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Wyoming"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미국 케이시 재단(Annie E. Casey Foundation) 홈페이지미국 케이시 재단(Annie E. Casey Foundation)의 '2023 Kids Count Data Book'에 따르면 와이오밍주(Wyoming )가 국내 아동 및 10대 건강 분야 46위를 기록했다.아동 건강 측면에서 루이지애나주, 미시시피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텍사스주와 함께 최하위 그룹에 속했다. 특히 10~17세 어린이 및 청소년의 4분의 1이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치 33%보다 높다.2021년 와이오밍주 모든 신생아 중 약 9.4%가 저체중아이며 건강 보험이 없는 어린이는 미국 평균의 2배 이상인 11%로 조사됐다. 1인당 아동 사망율은 전국 평균 10만 명당 30명 대비 48명으로 높다. 반면 경제 안정성 측면에서 살펴보면 빈곤속에 노출된 어린이는 13%로 전국 17% 대비 4%p 낮아 전국 19위를 기록했다. 부모나 보호자가 안정적인 고용이 없는 가정에서 살고 있는 어린이는 약 27%로 전국 평균 29% 대비 낮다.주거비 부담이 높은 가정에서 생활하고 있는 아동은 전국적으로 약 30%이지만 와이오밍주는 약 24%다. 또한 학교에 다니지 않고 일하지 않는 10대 비율은 전국 및 와이오밍주는 각각 7%를 나타냈다.
-
2018-12-11미국 와이오밍주 정부에 따르면 기존 은행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은행법이 통과됐다. 법률의 통과로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으로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와이오밍주는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할 계획이다. 가상 화폐와 디지털 자산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것과 더불어 블록체인 기술의 급속한 혁신으로 인해 블록체인 투자자가 늘어나고 있다.미국 집단지성사이트인 쿼라(Quora)에 따르면 1억명의 사용자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사용자의 공공정보뿐만 아니라 이메일 주소, 암호화된 패스워드까지 침해당했다.암호화된 패스워드가 유출됐기 때문에 해커가 사용자의 계정에 로그인을 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쿼라는 사용자의 실제 암호를 웹사이트에 저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운영된다.▲쿼라(Quora)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7-03-31■ 2016년 글로벌 석탄화력발전소 착공건수가 2015년 대비 62% 감소했으며 사전 계획 건수도 2015년 대비 48% 줄어들었다. 미국은 2015년 ‘Clean Power Plan’ 정책에 따라 석탄발전소 건설 축소 및 노후화된 인프라의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따라서 화력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는 기타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파이프라인, 송전선로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 시에라클럽(Sierra Club), 연구기관 콜스웜(Coalswarm)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에서 착공된 석탄화력발전소는 2015년 대비 62% 감소했다. (Boom and Bust 2017, ‘17.3)석탄화력발전소를 신설하기 전에 준비하는 사전계획 건수도 2015년 대비 48% 줄어들었다. 전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신규 건설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인도와 중국 정부가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중국은 100건 이상의 석탄화력발전소 계획을 중단했으며 석탄광산 노동자를 해고하기 시작했다. 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에 현재 건설 중인 석탄화력발전소만으로도 공급이 충분해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이 필요하지 않다. 미국 정부 역시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오염을 줄이기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석탄발전소 현황▲2015년 1~5월 자원별 전력생산 현황(출처: WP)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석탄발전소는 511개로 미국 전력의 34%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발전소는 전력발전을 위한 연료로 석탄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Midwest, Appalachia, East Coast에서 석탄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Wyoming, Utah, Montana, Arizona에서도 석탄이 전력발전의 주요 공급원이다.▲미국 석탄발전소 현황(출처: WP)석탄화력발전소가 1980년 후반 국가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천연가스에 의한 발전이 3분의 1을 담당하고 있다. 석탄은 22개주에서 주요 전력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14개주에서 전력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석탄발전소의 주(State)별 전력원 비율(출처:WP)특히 웨스트 버지니아주에서는 전력의 95%, 켄터키주는 전력의 89%를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지하고 있다. 와이오밍주는 88%, 미주리주는 80%를 석탄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석탄발전 비율이 50%를 차지하는 주가 총 15개에 달한다.▲주(State)별 석탄 전력원이 50%이상인 TOP15 순위(출처 : iNIS)□ 미국의 석탄발전소 정책 미국 오바마 정부는 2015년 새로운 청정전력계획(Clean Power Plan)법을 제정했다.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오염수준을 줄이고 주(State)와 기업이 청정에너지 자원을 활용할 경우 보상을 촉진하는 정책을 펼치기 위한 목적이다.(‘15.10.23)미국 지역 전력회사들은 석탄광산, 수력댐, 새로운 천연가스 자원, 원자력발전소 등을 활용하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가 가장 흔한 전력 공급원으로 이용됐으나 점최근에는 점차 석탄 비율을 줄이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석탄화력발전소의 미래전망 2015년 오바마 행정부 이후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청정전력계획(Clean Power Plan)을 추진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또한 프래킹(fraking, 수압파쇄법)기술의 발달로 셰일층으로부터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비용이 줄어들면서 천연가스 발전소 건설이 늘어났다. 석탄화력발전소 인프라의 노후화에 따른 가동 및 건설 중단으로 석탄 수요 역시 줄어들고 있다. 2016년 미국 동부 캔터키주는 사양산업인 석탄 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으로 광섬유산업을 지정하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70년 오일쇼크로 지역 광산이 증가했으며 동부 캔터키주 애팔래치아 주민 대부분이 석탄광산업에 종사했다. 하지만 40년이 지나면서 석탄산업이 위기에 직면했으며 지역경제는 침체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은 피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 정치인과 기업인들은 석탄산업을 대체할 산업을 찾고 있으며 광섬유 네트워크산업이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것으로 믿고 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미국지역 중 가장 열악하기 때문이다.3,400마일의 광섬유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고용창출뿐만 아니라 지역에 5,350만 USD의 세수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시사점 2015년 기준 미국에는 511개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으며 점차 노후화 되고 석유 및 천연가스발전소 및 태양광발전소, 수력발전소 등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발전산업이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석탄발전소를 비롯한 석탄 광산업은 오히려 침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석유 및 천연가스발전소건립, 태양광발전소, 풍력 및 수력발전소 건립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파이프라인 건설프로젝트,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 역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국 동부 캔터키주 등 석탄발전소 산업 및 석탄산업의 침체로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규 산업을 육성하고 부흥시켜야 한다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에너지산업, 새로운 산업단지 육성, 송전선로, 파이프라인 건설, 재생에너지 시설건설 등에 노하우나 기술력을 가진 한국 건설기업에게 미국 진출의 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출처: 그린피스 홈페이지, 시에라클럽 홈페이지, 미국정부홈페이지, 주정부홈페이지, 에너지정보청 홈페이지, 언론보도자료, iNIS수집 및 분석 자료 참조
-
2017-02-20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향후10년간 인프라 관련$US 1375억달러투자 및24만명의고용창출을 위한50개 프로젝트가 포함된 'Priority List: Emergency and National Security Projects' 목록을 발표했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주지사협회(NGA)에주별시급히 해결해야 될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리스트를300개이상제출을 요청했다.미국50개 주지사들은2017년2월 둘째 주에428개의 인프라 프로젝트 제안서를 트럼프 행정부에 제출했다.◈ 'Priority List: Emergency and National Security Projects' Priority List 50개 프로젝트에 투자 예정인 금액 중 약 44.3%는 공공운송을 포함한 철도 인프라에 투자할 예정이며 15.5%는 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한다. 15.4%는 고속도로 및 교량 건설 및 개선, 항공산업에 10.8%를 각각 투자하기로 했다. 선박프로젝트에는 9.4%, 물산업 관련 프로젝트에는 3.1%, 기타 프로젝트에 1.5%를 각각 투자한다.철도인프라에 투자되는 금액 중 142억달러는2017년 개통되는 뉴욕시 맨하탄에 동쪽 Second Avenue지하에 건설되는 Second Avenue subway에 투자한다.에너지프로젝트에는 투자금액의 15.5%인 212억달러가 투자되며 이중 와이오밍(Wyoming)주에 있는 풍력발전지역을 포함해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167억달러를 투입한다. 이외에도 미국-멕시코간 국경 설치, Dakota Access Pipeline완공 등이 포함돼 있다.또한 트럼프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통해 향후 10년간 2만4000개의 직업을 창출해 직접적으로 19만3350명을 고용을 예상했다. 간접고용인원은 24만1700명을 예상하고 있으며 신규 2만4000개의 직업군 중 약 52% 이상이 이 사업으로 통해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US_Donald_Trump - 생일 : 1946년 6월 14일 - 고향 : 미국 뉴욕시티 - 학력 : 포드햄대학, 펜실베니아대학 - 배우자 : 멜라니아 트럼프 - 자녀 :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이반카 트럼프, 에릭 트럼프, 티파니 트럼프, 배른 트럼프◈ U.S. States and Teritories미국NGA는2017년2월둘째주에 50개주주지사들로 부터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428개의 리스트가 담긴 제안서를 접수했다.트럼프 행정부는 지난1월 발표한 ’Priority List 50’인프라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주지사협회(NGA)에서 제출한 프로젝트를 선별해 인프라 건설을 진행할 예정이다.이중루이지애나와텍사스를 관통하는 주간(Interstate) 10번고속도로확장에$US 6500만달러를투자하는 안이 포함돼 있다.미주리주주간70번고속도로 200마일재건설에 20억달러,워싱턴주라이트레일(light rail)확장에70억달러투자하는 방안이 각각 포함됐다.다음은 주에서 제출한 인프라개발 리스트 현황이다.1. 워싱턴주(Washington state)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벤쿠버(Vancouver) I-5 교량, 에버렛(Everett) U.S. 2 트레슬(Trestle) 등을 포함해 지진에 취약한 교량 교체사업에 $40억달러 투자- I-405/S.R. 522 도로 확장에 4억5000만달러 투자▲ US_I-405&SR522▲I-405/S.R. 522 도로(출처: 구글맵)- 안전한 식수 프로젝트에 1억4900만달러 투자- 펏젯 사운드(Puget Sound) 중심부 라이트레일(light rail) 주요확장 프로그램으로 린우드 링크(Lynnwood Link)에 23억달러 투자, Federal Way Link에 19억달러, Redmond Link에 37억달러 각각 투자- 전기자동차 충전 패키지 스테이션, 전기화 촉진 업그레이드 및 보급, 워싱턴 운송시스템 현대화, 오염감축에 20억달러 투자* 제이 인슬리(Jay Inslee) 워싱턴 주지사 ▲ US_Jay_Inslee Washington State Governor - 생년월일 : 1951년 2월 9일 - 고향 :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Seattle, Washington, U.S.) - 배우자 : 트루디(Trudi) - 학력 : 워싱턴대학(시애틀), 윌러메트 대학2. 아이다호(Idaho)주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 현재 및 미래 교통 수요, 안전 증대를 위해 US-95번 도로 용량증대에 3억달러 투자- US-95번 도로의 지역내 사고다발지역 제거 및 재포장에 5000만달러 투자- 늘어난 교통량 수용능력 확대를 위해 남파(Nampa)-콜드웰(Caldwell) 간 I-84번 도로 개선에 3억3000만달러 투자- 콜드웰(Caldwell)-보이시(Boise)간 US 20/26번 친덴(Chinden)대로 용량확대를 위해 2억달러 투자- 남파(Nampa)와 메리디언(Meridian)을 관통하는 I-84번 도로를 가로지르는 SH 16 South 도로의 신규 교량 설치 및 도로선형개량사업에 3억8000만달러 투자- 트윈팔스(Twin Falls)와 제럼카운티(Jerome county)를 연결하는 U.S. 93 Alt 도로의 스네이크 강 횡단로(Snake River Crossing) 신규 건설에 2억달러 투자▲ US_Twin Falls & Jerome_93 Road_Map▲트윈팔스-제럼카운티를 잇는 U.S. 93 Alt 도로(출처: 구글맵)- 라바 핫 스프링(Lava Hot Springs)을 관통하는 U.S. 30 구도로의 현재 및 계획된 교통량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데 2억달러 투자- I-15와 US 20 도로에 연결, 아이다호 팔스(Idaho Falls)내 강을 지나는 인터체인지 2개를 개선하는데 2억달러 투자- 아이다호 팔스(Idaho Falls)와 아이다호 국립연구소(Idaho National Laboratory)사이 US 20 도로의 2차선에서 4차선으로 확장 및 재건축 사업에 2억5000만달러 투자* 버치오터(Butch Otter) 주지사 ▲ US_Butch Otter_Idaho - 생년월일 : 1942년 3월 3일 - 고향 : 미국 아이다호 콜드웰(Caldwell, Idaho, U.S.) - 배우자 : 로리 이즐리(Lori Easley) - 학력 : 세인트 마틴 대학, 보이시 주립 대학, 아이다호 대학3. 미주리(Missouri)주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 인디펜던스(Independence) 동쪽 캔자스 시티 외곽에서 레이크 세인트 루이스(Lake St. Louis)까지 약 200마일 재건축에 20억~40억달러 투자▲ US_Missouri_Map▲미주리(Missouri)주 Map(출처: 구글맵)* 에릭 그레이튼스(Eric Greitens) ▲ US_Eric_Greitens_Missouri Governor - 생일 : 1974년 4월 10일 - 고향 :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St. Louis, Missouri, U.S.) - 배우자 : 시나 체스넛(Sheena Chestnut) - 학력 : 듀크대학, 옥스포드 레이디 마가렛 홀(Lady Margaret Hall, Oxford)4. 캔자스(Kansas)주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 John Redmond Reservoir dredging(존 레이먼드 저주지 준설) 프로젝트 2단계 추진에 1700만달러- 연방저수지 상류 제방 안정화 프로젝트에 5500만달러- 세지윅카운티(Sedgwick County)의 I-235 도로에 9140만달러- 미주리(Missouri)주와 경계에 있는 I-70번 도로 루이스 & 클락(Lewis & Clark) 육교건설에 6370만달러- 토머스 , 고브 카운티(Thomas and Gove counties)의 I-70번 고속도로에 1억2170만달러 투자▲ US_Kansas_Thomas and Gove County▲캔자스(Kansas) 토머스-고브카운티간 I-70도로* 샘 브라운백(Sam Brownback) 캔자스 주지사 ▲ US_Sam_Brownback_Kansas Governer - 생일 : 1956년 9월 12일 - 고향 : 미국 캔자스주 가닛(Garnett, Kansas, U.S.) - 배우자 : 메리 브라운백 - 학력 : 캔자스주립대학, 캔자스대학교5. 캘리포니아(California)주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캘리포니아주는 지난 2월 8일 수요일 트럼프 행정부에 $US 1000억달러 규모 인프라 프로젝트 리스트를 제출했다. 주요 프로젝트 리스트에는 도로, 제방, 교량, 항구, 열차, 공공교통시스템, 물저장, 재활용 프로젝트, 에너지, 군대, 예비역 및 긴급지원 편의시설 등이 포함됐다. 다음은 주요 프로젝트에 포함된 리스트이다.- Los Angeles-Long Beach항 진입 710 Freeway 인터체인지 확장 및 교체▲ US_Los Angeles-Long Beach Interchange▲ Los Angeles-Long Beach항간710번 도로- 효과적인 통행을 위한 신규 진입 창구 설치로 Otay Mesa Mexican 국경보안 강화- Orange County를 지나는 405 Freeway 주요 출퇴근 도로를 따라 16마일의 고속도로 건설- Riverside County에 위치한 15 Freeway, San Bernardino County에 위치한 10 Freeway따라 고속도로 건설- Long Beach에 위치한 Gerald Desmond Bridge 교체- Los Angeles Metro Transit 시스템 개선 및 확장(Purple, Orange선 포함) : 통근자 혜택 및 2024년 올림픽 대비- Los Angeles Metro 레일플릿 교체 및 현대화- San Jose-San Francisco간 포함한 Central Valley 고속철도 건설 확장, Burbank-Anaheim간 고속철도 개선- Los Angeles Regional Recycled Water 프로젝트 건설 : 지하수유역 재충전을 위해 바다로 배출하는 물 정화목적- 지진조기경보시스템 구축- Los Alamitos내 Joint Forces Training Base에 Southern California Regiona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구축캘리포니아주는 주 고속도로와 지방도로 개선에 향후 1360억달러의 여유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다.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교통분야에 새 예산안으로 향후 10년간 연 43억달러를 지출하도록 제안했다.* 제리브라운(Jerry Brown) 캘리포니아 주지사 ▲ US_California Governer Jerry Brown - 생년월일: 1938년 4월 7일 - 고향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California, U.S.) - 배우자 : 앤 거스트 - 학력 : 캘리포니아 대학(버클리캠퍼스), 예일로스쿨6. 오클라호마(Oklahoma)주 인프라 프로젝트 목록미국 오클라호마(Oklahoma)주는 트럼프 행정부에 $US 13억달러 규모의 교통인프라 프로젝트 7개 리스트를 제출했다.주요 프로젝트는 도로건설 및 확장, 댐 복구, 철도 개선 작업, 공항 컨트롤 타워 건설 등이 포함 됐다. 오클라호마주가 제출한 7개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Oklahoma City I-40 도로 재건축에 3억달러 투자- Tulsa I-244도로에서 Jenks와 Glenpool을 지나는 US-75 도로 확장에 3억달러 투자▲ US_I-244 Tulsa▲ Tulsa I-244도로에서 Jenks와 Glenpool을 지나는 US-75 도로- Tulsa Airport 컨트롤 타워 신설에 4300만달러 투자- McClellan-Kerr Arkansas River Navigation Sytem의 댐 복구프로젝트에 1억3500만달러투자(강바닥 준설 포함)- 노후화된 오클라호마 주간 고속도로 개선을 위해 3억달러 투자 : Arkansas River 서쪽 I-44도로, I-244 서쪽도로- 1일 20만대 차량이 통과하는 I-44 와 I-235 인터체인지 재건설에 1억5000만달러 투자- 주를 통과하는 철도 건널목 개량공사에 5000만달러 투자* 메리폴린(Mary Fallin) 오클라호마 주지사 ▲ US_Mary_Fallin Oklahoma Governor - 생년월일: 1954년 12월 9일 - 고향 : 미국 미주리주 워렌스버그(Warrensburg, Missouri, U.S.) - 배우자 : Joseph Fallin(전), Wade Christensen(현) - 학력 : 오클라호마침례대학, 오클라호마주립대학◈ 정부는 최종목표는 노후화된 인프라 재정비 및 교체지만 재원부족으로 어려움 직면미국 정부가책정된 예산만으로 노후화된 도로와 교량,철도등 인프라 시설을 전면 교체하거나 재건축한다는 것은 사실 어려운 실정이다.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인프라 사업은 각주 별 산재해 있는 노후화된 인프라 시설 개선 및 보수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예를 들면미주리주의경우1만400개에 이르는 교량이 있으며 이중펀딩을통해 재건축하고 있는 교량은 8개뿐이다.미주리주정부는 모든 방법을 강구해 노후화된 교량을 개∙보수한다는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미주리주뿐만아니라오클라하마주역시‘2017- 2024 Construction Work Plan’8년 계획을 세웠다.다른 주들 역시 인프라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나 투자가 가능한 자원은 한계가 있다.따라서 미국의 인프라 프로젝트에 컨소시엄,민간자본참여,지분투자,민자개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참여 한다면 신규 프로젝트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