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Non-Fungible Token"으로 검색하여,
3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표준협회(BSI) 홈페이지ISO/IEC JTC 1/SC 17 카드 및 개인 식별을 위한 보안 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의 공동 기술 위원회(JTC) ISO/IEC JTC 1의 표준화 분과위원회다.ISO/IEC JTC 1/SC 17의 국제사무국은 영국에 위치한 영국표준협회(BSI)이며 신분증 및 개인 식별 분야 표준을 개발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2023년 9월27일(수요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ISO/IEC JTC 1 SC17 총회를 위한 ISO/TC 307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SO/TC 307은 블록체인 및 분산원장 기술(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DLT))에 관한 기술위원회다. TC 307은 블록체인 및 DLT 분야에서 증가하는 표준화 요구를 충족하고 더 큰 혁신, 향상된 거버넌스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통해 기술의 광범위한 채택을 장려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보안, 개인 정보 보호, 확장성 및 상호 운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작업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ISO/TC 307이 공개한 문서는 아래 목록과 같다.(IS=International Standard, TS=Technical Specifications, TR=Technical Report를 의미한다.▷ISO/TR 3242:2022 사용 사례(Use cases)▷ISO/TR 6039:2023 블록체인 시스템 설계를 위한 주체 및 객체 식별자(Identifiers of subjects and objects for the design of blockchain systems)▷ISO 22739:2020 어휘(Vocabulary)▷ISO/TR 23244:2020 개인정보 보호 및 개인 식별 정보 보호 고려사항(Privacy and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rotection considerations)▷ISO/TR 23249:2022 ID 관리를 위한 기존 DLT 시스템 개요(Overview of existing DLT systems for identity management)▷ISO 23257:2022 참조 아키텍처(Reference architecture)▷ISO/TS 23258:2021 분류 및 온톨로지(Taxonomy and Ontology)▷ISO/TR 23455:2019 블록체인의 스마트 계약과 분산 원장 기술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개요 및 상호 작용(Overview of and interactions between smart contracts in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systems)▷ISO/TR 23576:2020 디지털 자산 관리인의 보안 관리(Security management of digital asset custodians)▷ISO/TS 23635:2022 거버넌스 지침(Guidelines for governance)▷ISO/TR 23644:2023 DLT 기반 ID 관리를 위한 트러스트 앵커 개요(Overview of trust anchors for DLT-based identity management)■ ISO/TC 307이 진행 중인 작업▷ISO/DTR 6277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 — 블록체인 및 DLT 사용 사례를 위한 데이터 흐름 모델▷ISO/AWI 20435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을 사용한 물리적 자산 표현(Representing Physical Assets using Non-Fungible Tokens)▷ISO/FDIS 22739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 - 어휘(2020 버전 개정)▷ISO/AWI TS 23516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 - 상호 운용성 프레임워크▷ISO/WD TR 23642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 - 스마트 계약 보안 우수 사례 및 문제 개요▷PWIs(Preliminary Work Item, 예비 업무 항목=예비단계)○ ISO/PWI 23095 분산 원장 서비스를 위한 27002(27002 for distributed ledger services)○ ISO/PWI 12833 블록체인 및 분산 원장 기술의 재식별 및 개인 정보 보호 취약점과 완화 방법(Re-identification and privacy vulnerabilities and mitigation methods in 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ISO/PWI 23042 분산형 신원(Decentralized Identity)ISO/TC 307과 관련된 다음 총회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2023년 10월30일~1월3일까지 개최될 예정이다. SC17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 디지털 ID 산업의 발전 전략 [출처=iNIS]디지털 ID(Digital Identity) 분야에서 상호운용(interoperable)이 가능하고 안전한 서비스 보장을 위한 표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표준 조직 및 산업 기관이 활동하는 이유다.디지털 ID 표준을 개발하는 곳은 유럽표준화기구(European Standardisation Organistions),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 SDOs), 상업 포럼 및 컨소시엄, 국가기관 등 다양하다.국제표준(international standard, IS)은 많은 국가 전문가들의 합의에 의해 개발된 문서다. 이렇게 개발된 문서는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Standardisation Organisations, SDOs) 중 하나에 의해 승인 및 발행된다. 전 세계적으로 공인된 국제표준화기구(SDOs)는 세계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ITU)등이 있다.이중 대부분의 국제 디지털 ID와 관련된 활동은 ISO/IEC JTC1, 정보보안(Information Security) 내에서 이뤄지고 있다.관련 관련 분과위원회인 △ISO/IEC JTC1/SC 6 △ISO/IEC JTC1/SC 17 △ISO/IEC JTC1/SC 27 △ISO/IEC JTC1/SC 31 및 연구범위 내에 있는 ISO TC 307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ISO/IEC JTC1/SC 6, 시스템 간 통신 및 정보교환(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systems)과 관련된 실무그룹(Working Group, WG)는 자문그룹(AG) 4개, WG 3개 등이다.▷ISO/IEC JTC 1/SC 6/AG 1 Wearable devices▷ISO/IEC JTC 1/SC 6/AG 2 Concepts and terminology▷ISO/IEC JTC 1/SC 6/AG 3 Systematic review process▷ISO/IEC JTC 1/SC 6/AG 4 MCS innovation▷ISO/IEC JTC 1/SC 6/WG 1 Physical and data link layers▷ISO/IEC JTC 1/SC 6/WG 7 Network, transport and future network▷ISO/IEC JTC 1/SC 6/WG 10 Directory, ASN.1 and RegistrationISO/IEC JTC1/SC 17, 개인식별을 위한 카드 및 보안장치(Cards and security devices for personal identification)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2개, 의장 자문그룹(CAG)1개, 워킹그룹(WG) 7개다.▷ISO/IEC JTC 1/SC 17/AG 1 Registration Management Group (RMG)▷ISO/IEC JTC 1/SC 17/AG 3 Digital wallets▷ISO/IEC JTC 1/SC 17/CAG 1 Chair's Advisory Group▷ISO/IEC JTC 1/SC 17/WG 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test methods for ID-cards▷ISO/IEC JTC 1/SC 17/WG 3 Traveller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4 Generic interfaces and protocols for security devices▷ISO/IEC JTC 1/SC 17/WG 8 Integrated circuit cards without contacts▷ISO/IEC JTC 1/SC 17/WG 10 Motor vehicle driver licence and related documents▷ISO/IEC JTC 1/SC 17/WG 11 Application of biometrics to cards and personal identification▷ISO/IEC JTC 1/SC 17/WG 12 UAS License and Drone/UAS Security ModuleISO/IEC JTC1/SC 27, 정보 보안, 사이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Information security, cybersecurity and privacy protection)와 관련된 실무그룹은 자문그룹 5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3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5개 등이다.▷ISO/IEC JTC 1/SC 27/AG 2 Trustworthines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5 Strategy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6 Oper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7 Communication and Outreach (AG-CO)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G 8 Advisory Group on Conformity Assessment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1 Resolution Drafting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2 Security and privacy in IoT and Digital Twi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AHG 3 Security and privacy in AI and Big Data (BD)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CAG Chair’s Advisory Group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JWG 6 Joint ISO/IEC JTC1/SC 27 - ISO/TC 22/SC 32 WG : Cybersecur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connected vehicle de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1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2 Cryptography and security mechanism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3 Security evaluation, testing and specification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4 Security controls and service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27/WG 5 Identity management and privacy technologies Working groupISO/IEC JTC1/SC 31, 자동 식별 및 데이터 캡처 기술(Automatic identification and data capture techniques)과 관련된 실무그룹은 워킹그룹 4개가 있다.▷ISO/IEC JTC 1/SC 31/WG 1 Data carrier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2 Data and structure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4 Radio communications Working group▷ISO/IEC JTC 1/SC 31/WG 8 Application of AIDC standards Working groupISO TC 307(ISO Technical Committee 307)은 블록체인 기술 및 분산 원장 기술(Block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ies) 관련 실무그룹은 자문그룹(AG) 3개, 특별그룹(Ad-hoc group, AHG) 1개, 의장 자문그룹(CAG) 1개, 공동작업반(JWG) 1개, 워킹그룹(WG) 6개 등으로 구성돼 있다.▷ISO/TC 307/AG 1 SBP Review Advisory Group▷ISO/TC 307/AG 2 Liaison Advisory Group▷ISO/TC 307/AG 3 Digital currencies▷ISO/TC 307/AHG 4 DLT and carbon markets▷ISO/TC 307/CAG 1 Convenors coordination group▷ISO/TC 307/JWG 4 Joint ISO/TC 307 - ISO/IEC JTC 1/SC 27 WG: Security, privacy and identity for Blockchain and DLT▷ISO/TC 307/WG 1 Foundations▷ISO/TC 307/WG 3 Smart contracts and their applications▷ISO/TC 307/WG 5 Governance▷ISO/TC 307/WG 6 Use cases▷ISO/TC 307/WG 7 Interoperability▷ISO/TC 307/WG 8 Non-Fungible Tokens이외에도 다른 위원회 책임 하에 있는 공동 실무그룹은 ISO/TC 46/SC 11/JWG 1Joint ISO/TC 46/SC 11 - ISO/TC 307 WG: Blockchain이다.
-
2022-04-13영국 정부는 영국을 암호화 자산 기술 및 투자의 글로벌 허브로 만들기 위한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스테이블코인을 유효한 지불 방식으로 인증하는 움직임을 발표했다.스테이블코인이 영국의 규제 내에서 인증된 지불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기 위한 것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일반적으로 달러와 같은 명목 화폐에 고정돼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일종의 암호화폐이다. 적절한 규제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지불 수단을 제공해 소비자 선택 폭을 넓힐 수 있다. 입법화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을 지불 규제 내에 둬 스테이블 코인 발행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영국에서 운영 및 투자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려고 하는 있다.정부가 암호화 자산 기술 및 투자를 위한 글로벌 허브로 만들기 위한 일련의 조치 중 일부이다. 조치들에는 NFT 관련 왕립 조폐국(Royal Mint)과의 협력한다.기업 혁신과 FCA 주도 크립토스프린트(CrytoSprint), 업계와 좀더 친밀하게 협력하기 위한 참여그룹 등을 돕기 위한 금융 시장 인프라 샌드박스 구성을 위한 입법화 과정도 포함된다.영국 금융 서비스 분야가 첨단기술을 유지하고 투자 및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비자 선택폭을 확대 하도록 보장해주는 일련의 조치이다.기업이 실험하고 혁신을 할 수 있도록 금융시장 인프라 샌트박스 도입, 업계와 더 긴밀하게 협력하기 위한 Cryptoasset Engagement Group을 설립한다.암호 자산 시장의 추가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영국 세금 시스템의 경쟁력 향상 방안등을 모색해 나가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2022년 여름 NFT(Non-Fungible Token)에 관련 Royal Mint와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왕립 조폐국(Royal Mint) 홈페이지
-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SCMP)에 따르면 중국의 엔터테인먼트 대기업 텐센트(Tencen)가 NFT(Non-Fungible Token) 관련 표준 기술 및 보안 프레임워크 생성을 탐구하는 프로젝트를 주도하도록 승인받았다.이 프로젝트는 'DLT 기반 디지털 컬렉션 서비스를 위한 기술 프레임워크(technical framework for DLT-based digital collection services)'로 중국의 알리바바의 자회사 핀테크 기업 앤트그룹(Ant Group)이 참여한다. 중국 정보통신기술아카데미(Chinese Academ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CAICT), 베이징우편통신대(Beijing University of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저장연구소(Zhejiang Lab) 등을 포함해 다수의 기업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프로젝트는 2022년말까지 초기 초안을 완료할 예정이다. 정보통신기술을 위한 유엔(UN) 기구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이번 국제표준의 목표는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수집품에 대한 기술 아키텍처, 기술 흐름, 기능 요구사항, 보안 요구 사항 등을 구체화하기 위함이다.디지털 수입품에 대한 기술 프레임워크를 형성하는 전 세계적 합의와 공통된 이해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중국 정부는 NFT 생태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더리움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를 권장하지 않고 있다. BSN-DDC에서 사용할 수 있는 10개의 공개 및 허가된 블록체인을 만들었다.BSN(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은 중국 정부가 승인한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로 NFT(Non-Fungible Token) 플랫폼을 출시했다.BSN-DDC(BSN-Distributed Digital Certificate) 네트워크는 중국 정부의 규정을 준수하는 NFT를 만드는 구조로 DDC는 NFT와 동일하다. 하지만 인증 용도를 강조하기 위해 명칭을 변경했다.BSN-DDC은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배포할 수 있도록 개발한 플랫폼이다.따라서 텐센트(Tencen)의 NFT(Non-Fungible Token) 관련 표준 개발 프로젝트는 미국과 유럽 및 글로벌에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이더리움이 아닌 중국 정부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DDC를 기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2022년 2월 초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의가 발표한 전략에서 중국의 표준화 영향력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향후 중국은 글로벌 표준화 작업에 적극 개입하고 타 국가 및 제품들은 중국의 영향력에 놓일 것으로 판단된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SCMP) 홈페이지
-
2022-01-28중국 정부에 따르면 BSN(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이 국내에서 NFT(Non-Fungible Token) 플랫폼을 출시했다. BSN은 국가 승인 블록체인 인프라 프로젝트이다.BSN-DDC(BSN-Distributed Digital Certificate) 네트워크는 중국 정부의 규정을 준수하는 NFT를 만드는 구조이다. DDC는 NFT와 동일하지만 인증 용도를 강조하기 위해 명칭을 변경했다.정부는 NFT 생태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더리움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를 권장하지 않는. 따라서 BSN은 BSN-DDC에서 사용할 수 있는 10개의 공개 허가된 블록체인을 만들었다. 10개의 체인 중 5개는 이더리움 기반 우한 체인(Wuhan Chain), 코스모스 기반 IRISnet을 구동하는 원창 체인(Wenchang ), 코르다 기반 쭌이 체인(Zunyi Chain), FISCO BCOS 기반 타이안 체인(Tai'an Chain) 등이다.BSN-DDC은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개발자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구축 및 배포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일부 플랫폼 파트너사들은 국영 박물관이자 경매회사인 Rong Bao Zhai Auction, 국내 NFT 시장에서 첫 번째 라이센스를 획득한 국영 하이난국제문화예술거래센터(Hainan International Culture and Artworks Exchange Center) 등이다.컨설팅 기업 어니스트 앤 영(EY)의 블록체인 사업부, 비디오 기술 제공업체 슈마비젼(Sumavison), 전자 인보이스 제공업체 바이왕(Baiwang), 홍콩 NFT 기반 기업 Digital Art Fair Asia 등이 참여했다.또한 로드맵 및 거버넌스 구조뿐만 아니라 다른 26개 설립 파트너들은 3월 난징시에서 열리는 출범식에서 발표될 예정이다.참고로 지난 2020년 4월 중국 정부가 전 세계적으로 블록체인 어플리케이션의 배포, 운영을 위한 공통 인프라로 정의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네트워크를 출범시켰다.BSN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산하 정부 싱크탱크 국가정보센터(國家信息中心, SIC)가 주도하는 BSN 발전협회가 감독한다.▲BSN(Blockchain-Based Service Network) 홈페이지
-
2022-01-25홍콩 크루즈 운영업체인 겐팅 홍콩(Genting Hong Kong)에 따르면 2022년 1월말이면 운영자금이 고갈될 것으로 전망된다. 협상을 진행 중인 US$ 28억달러에 달하는 자금 확보에 실패했기 때문이다.자금이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예정된 크루즈 여행은 지속할 방침이다. 특히 싱가포르를 기반으로 운영 중인 드림 크루즈도 정상적으로 가동된다. 중국 배터리 공급업체인 CATL(宁德时代)에 따르면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교환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소유자의 "거리 불안, 재충전의 불편함, 높은 구매 및 운전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다. 배터리 제조업체가 중국 전역의 10개 도시에 스왑 스테이션을 설치하고 사용자가 앱을 통해 서비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만 기반 멀티체인 NFT(Non-Fungible Token) 마켓플레이스 루텍스(Lootex)에 따르면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 $US 900만달러의 자금을 모금했다.자금 조달은 Spartan Capital, Infinity Ventures Crypto, LD Capital,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 Akatsuki 등이 주관했다. 이외 Polygon Studios, Morningstar Ventures, SweeperDAO 등이 참여했다.▲ NFT(Non-Fungible Token) 마켓플레이스 루텍스(Lootex) 홈페이지
-
2022-01-21미국 NFT 마켓플레이스 메타플렉스(Metaplex)에 따르면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46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이번 투자는 Multicoin Capital과 Jump Crypto 등이 주도했다.또한 Animoca Brands, Solana Ventures, Alameda Research, 농구계의 전설 마이클 조단(Michael Jordan), Allen Iverson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투자받은 자금은 사업 운영을 확장하고 커뮤니티 제작자를 지원하는 보조금 등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메타플렉스는 사용자가 자신만의 솔라나(Solana) 기반 NFT(Non-Fungible Token)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메타플렉스는 2021년 6월 프로토콜 출시 이후 8만5000개 이상의 프로젝트와 570만개의 NFT를 생성했다. 분산형 거래, 소셜, 게임 경험을 제공한다. 솔라나의 데이터에 따르면 솔라나 NFT 시장 규모가 이더리움 시장 대비 작지만 최근 시가총액은 10억달러를 초과했다. 메타플렉스와 함께 성장하고 있다.▲ 메타플렉스(Metaplex) 홈페이지
-
미국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이머전 리서치(Emergen Research)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NFT(Non-Fungible Token) 시장 규모가 $US 3573억1630만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지난 2020년 글로벌 NFT 시장 규모는 3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예측기간 동안 연평균 39.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게임 분야 NFT 사용 증가로 인해 글로벌 시장의 수익성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공급망과 물류 분야 NFT 사용 증가, 위조 방지 및 제품 이동 경로 추적 등에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머전 리서치(Emergen Research) 홈페이지
-
미국 NFT 마켓플레이스 메타플렉스(Metaplex)에 따르면 자금 조달 라운드에서 $US 46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이번 투자는 Multicoin Capital과 Jump Crypto이 주도했다.또한 Animoca Brands, Solana Ventures, Alameda Research, 농구계의 전설 마이클 조단(Michael Jordan), Allen Iverson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미국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이머전 리서치(Emergen Research)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NFT(Non-Fungible Token)의 시장 규모가 $US 3573억1630만달러로 성장할 것을 전망된다.지난 2020년 글로벌 NFT 시장 규모 3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예측기간 동안 연평균 39.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워싱턴 D.C. 본부의 세계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2022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4.1%로 2021년은 5.5%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은 3.2%로 더욱 침체된다.세계 각국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활동 둔화, 물가상승률, 금리 인상 등의 3중 위협에 처해짐에 따라 경제성장세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세계은행(World Bank) 홈페이지
-
미국 스타트업 기업 언스토퍼블 도메인(Unstoppable Domains)에 따르면 이더리움(Ethereum)이나 폴리콘(Polygon)용 NFT(non-fungible token) 도메인을 사용하는 SSO(single sign-on) 서비스를 출시했다.'Login with Unstoppable'은 사용자들이 NFT 도메인을 사용해 로그인할 수 있도록 했다. 지난 1년간 NFT 소유권자들이 급증하면서 채택 가능성이 높아진 개념이다.SSO(single sign-on)는 싱글 사인온, 단일 계정 로그인, 단일 인증이라고도 한다. 한 번의 인증 과정을 통해 여러 사이트를 동시에 로그인할 수 있는 통합 인증을 말한다.2018년 초 ERC-721 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해왔었다. ERC-721은 무료 공개 표준으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대체할 수 없거나 고유한 토큰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SSO 프로토콜을 NFT 도메인에 다시 연결해 이메일 주소, 신용점수, KYC(know-your-customer) 데이터와 같은 개인 정보를 공유하길 원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최근 이더리움 네임 서비스(ENS)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주목 받으면서 탈중앙화 ID에 대한 많은 작업이 수행됐다. 주소보다는 NFT로 로그인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사용자 친화적이기 때문이다.NFT로 로그인하면 보관 제공자에게 저장해 ID를 사용할 수 있지만 키 분실에 대한 걱정은 할 필요가 없다. 언스토퍼블 도메인은 .crypto, .nft, .wallet 등으로 끝나는 약 200만 개의 등록된 도메인이 보유하고 있다.50개 이상의 기업들이 2021년 10월 베타 버전으로 출시한 언스토퍼블로 로그인을 통합하고 있다. 참고로 언스토퍼블 도메인은 블록체인 기반 Web 3 세계에 적합한 인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 언스토퍼블 도메인(Unstoppable Domains)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