 183~186 △1984년 TC 188 △1985년 TC 189~191 △1988년 TC 192~194 △1989년 TC 195 △1990년 TC 197, TC 198 △1991년 TC 199, TC 201, TC 202 △1992년 TC 204~206 △1993년 TC 209 △1994년 TC 210, TC 211 등이 있다.ISO/TC 213 치수와 기하학적 제품의 사양 및 검증(Dimensional and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and verification)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96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사라 켈리(Miss Sarah Kelly)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이안 맥클라우드(Mr Iain Macleod)이며 임기는 2025년말까지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이사벨 베가(Ms Isabelle Vega), ISO 편집 관리자는 니콜라 페루(Ms Nicola Perou) 등이다.범위는 기하학적 제품 사양(GPS) 분야의 표준화다. 즉 치수 및 기하학적 공차, 표면 특성 및 관련 검증 원리, 치수 및 기하학적 측정의 불확실성을 포함한 측정 장비 및 교정 요구 사항을 다루는 거시 및 미세 형상 사양이다.표준화에는 기본 레이아웃과 도면 표시(기호)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단, 도면 표시(기호)의 특정 비율 및 치수 정의, 실행은 제외된다.현재 ISO/TC 21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47개며 ISO/TC 21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22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6개국, 참관 회원은 25개국이다.□ ISO/TC 21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47개 중 15개 목록▷ISO 1:2022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Standard reference temperature for the specification of geometrical and dimensional properties▷ISO 286-1:2010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ISO code system for tolerances on linear sizes — Part 1: Basis of tolerances, deviations and fits▷ISO 286-1:2010/Cor 1:2013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ISO code system for tolerances on linear sizes — Part 1: Basis of tolerances, deviations and fits — Technical Corrigendum 1▷ISO 286-2:2010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ISO code system for tolerances on linear sizes — Part 2: Tables of standard tolerance classes and limit deviations for holes and shafts▷ISO 286-2:2010/Cor 1:2013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ISO code system for tolerances on linear sizes — Part 2: Tables of standard tolerance classes and limit deviations for holes and shafts — Technical Corrigendum 1▷ISO 463:2006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Design and m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dial gauges▷ISO 463:2006/Cor 1:2007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Design and m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dial gauges — Technical Corrigendum 1▷ISO 463:2006/Cor 2:2009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Design and m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chanical dial gauges — Technical Corrigendum 2▷ISO 1101:2017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Geometrical tolerancing — Tolerances of form, orientation, location and run-out▷ISO 1119:201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Series of conical tapers and taper angles▷ISO 1660:2017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Geometrical tolerancing — Profile tolerancing▷ISO 1938-1:2015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Part 1: Plain limit gauges of linear size▷ISO 1938-2:2017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Part 2: Reference disk gauges▷ISO 2538-1:2014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Wedges — Part 1: Series of angles and slopes▷ISO 2538-2:2014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Wedges — Part 2: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ISO/TC 213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22개 중 15개 목록▷ISO/CD 1938-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 Part 1: Plain limit gauges of linear size▷ISO/AWI 2768 General tolerances▷ISO/DIS 5059-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measuring equipment: inside micrometers — Part 1: Two-point inside micrometers — Design and metrological characteristics▷ISO/FDIS 5459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Geometrical tolerancing — Datums and datum systems▷ISO/DIS 5463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Form measuring equipment; Rotary axis form measuring instruments — Design and metrological characteristics▷ISO/CD 10360-102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Acceptance and reverification tests for coordinate measuring systems (CMS) — Part 102: The language of symbols G3▷ISO/AWI 12179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Surface texture: Profile method — Calibration of contact (stylus) instruments▷ISO/DIS 14405-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Dimensional tolerancing — Part 1: Linear sizes▷ISO/CD TS 15530-2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CMM):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uncertainty of measurement — Part 2: Part 2: Evaluating task-specific measurement uncertainty by multiple measurement strategies using a single uncalibrated workpiece▷ISO/DIS 16610-2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Filtration — Part 21: Linear profile filters: Gaussian filters▷ISO/CD 16610-22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Filtration — Part 22: Linear profile filters: Spline filters▷ISO/DIS 16610-3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Filtration — Part 31: Robust profile filters: Gaussian regression filters▷ISO/DIS 16610-45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Filtration — Part 45: Morphological profile filters: Segmentation▷ISO 18183-1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Partition — Part 1: Vocabulary and basic concepts▷ISO/CD TR 23850 Geometrical product specifications (GPS) — Association — Mathematical concepts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1980년 TC 180, TC 181 등이 있다.ISO/TC 182 지반공학(Geotechnic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81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디드레 푸리(Miss Deidre Fourie)가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존 파웰(Mr John Powell)이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안나 카테리나 로시(Dr Anna Caterina Rossi), ISO 편집 관리자는 앤 기엣(Ms Anne Guiet)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토양 및 암석의 (관련) 특성을 포함해 건축 및 토목 공학 분야의 지반 공학적 측면의 표준화다.현재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8개며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6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5개국, 참관 회원은 31개국이다.□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8개 중 15개 목록▷ISO 14688-1: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 — Part 1: Identification and description▷ISO 14688-2: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il — Part 2: Principles for a classification▷ISO 14689: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Identification, description and classification of rock▷ISO 17628:2015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Geothermal testing — Determin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of soil and rock using a borehole heat exchanger▷ISO 17892-1:2014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ISO 17892-1:2014/Amd 1:2022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 — Amendment 1▷ISO 17892-2:2014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2: Determination of bulk density▷ISO 17892-3:2015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3: Determination of particle density▷ISO 17892-4:201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4: Determination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ISO 17892-5: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5: Incremental loading oedometer test▷ISO 17892-6: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6: Fall cone test▷ISO 17892-7:201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7: Unconfined compression test▷ISO 17892-8: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8: Unconsolidated undrained triaxial test▷ISO 17892-9: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9: Consolid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s on water saturated soils▷ISO 17892-10:2018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soil — Part 10: Direct shear tests□ ISO/TC 182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6개 목록▷ISO/AWI 16383-1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rock — Part 1: Determination of water content▷ISO/AWI 16383-2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Laboratory testing of rock — Part 2: Determination of bulk density▷ISO/DIS 18674-7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Geotechnical monitoring by field instrumentation — Part 7: Measurement of strains: Strain gauges▷ISO/AWI 18674-9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Geotechnical monitoring by field instrumentation — Part 9: Measurement of displacements by geodetic means▷ISO 22476-1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Field testing — Part 16: Borehole shear test▷ISO/WD 22477-6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testing — Testing of geotechnical structures — Part 6: Load testing of soil nails and rock bolts
-
▲ 영국 표준 기구(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등도 포함된다.ISO/TC 171 문서 관리 어플리케이션(Document management application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78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 기구(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진 스트라이드(Mrs Jean M Stride)가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앨런 쉽먼(Mr Alan Shipman)이며 임기는 2026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페트리샤 쿡(Mme Patricia Cook), ISO 편집 관리자는 이사벨 베로니카 넬슨(Ms Isabel Veronica Nelson)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문서 관리 애플리케이션 분야의 캡처, 색인화, 저장, 검색, 배포 및 통신, 프리젠테이션, 마이그레이션, 교환, 보존, 무결성 유지 및 폐기와 관련된 기술 및 프로세스의 표준화다. 문서는 마이크로그래픽 또는 전자형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또한 품질 관리 및 무결성 유지 관리, 문서의 입력/출력 품질(현미경 또는 전자), 지원 메타데이터를 포함해 문서(현미경 또는 전자)의 저장, 사용 및 보존을 위한 구현, 검사 및 품질 관리 절차, 기업 및 인터넷의 작업 흐름(프로세스 관리)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간 정보 교환 중 품질 및 무결성 유지, 법적 허용성 및(또는) 무결성 및 보안을 지원하는 절차 및 프로세스, 관련 감사 추적 정보 등도 포함된다.단, TC 46의 범위 내에서 기록 관리 정책 및 절차, TC 184 범위 내에서 산업 자동화 시스템의 정보, 프로세스, 생산 정의 및 작업 흐름에 관한 모든 작업은 제외한다.사진에 적용되는 프로세스, 재료 및 장치의 성능 특성을 테스트, 평가, 분류 및 지정하는 작업을 다룹니다.원본 필름의 촬영, 치수 및 라벨링, ISO/TC 42 범위내 방법 사진에 적용되는 프로세스, 재료 및 장치의 성능 특성을 테스트, 평가, 분류 및 지정하는 작업을 다룹니다.영화 촬영, 원본 필름의 치수 및 라벨링, 사진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 재료 및 장치의 성능 특성을 테스트, 평가, 분류 및 지정하는 ISO/TC 42 범위 내 방법 등도 제외된다.ISO/IEC JTC1의 범위 내에 있는 작업, 특히 ISO/IEC JTC 1/SC 23, SC 24, SC 27, SC 28, SC 29, SC 32 및 SC 34의 작업 역시 제외한다. 참고로 다른 TC와 잠재적 또는 실제 중복이 존재하는 경우 JWG가 적극적으로 추진된다.현재 ISO/TC 171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108개 이며 이 중 ISO/TC 17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0개다. ISO/TC 171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1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6개국, 참관 회원은 31개국이다.□ ISO/TC 17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0개 중 15개 목록▷ISO 446:2004 Micrographics — ISO character and ISO test chart No. 1 — Description and use▷ISO 3272-1:2003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1: Operating procedures▷ISO 3272-1:2003/Cor 1:2009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1: Operating procedures — Technical Corrigendum 1▷ISO 3272-2:1994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2: Quality criteria and control of 35 mm silver gelatin microfilms▷ISO 3272-3:2001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3: Aperture card for 35 mm microfilm▷ISO 3272-4:1994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4: Microfilming of drawings of special and exceptional elongated sizes▷ISO 3272-6:2000 Microfilming of technical drawings and other drawing office documents — Part 6: Quality criteria and control of systems for enlargements from 35 mm microfilm▷ISO 3334:2006 Micrographics — ISO resolution test chart No. 2 — Description and use▷ISO 4087:2005 Micrographics — Microfilming of newspapers for archival purposes on 35 mm microfilm▷ISO 6148:2001 Photography — Micrographic films, spools and cores — Dimensions▷ISO 6196-1:1993 Micrographics — Vocabulary — Part 1: General terms▷ISO 6196-2:1993 Micrographics — Vocabulary — Part 2: Image positions and methods of recording▷ISO 6196-3:1997 Micrographics — Vocabulary — Part 3: Film processing▷ISO 6196-4:1998 Micrographics — Vocabulary — Part 4: Materials and packaging▷ISO 6196-5:1987 Micrographics — Vocabulary — Part 5: Quality of images, legibility, inspection□ ISO/TC 171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71/SC 1 Quality, preservation and integrity of information ; 발행된 표준 21개, 개발 중인 표준 3개▷ISO/TC 171/SC 2 Document file formats, EDMS systems and authenticity of information ; 발행된 표준 37개, 개발 중인 표준 7개
-
▲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등도 포함된다.ISO/TC 160 건물 유리(Glass in building)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56, TC 157, TC 158, TC 159와 마찬가지로 1974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영국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톰 스택(Mr Tom Stack)이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노버트 브룩(Mr Dr Norbert Wruk)이다. 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안나 카테리나 로시(Dr Anna Caterina Rossi), ISO 편집 관리자는 발레리아 아가넨노네(Ms Valeria Agamennone)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용어, 성능 요구사항, 계산 및 테스트 방법, 설계 및 시공 규칙, 치수 특성을 포함한 재료의 분류 및 사양을 포함한 건물 유리 분야의 표준화다.현재 ISO/TC 16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8개며 ISO/TC 16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0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2개국, 참관 회원은 30개국이다.□ ISO/TC 16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58개 중 15개 목록▷ISO 1288-1:2016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the bending strength of glass — Part 1: Fundamentals of testing glass▷ISO 1288-2:2016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the bending strength of glass — Part 2: Coaxial double-ring test on flat specimens with large test surface areas▷ISO 1288-3:2016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the bending strength of glass — Part 3: Test with specimen supported at two points (four point bending)▷ISO 1288-4:2016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the bending strength of glass — Part 4: Testing of channel shaped glass▷ISO 1288-5:2016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the bending strength of glass — Part 5: Coaxial double ring test on flat specimens with small test surface areas▷ISO 9050:2003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light transmittance, solar direct transmittance, total solar energy transmittance, ultraviolet transmittance and related glazing factors▷ISO 10291:1994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steady-state U values (thermal transmittance) of multiple glazing — Guarded hot plate method▷ISO 10292:1994 Glass in building — Calculation of steady-state U values (thermal transmittance) of multiple glazing▷ISO 10293:1997 Glass in building — Determination of steady-state U values (thermal transmittance) of multiple glazing — Heat flow meter method▷ISO 11479-1:2011 Glass in building — Coated glass — Part 1: Physical defects▷ISO 11479-2:2011 Glass in building — Coated glass — Part 2: Colour of façade▷ISO 11485-1:2011 Glass in building — Curved glass — Part 1: Terminology and definitions▷ISO 11485-2:2011 Glass in building — Curved glass — Part 2: Quality requirements▷ISO 11485-3:2014 Glass in building — Curved glass — Part 3: Requirements for curved tempered and curved laminated safety glass▷ISO 12540:2017 Glass in building — Tempered soda lime silicate safety glass□ ISO/TC 16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10개 목록▷ISO/CD 16293-2 Glass in building — Basic soda lime silicate glass products — Part 2: Float glass▷ISO/CD 18178 Glass in building — Laminated solar photovoltaic glass for use in buildings▷ISO/CD 19916-4 Glass in building — Vacuum insulating glass — Part 4: Pendulum impact testing and classification of safety glass▷ISO/DIS 20492-1 Glass in buildings - Insulating glass — Part 1: Durability of edge seals by climate tests▷ISO/DIS 20492-2 Glass in buildings - Insulating glass — Part 2: Chemical fogging tests▷ISO/DIS 20492-3 Glass in buildings — Insulating glass — Part 3: Gas concentration and gas leakage▷ISO/DIS 20492-4 Glass in buildings — Insulating glass — Part 4: Methods of test for the physical attributes of edge seals▷ISO/CD 28278-1 Glass in building — Glass products for structural sealant glazing — Part 1: Supported and unsupported monolithic and multiple glazing▷ISO/CD 28278-2 Glass in building — Glass products for structural sealant glazing — Part 2: Assembly rules▷IEC/AWI 63092-3 Photovoltaics in buildings — Part 3: Evaluation methodology of SHGC for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modules with various designs
-
▲ 영국표준기구(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등이다.△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등도 포함된다.ISO/TC 145 그래픽 기호(Graphical symbols)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37, TC 138, TC 142와 마찬가지로 1970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1901년 설립된 영국 표준기구(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찰스 휘틀록(Dr Charles Whitlock)이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그레이엄 레이 덜마지(Mr Graham Rae Dulmage)으로 임기는 2025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이사벨 베가(Ms Isabelle Vega),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레이드 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안전표지판과 같은 상징이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일부를 구성할 때마다 적용되는 색상 및 모양, 그래픽 기호 분야의 표준화다.그래픽 심볼의 준비, 조정 및 적용에 대한 원칙을 확립, 이미 존재하는 것, 연구 중인 것, 확립될 것의 검토와 조정에 대한 일반적인 책임, 기술위원회가 요청하거나 기존 기술위원회의 활동에 속하지 않는 경우 새로운 그래픽 기호의 표준화 등도 포함된다.단, 문자, 숫자, 구두점, 수학 기호 및 기호, 수량 및 단위 기호의 표준화는 제외되지만 그래픽 기호의 구성 요소로 사용될 수 있다.현재 ISO/TC 145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37개 이 중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4개다. ISO/TC 145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7개이며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1개국, 참관 회원은 31개국이다.□ ISO/TC 145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4개 목록▷ISO 9186-1:2014 Graphical symbols — Test methods — Part 1: Method for testing comprehensibility▷ISO 9186-2:2008 Graphical symbols — Test methods — Part 2: Method for testing perceptual quality▷ISO 9186-3:2014 Graphical symbols — Test methods — Part 3: Method for testing symbol referent association▷ISO 17724:2003 Graphical symbols — Vocabulary□ ISO/TC 145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45/SC 1 Public information symbols, signs and guidance system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1개▷ISO/TC 145/SC 2 Safety identification, signs, shapes, symbols and colours ; 발행된 표준 21개, 개발 중인 표준 6개▷ISO/TC 145/SC 3 Graphical symbols for use on equipment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0개
-
2023-10-30▲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지난 9월18~22일 5일간 2023 ISO 연례회의(Annual Meeting)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Brisbane)에서 개최됐다. 올해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가 개최한 연례회의 에디션의 주제는 '글로벌 니즈 충족(Meeting global needs)'이다.1주일 동안 개최된 연례회의는 오늘날 지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에 대해 건설적인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참가자들이 협력 솔루션을 찾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연례 회의는 다양한 정부, 업계 및 시민단체 대표 뿐 아니라 ISO 커뮤니티 전문가와 리더가 가장 큰 트렌드 및 과제에 대해 생각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참여했다.이번 회의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순환경제(Circular economy), 청정 에너지(Clean energy), 사이버보안(Cybersecurity), 스마트 농업(Smart farming) 등을 중심으로 논의가 진행됐다.3일차 연례회의의 주제는 지속 가능성과 무역(Sustainability and trade) 이다. 이날 연례회의는 △정책 분야 표준(Standards in policy) △도시를 탄력적으로 만들기(Making cities resilient) △지속 가능성을 위한 동맹 구축(Forging alliances for sustainability) △무역에 대한 신뢰(Trust in trade) △고객 경험(The customer experience) 등을 중심으로 토론이 이뤄졌다.3일차 정책 분야 표준(Standards in policy) 세션에서는 규제 프레임워크를 형성하고 혁신을 추진하는데 있어 표준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고 정책 입안자와의 지속적인 대화 필요성을 강조했다.정책분야 표준 세션은 08:00~09:30분까지 개최됐다. 참여자는 클레어 호번(Clare Hobern, Standards Australia 국제 참여 담당 선임 관리자), 잉빌드 스텁(Ingvild Stub, 노르웨이 표준부서 국제관계 및 비즈니스 개발 이사), 쿠쿠 S. 아크마드(Kukuh S. Achmad, 인도네시아 국가표준화기구 CEO), 다니엘 트릴로스(Daniel Trillos, 콜롬비아 기술 표준 및 인증 연구소 표준 부국장), 찬탈 가이(Chantal Guay, 캐나다 표준 위원회 CEO), 데이비드 벨(David Bell, 영국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표준 정책 이사), 에리히 키에크(Erich Kieck, 국제표준화기구 역량강화 이사) 등이다.보다 탄력적이고 지속 가능한 세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표준을 사용하면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세션 중에 ISO 회원들이 정책 입안자 및 규제 기관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기 위해 사용하도록 설계된 새로운 ISO 정책 툴킷을 공개했다.정책입안자들은 어려운 일을 맡고 있으며 자신이 봉사하는 사람들의 번영과 복지를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한다. 격동의 시기에 정부와 규제 기관은 국가 표준기관에서 개발한 표준을 포함해 많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표준은 국가의 규제 인프라를 강화하기 위해 다양하고 편견 없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은 기후, 무역, 혁신과 같은 핵심 분야에서 참여 기법, 설득력 있는 옹호 활동을 위한 영감을 주는 아이디어 등으로 구성됐다.
-
2023-10-05▲ 프랑스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등이다.ISO/TC 117 팬(Fans)과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TC 112, TC 113, TC 114, TC 115와 마찬가지로 1964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프랑스 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산드라 마이크 더건(Mr Mike Duggan)가 책임지고 있다. 현재 의장은 제프 록우드(Mr Geoff Lockwood)으로 임기는 2026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키르시 실란데르-반 후넨(Mrs Kirsi Silander-van Hunen),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틸(Mr Arun ABY Paraecattil)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팬 분야의 표준화다. 단, IEC/TC 59 및 IEC/TC 61의 범위 내에서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목적을 갖는 전기 팬 또는 팬 기반 전기 기기 등은 제외한다.현재 ISO/TC 11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표준은 31개며 ISO/TC 11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개발중인 표준은 8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16명, 참관 회원은 22명이다.□ ISO/TC 11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31개 중 15개 목록▷ISO 5801:2017 Fans — Performance testing using standardized airways▷ISO 5802:2001 Industrial fans — Performance testing in situ▷ISO 5802:2001/Amd 1:2015 Industrial fans — Performance testing in situ — Amendment 1▷ISO 12499:1999 Industrial fans — Mechanical safety of fans — Guarding▷ISO 12759-1:2023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ISO 12759-2:2019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2: Standard losses for drive components▷ISO 12759-3:2019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3: Fans without drives at maximum operating speed▷ISO 12759-4:2019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4: Driven fans at maximum operating speed▷ISO 12759-5:2021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5: Jet fans▷ISO 13347-1:2004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1: General overview▷ISO 13347-1:2004/Amd 1:2010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1: General overview — Amendment 1▷ISO 13347-1:2004/Cor 1:2006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1: General overview — Technical Corrigendum 1▷ISO 13347-2:2004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2: Reverberant room method▷ISO 13347-2:2004/Cor 1:2006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2: Reverberant room method — Technical Corrigendum 1▷ISO 13347-3:2004 Industrial fans — Determination of fan sound power levels under standardized laboratory conditions — Part 3: Enveloping surface methods□ ISO/TC 117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중인 표준 8개 목록▷ISO/DIS 12759-6 Fans — Efficiency classification for fans — Part 6: Calculation of the fan energy index▷ISO/CD 13348 Industrial fans — Tolerances, methods of conversion and technical data presentation▷ISO/DIS 13351 Fans — Dimensions▷ISO/AWI TR 16219 Fans — System effects and system effect factors▷ISO/AWI 21684 Fans — Laboratory Methods of Testing Air Circulating Fans for Rating and Certification▷ISO/DIS 24660 Fans — Determination of airflow propelled through an open personnel door by a positive pressure ventilator▷ISO/AWI 27327-1 Fans — Air curtain units — Part 1: Laboratory methods of testing for aerodynamic performance rating▷ISO/DTR 27327-3 Fans — Air curtain units — Part 3: Test methods to determine energy effectiveness
-
2023-09-11▲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정보사회가 진전되면서 전 세계가 하나의 글로벌 빌리지, 즉 지구촌으로 동화되고 있다. 디지털 혁명은 디지털 서비스와 전자성거래의 발전을 가속화시켰다.2020년 1월부터 확산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영향으로 대면 접촉이 제한되면서 비대면 서비스의 중요성은 높아졌다. 사이버 세상에서 상호작용이 증가하며 덩달아 전자거래 사기도 늘어났다.개인의 신원을 조작하거나 위변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기 때문이다. 이로써 법인이나 개인 또는 전자 서비스 내 실체를 식별하는 디지털 신원(Digital identity)의 중요성이 부각됐다.디지털 신원 즉 디지털 ID 영역에는 다양한 표준이 있다. 디지털 ID 표준은 △정책 설명 △디지털 ID 발급 및 관리 서비스 △사용할 형식 및 프로토콜 △관련 서비스 감사 방법 △서비스 장치에 대한 요구사항 △추천하는 프로세스 및 알고리즘 등을 포함한다.디지털 ID 표준 개발은 유럽표준화기구, 국제표준화기구, 상업 포럼 및 컨소시업 등 다양한 기관과 조직이 수행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유럽 표준화 기구(European standardisation organisations) - 유럽전기통신표준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 ETSI) - 유럽표준화위원회(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 - 유럽전기표준화위원회(European Committee for Electrotechnical Standardization, CENELEC)▶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s) - 세계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 미국 전기전자공학자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 정보기술보안평가 공통기준(Common Criteria for Information Technology Security Evaluation, Common Criteria) - 유엔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상업 포럼 및 컨소시엄(commercial forums and consortia) -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 - 인증기관 브라우저 포럼(Certification Authority Browser Forum, CABF) - 클라우드 시그니처 컨소시엄(Cloud Signature Consortium, CSC) - 오아시스(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 OASIS) - OpenID 재단(OpenID Foundation, OpenID) - FIDO 얼라이언스(FIDO Alliance, FIDO)▶국가 조직(national organisations) - 프랑스 정보시스템 보안기구(Agence nationale de la sécurité des systèmes d’information, ANSSI) - 독일 사이버보안 당국(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BSI) - 영국표준협회(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I) -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일반적으로 처음 제정하는 표준은 공통된 작업 방식에 동의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겨 프로토콜 및 형식과 같은 상호 운용성에 초점을 맞춘다. 디지털 ID도 예외는 아니었다.이후 장치 인증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업체의 정책 요구사항에 대한 보안 관련 표준이 제정됐다. 이를 통해 모범 사례를 설명하고 유사한 수준의 보안을 설정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