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안전기준"으로 검색하여,
3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영국] 글로벌 석유기업 BP(British Petroleum, 브리티시 페트롤리움) 6년 만에 개정된 ‘직장 내 관계 규칙’ 강화로 사내 커플도 금지?… 이해 상충 방지위해 4500명 고위 인사 3년간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직원, 친한 동료, 사내 교제 유무 등 사전 고지 의무화[영국] 英 바클레이즈(Barclays) 은행, 親팔레이스탄 시위대와 기후운동가 표적되며 지점 20곳 공격받아 파손… 다수 親팔 단체 '바클레이즈가 이스라엘 군대와 연계된 기업에 수십 억 달러 투자하고 있다'고 주장[영국] 英 비영리 소비자매체 위치(Which?), 항공사 사칭 가짜 소셜미디어 계정 주의 경고… 비행 지연‧수하물 지연 등 긴급사항 위장해 고객 문의에 실제 항공사보다 빨리 응답해 사전 대응 난항[영국] 상하수 관리업체 사우스 웨스트 워터(South West Water), 식수 문제 발생했는데 수잔 데이비 CEO 급여 30만 파운드 인상해 뭇매... 데본(Devon) 지역에서 기생충 발병해 다수 주민 설사‧복통으로 고통아[독일] 도이체 뵈르제(Deutsche Börse, 독일증권거래소), 테오도어 바이머 CEO가 "올라프 슐츠 총리의 리더십 부족이 독일을 경제적 개도국으로 전락시켰다"고 직언… 국제투자자의 독일 이탈 원인으로 총리 탓하자 여당 연합이 반발했지만 2023년 독일 경제성장률 0.2%로 추락[독일] 네덜란드 주방기구 제조업체 AI&E, 알피나(Alpina) 시리즈 17개 제품에서 발암물질 검출로 리콜 조치… 주걱, 스푼, 감자 으깨기 도구 등에서 안전기준 초과한 유해물질 발견[독일] 전기차 수요 부진에 자동차 제조사들 6월 대대적 할인 제공… 테슬라 모델Y 6000유로, 피아트 500 엘렉트로 5000유로, 토요타 bZ4X 8000유로 할인[벨기에] 프랑스‧이탈리아 등 유럽의 우경화로 유로화 가치 하락… 범유럽 지수인 스톡스(Stoxx) 600지수 0.7%포인트 하락해 ‘정치적 불확실성’이 유럽 증시 끌어내려[벨기에] 유럽연합(EU), 중국산 수입 자동차에 징벌적 관세 인상 예고하며 현 10%에서 15~30%로 인상안 논의… 전문가들 전기자동차(EV) 가격 더 높아져 소비자 부담 가중 우려[노르웨이] 비료 대기업 야라(Yara), 노르웨이 포르스그룬(Porsgrunn)에 24MW(메가와트)급 유럽 최대 수소‧암모니아 공장 오픈… 연간 2만500톤(t) 암모니아 생산 및 6~7만t 녹색 비료로 전환 가능▲ 장은영 기자[출처=iNIS]
-
2024-03-19▲ 4대 전략별 재정 투자계획[출처=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에 따르면 18개 부·처·청이 참여하는 국가표준심의회*(의장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이번 계획은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라 수립된‘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 이행을 위해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에서 신수요 국가표준 개발 및 국제표준 선점에 2271억 원을 투입한다.국가표준기본계획은 2023년 11월부터 관계부처와 민간 표준전문가가 참여해 24년도 추진과제를 수립했다. 국가표준심의회는 국가표준기본법 제5조(국가표준심의회)에 따라 의장(산업부 장관), 17개 부처청 차관 및 차관급 공무원, 민간위원 4명 등 총 22명으로 구성됐다.각 부·처·청은 국내 기업의 초격차 경쟁력 확보 지원을 위해 소관 전문 분야에 대한 국가표준화 및 첨단산업 관련 국제표준을 개발하게 된다. '해외인증지원단'운영 등을 통해 해외인증 애로를 해소하고 수출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출을 견인할 예정이다.스마트헬스, 디지털신분증 등 최신기술을 반영한 생활편의 표준을 마련해 국민이 편리한 삶을 영위하도록 견인하고 최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무시동 히터·에탄올 화로 등 생활제품의 안전기준도 마련하기로 했다.또한 국가 연구개발(R&D)과 표준-특허 연계를 강화해 개발기술의 사업화를 촉진하고 표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뒷받침하는 표준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진종욱 국표원장은 “국가표준 주무부처로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을 관계부처가 차질없이 이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업의 혁신성장과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표준의 개발·활용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표준화(산업부 등 7개 부처청)① (디지털기술 표준화) △ AI 신뢰성 확보, 6G 기술성능, 차세대융합보안, 융복합 시스템 상호운용성 등 디지털 전략기술 표준화② (국가유망기술 표준화) △ 지능형반도체, 미래모빌리티, 스마트제조, 차세대 디스플레이, 첨단소재 등 첨단산업 분야 표준 개발③ (저탄소기술 표준화) △ 태양광 및 풍력발전 등 친환경에너지, 바이오연료,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표준화 등 녹색성장 지원□ 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표준화(과기부 등 9개 부처청)① (맞춤형 시험·인증 서비스 확대) △ 전기·생활용품 안전인증기관확대, 첨단 분야 공인시험기관 확대, 탄소검증 국제상호인정협정 추진등② (기술규제 애로 해소) △ 해외인증지원단 운영을 통한 해외시험기관과상호인정 확대, 위해도 수준이 낮은 품목의 안전관리 수준 하향조정등③ (측정표준 개발·보급) △ 첨단산업 상용화를 위한 측정기술개발, 감염병 및 만성질환 검사용 등 표준물질 개발‧보급 등□ 국민이 행복한 삶을 위한 표준화(행안부 등 11개 부처청)① (생활밀착 서비스 표준화) △ 신선배송 등 유통물류 서비스 표준화, ‘국민 생활편의 표준협의회’를 통한 생활밀착 표준 발굴·개발등② (사회안전 서비스 표준화) △ 전자정부 시스템 효율화, 산업안전보건분야 재해예방, 즉석밥·마른김 등 식품류 등 표준화③ (공공·민간데이터 표준화) △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로 전 연령대데이터확보 및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 국산 주요 목재 특성평가 DB화등□ 혁신 주도형 표준화체계 확립(환경부 등 8개 부처청)① (R&D-표준-특허 연계체계 확보) △ R&D 연계 표준개발 지원, 표준특허창출 지원, 국가R&D플랫폼과 표준성과관리시스템 연계 등② (개방형 국가표준체계 확립) △ ISO 회장직 수행 등 국제표준기구활동 강화, 범부처 협력형 표준 개발 사업 운영 등③ (기업 중심 표준화 기반구축) △ 기업의 표준·인증 정보 접근성향상을위한 e나라표준인증 플랫폼 개선, 우수기술 국제표준화 지원등참고로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은 각 부처청 홈페이지에 공고될 예정이다. 관심이 있는 이해관계자는 홈페이를 방문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길 바란다.□ 2024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이행을 위해 약 2,271억원 재정투자계획 수립
-
2022-01-25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에 따르면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선제적 안전기준을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전기차 무선충전기의 시장 출시가 적기에 이뤄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이다.무선으로 전기차를 충전하는 무선충전 기술을 상용화하려면 실증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그동안 전기차 무선충전기에 대한 안전기준이 없어 실증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따라서 국표원은 제정작업이 진행 중인 IEC국제표준(안)을 토대로 지난 2021년 9월부터 예비 안전기준 마련에 착수했다. 12월중 예비안전기준을 우선 제정해 실증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할 예정이다.또한 모발 손질기기, LED조명기기 등 32개 품목의 안전기준을 개정해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제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원격 자동복구 누전차단기와 같은 융복합 신제품의 출시도 지원하기로 했다.특히 고데기와 같은 모발 손질용 제품은 사용 중 부주의로 인해 가열판에 얼굴·손 등이 닿아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발열이 없는 손잡이 부분을 시각·촉각적으로 식별되도록 규정하고 주의사항을 기재토록 할 계획이다.천장조명, 전기스탠드 등의 LED 조명기기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청색광 노출로 인해 사용자의 눈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제품별로 청색광 위험등급에 따라 관리하고 주의사항을 표시하도록 관련 안전기준을 개정할 예정이다.원격 자동복구 누전차단기는 낙뢰 등으로 인하여 무인 통신중계소·기지국 등의 전원이 차단되었을 경우, 원격으로 정전복구가 가능한 제품이다.하지만 현행 안전기준에는 관련 규정이 없어 현장에 적용할 수 없었으나 개선하기 위해 규제샌드박스 임시허가를 진행 중으로 `22년 상반기 중 안전기준을 개정해 현장의 불편함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다.국가기술표준원 이상훈 원장은 "신산업 활성화와 융복합 신제품 출시를 지원하는 한편, 위해 제품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한다는 제품안전의 기본 취지를 지켜나가겠다."고 밝혔다.또한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예비안전기준 도입 등의 유연한 정책 대응을 확대하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리적인 규제 마련에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국가기술표준원 이상훈 원장(출처 : 국표원)
-
미국 노스다코다주에 따르면 미국 최초의 비가시권(BLVOS) 드론 네트워크 시스템 ‘벤티스(Vantis)’의 첫 운영 테스트가 시작될 예정이다.벤티스는 10년 전 노스다코다주로부터 초기 개발자금 US$ 2800만달러가 투입되면서 연구가 시작됐다. 글로벌 방산업체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Collins Aerospace), 탈레스(Thales), L3Harris 등도 참여했다.벤티스는 드론용 교통관제시스템으로써 주 전역을 관리하기 위해 그동안 물리적 인프라 시설을 구축해 왔다. 대부분의 기반시설이 마련되면서 첫 운영 테스트 단계만 남겨 놓은 상태다.비가시권 드론 비행이 가능하려면 벤티스와 같은 시스템으로 기체 간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감지 센서, 무선 통신, 원격 조종, 데이터 처리, 관제소 통제 등 복합적인 과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돼야 한다.특히 이번 프로젝트가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이목을 끄는 것은, 비가시권 드론 비행의 첫 운영 시스템이자 연방항공청(FAA)의 승인을 앞두고 있기 때문이다.프로젝트 담당자들과 연방항공청은 시스템 운영과 안전기준 충족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연방항공청이 승인할 경우, 비가시권 드론 사업을 진행할 모든 기관 및 기업이 벤티스를 사용하거나 참고해야 한다.참고로 노스다코다 주정부는 "지난 6월, 벤티스 프로젝트의 더욱 빠른 시행을 촉구하기 위해 보조금 2000만달러를 추가 투입하겠다"고 밝혔다.▲벤티스 프로젝트 홍보자료(출처 : 벤티스 홈페이지)
-
미국 레스토랑 체인점인 칙폴레(Chipotle Mexican Grill)에 따르면 식품안전 위반으로 $US 2500만달러의 벌금을 납부할 계획이다.벌금을 납부함과 동시에 식품안전기준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이와 같은 조치는 법무와 관련 사항을 합의했기 때문이다.미국 글로벌 수퍼마켓체인점인 월마트(Walmart)에 따르면 머리 염색약의 매출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집에서 머리 염색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정부는 코로나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주택에 머물기 등을 명령했다. 미장원과 같은 장소도 방문할 수 없다.미국 글로벌 컨설팅업체인 맥킨지(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향후 12~18개월 동안 다수의 글로벌 패션업체들이 파산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된다.소규모 의류업체뿐만 아니라 고가의 고급브랜드도 경영악화의 어려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미국과 유럽의 소비자들이 의류의 구매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맥킨지(McKinsey & Company) 로고
-
인도 음식배달업체인 스위기(Swiggy)에 따르면 2019년 회계연도 순이익은 Rs 234.5억루피의 손실을 기록했다. 전년도 38.5억루피 손실과 비교하면 크게 확대된 것이다.2019년 매출액은 112.2억으로 집계돼 전년도 41.7억루피에 비해서는 2.7배 늘어났다. 2019년 총비용은 363.7억루피로 전년 84.1억루피에 비해 증가했다.미국 글로벌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에 따르면 인도의 국내 가계소비의 위축이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시골가정의 수입감소, 일자리 창출의 지연 등도 경제성장에 마이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신용부실 문제도 심각한 이슈로 부상했다.인도 연구기관인 과학환경센터(CSE)에 따르면 국내에서 판매되는 포장식품에 소금과 지방이 너무 많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식품안전기준청(FSSAI)에서 권장하는 수치를 크게 초과하고 있다.칩스, 남킨, 라면, 햄버거, 피자, 와플, 샌드위치, 튀김 닭고기 등 33가지 포장음식을 대상으로 소금, 지방, 트랜스지방 등을 분석했다. ▲과학환경센터(CSE) 로고
-
인도 규제기관 식품안전규제청(FSSAI)에 따르면 식품 상품에 대한 광고 및 상표를 통제하는 신규 규정이 발효됐다. 신규 규정에 따라 특정 단어 및 문구 이용이 제한된다. 제한되는 문구 목록에는 자연, 오리지널, 전통적인 등이 포함된다. 세부 기술 가이드라인은 규제 내에 포함되며 상품 홍보에 이용되기 위해서는 제조업 과정에서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인도 택시서비스업체 올라(Ola)에 따르면 일본 소프트뱅크(SoftBank)가 US$ 10억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라의 신규 펀딩 라운드에서 제안된 사항이다. 펀드를 지급 받으면 올라는 식품 배달서비스 사업을 향상하거나 혹은 온라인 약국사업 등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라는 최근 의약 부문에 대한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인도 인프라개발 및 금융기업 IL&FS(Infrastructure Leasing and Financial Services)에 따르면 재정 위기 및 부채 문제에 대한 단일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규 이사회는 IL&FS의 9100억루피 규모의 채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신용과 자금이 충분한 투자자들로부터 상당한 규모의 자본 투입이 필요하지만 현재 실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IL&FS(Infrastructure Leasing and Financial Services) 로고
-
인도 정부에 따르면 설탕 생산을 제외하고 사탕수수로만 에탄올 100%를 생산할 경우엔느 높은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사탕수수를 통해 에탄올 생산을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 국내 설탕 생산량을 줄이기 위해 에탄올 생산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설탕을 과다하게 섭취할 경우에 건강에도 해롭지만 생산량 과다로 가격하락도 농가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인도 일용 소비재기업 파탄잘리(Patanjali Ayurved)에 따르면 2018년 9월 13일 유제품 산업에 진출할 계획이다. 유제품 상품은 우유, 커드, 버터밀크(bttermilk), 치즈 등이다.유제품 산업에 진출해 2020년까지 매출액을 100억루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정했다. 우선 2018 회계연도 말까지 유제품 매출액을 50억루피 창출할 계획이다. 인도 국영석유기업 바랏석유(BPCL)에 따르면 2018년 9월 액화석유가스(LPG) 시설을 뭄바이(Mumbai) 외부로 이전하기로 결정됐다. 뭄바이정제소의 사고를 최소화하고 안전기준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2018년 8월 뭄바이정제소에서의 화재 사고로 인한 손실액은 9억7000만루피로 집계됐다. ▲BPCL(Bharat Petroleum Corporation Ltd) 로고
-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인도 콜카타(Kolkata)의 대기오염도는 국내 2위로 집계됐다. 1위는 수도인 델리(Delhi)였다.2018년 5월 2일 발표된 이번 보고서는 2016년을 기준으로 100개국 4000개 이상 도시를 조사한 결과가 포함됐다. 콜카타의 대기오염 속도는 델리보다 더욱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연간 대기 측정치에서 콜카타의 경우 글로벌 안전기준에서 7배 높다. 2018년 대기오염도는 더욱 심각할 것으로 전망된다.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인 차량 증가, 건설활동 증가, 바이오매스 이용율 상승으로 인해 특히 2017년에 오염도가 급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세계보건기구(WHO) 로고
-
인도네시아 재무부에 따르면 2018년 관광객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념품 수입관세에 관한 규정을 완화하기로 결정했다.현재 기념품 수입관세 기준은 US$ 250달러(약 330만루피아)를 초과할 경우 세금이 부과됐다. 개정된 규정에서는 US$ 500달러로 조정된다.인도네시아 경제금융개발연구원(INDEF)에 따르면 2018년 말 정부부채액은 4300조루피아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프라 개발에 할당된 예산지출이 지속되기 때문이다.2017년 말 정부부채액은 4000조루피아에 달한 것으로 추산됐다. 정부에서 설정한 부채비율 안전기준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30%인데 점차 한계선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다.▲1000루피아 지폐(출처 : 중앙은행)인도네시아 제약업체 KAEF(PT Kimia Farma Tbk)에 따르면 2018년 사업공정의 '디지털화'로 업무효율성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해당 디지털플랫폼은 제품 연구개발, 제조, 유통, 공급, 소매에 이르기까지 사업공정(business processes) 전반을 대상으로 커버할 계획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