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원유 및 가스 판매 수익 감소"으로 검색하여,
1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영국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의 분기별 다이아몬드 생산량 통계. [출처=드비어스 홈페이지] 2024년 7월 아프리카 광업 주요동향은 나이지리아와 이집트,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보츠와나, 잠비아의 광업 통계 등을 포함한다.국제가스연맹(IGU)에 따르면 2023년 나이지리아 액화천연가스(LNG) 수출량은 1300만톤(t)으로 2022년 1510만t과 대비해 13% 감소했다.남아공 데이터 기업인 더 아웃라이어(The Outlier)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다이아몬드 생산량은 610만 캐럿으로 2022년 1020만 캐럿과 비교해 급락했다. ○ 국제가스연맹(IGU),은2023년 나이지리아 액화천연가스(LNG) 수출량 1300만톤(t)으로 2022년 1510만t 대비 13% 감소하며 세계 6위에서 8위로 하향했다고 밝혔다.LNG 수출량 감소의 원인은 노후화된 유전의 생산량 감소와 파이프라인 파손, 가스 운송 문제 등으로 조사됐다.○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은 향후 12개월 동안 전국 액화천연가스(LNG) 주유소 3곳, 압축천연가스(CNG) 주유소 100곳 설치할 계획이다.국내 에너지 조성을 다양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휘발유를 대체할 연료 인프라시설을 개발할 방침이다.○ 나이지리아 석유 및 천연가스 회사인 프라즈에너지(FrazEnergy)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엔지니어링 및 제조업 회사인 갈릴레오 테크놀리지(Galileo Technologies)와 소각가스 전환 기술에 대한 랜드마크 계약을 체결했다.소각가스를 전력 발전용 연료와 비료 및 메탄올 생산용 연료, 공급원료로 전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탄소 배출량의 감소와 가스 산업 인프라시설의 간격을 메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나이지리아 라고스 주정부(LASG)에 따르면 네덜란드 전자기기 폐기물(e-waste) 재활용 기업인 클로즈더루프(Close the Loop BV)와 라고스에 용광로 공장을 개발하기 위한 의향서(LOI)를 체결했다.라고스주의 전자기기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일 발생하는 폐기물량은 1만3000톤(t)으로 폐기물 재활용과 새로운 지역사회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집트 내각에 따르면 가스 및 원유 탐사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 합의 계획 5개의 투자 비용으로 US$ 2억 달러를 승인했다. 국영 기업과 국제 기업들이 참여하는 탐사 프로젝트를 포함한다.가스 및 원유 생산 지역을 확장해 국내 전력 소비량을 충족시키고 액화천연가스(LNG) 수출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남아공 석탄 수출업체인 리쳐드베이 석탄 터미널(RBCT)의 석탄 수송 현장. [출처=RBCT 홈페이지]○ 남아공 광업회사인 엑사로 리소시스(Exxaro Resources Ltd)은 2024년 석탄 수출량 전망치 660만메트릭톤(Mt)으로 이전 전망치 대비 9% 상향했다.2024년 1~5월 철도운송회사인 트랜스넷 화물출도(TFR) 통한 석탄 수송량 2030만Mt로 전년 동기간 4721만Mt 대비 감소하며 수송량 22년 최저치 기록해 벨파스트(Belfast)를 중심으로 수출 통로 대체할 방침이다.○ 남아공 광업회사인 메나르(Menar)은 망간 제련 시설인 메탈로이스(Metalloys)의 용광로 개조에 US$ 1억 달러 투자 계획이다.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용광로 기술로 전환하는 등 기존 인프라시설의 재투자와 재공업화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아공 광산기업인 시바니 스틸워터(Sibanye-Stillwater)은 운영 재구축의 일환으로 1월부터 인력 14%를 감축했다.2022년 말 8만1500명에서 7만 명으로 축소 조치를 한 것으로 지난 18개월 동안 직원 및 도급자 약 1만1500명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남아공 광산 투자회사인 Assore에 따르면 캐나다 광산 탐사 및 개발회사인 마리마카 쿠퍼(Marimaca Copper)의 지분을 C$ 6800만달러(R 9억 랜드)에 인수했다.Assore가 처음으로 아프리카가 아닌 지역의 광산에 독점적으로 투자한 것이다. 마리마카 쿠퍼는 칠레 안토파가스타(Antofagasta)주에서 마리마카 프로젝트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마리마카 광산 프로젝트는 구리 0.45% 등급의 자원 2억 톤(t)이 매장된 것으로 전망된다. 구리가 포함된 자원 90만t과 동등한 양으로 지난 10년 간 세계에서 발견된 가장 큰 구리가 매장된 광산이다.○ 남아공 PGM 생산업체인 노샘 플라티늄(Northam Platinum Ltd)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백금족 원소(PGM) 생산량을 10% 늘렸다.3월부터 노샘 플라티늄은 일부 프로젝트의 확장 및 개발 계획을 중단했다. PGM 시장의 불황과 금속 가격, 광업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당분간 인수나 합병 계획 없이 내부 운영에 집중할 방침이다.2024 회계연도 제3자 구매를 포함한 총 정제 금속량은 103만 온스(oz)로 연간 생산량이 100만 oz를 넘긴 것은 회사 역사상 처음이다.○ 남아공 데이터 기업인 더 아웃라이어(The Outlier)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다이아몬드 생산량은 610만 캐럿으로 2022년 1020만 캐럿과 비교해 급락했다.2022년 다이아몬드 생산량이 최고치로 R 277억 랜드의 매출액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 2023년 생산량은 지난 10년 간 최저치다. 2023년 이전 국내 연간 평균 다이아몬드 생산량은 850만 캐럿이었다.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의 림포푸(Limpopo) 베네치아(Venetia) 다이아몬드 광산이 2022년 12월 노천광(open-pit) 운영을 중단한 것이 가장 큰 원인으로 판단된다.드비어스의 베네치아 광산은 노천광 운영을 중단하기 전 국내 연간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40%를 기여했다.참고로 드비어스는 베네치아 광산의 수명을 2040년까지 늘리기 위해 지하광산을 개발하고 있다. 향후 8800만캐럿을 채굴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아공 석탄 수출업체인 리쳐드베이 석탄 터미널(RBCT)에 따르면 2024년 석탄 수출량은 5000만 톤(Mt)으로 전망된다. 2023년 석탄 수출량인 4720만t과 대비된다.철도운송회사인 TFR(Transnet Freight Rail)의 운영이 7월 동안 원활한 수준을 유지해 전체 석탄 수출량이 5500만t까지 향상할 것으로 전망된다.RBCT와 TFR가 트렌스넷 철도의 설비와 철도 운영 부문에서 협업한 성과가 7월 이후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남아공 백금족(PGM) 금속 생산 및 광산기업인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Amplats)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모르티머(Mortimer) 제련소를 폐쇄하며 비용을 R 49억 랜드 절감했다.모르티머 제련소의 운영을 중단하며 직원 3700명이 영향을 받았다. 이중 직원의 75%가 회사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앵글로 아메리칸 플래티넘은 2023년 연간 운영 및 자본 비용을 100억 랜드 낮추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향후 모르티머 제련소에 10억 랜드를 투자해 워터벌(Waterval) 제련소의 광재를 보관하는 시설로 재설계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 영국 다국적 광산기업인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 plc)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시장 현황에 따라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의 다이아몬드 생산량을 축소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2024년 2분기 중국 소비자의 수요가 저조한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다이아몬드 재고량도 평균보다 높은 수준이며 시장 회복이 더딜 것으로 전망되어 운영 자금 및 현금 유지에 집중할 방침이다.2024년 4월 드비어스는 2024년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 전망치를 2600만 캐럿에서 2900만 캐럿 사이로 이전 전망치 대비 10% 하향했다.드비어스의 보츠와나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은 2024년 2분기 470만 캐럿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19% 감소했다. 보츠와나는 전체 다이아몬드 생산량의 다수를 차지한다.○ 남아공 철광석 회사인 쿰바 철광석(Kumba Iron Or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철광석 저장량이 820만톤(Mt)으로 2023년 12월말 710만t 대비 증가하며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국영 철도 및 항만기업인 트랜스넷(Transnet)의 운영이 계속해서 지체되며 철광석 유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유통망 문제와 기상 악화로 철광석 판매에 악영향을 끼쳤다. 2024년 상반기 철광석 판매량은 1810만t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5% 감소했다.2024년 상반기 평균 기본 수익은 R 68억5000만랜드에서 73억5000만랜드 사이로 전망된다. 수익은 전년 동기간 대비 24%에서 29% 사이로 감소했다.○ 영국 광산회사인 페트라 다이아몬드(Petra Diamonds)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탄자니아 윌리엄슨(Williamson) 다이아몬드 광산 생산량은 273만 캐럿으로 집계됐다.페트라 다이아몬드는 2022년 11월 홍수 피해로 윌리엄슨 광산의 운영을 지연하며 생산량을 이전보다 낮게 예상했다. 2023년 광산 운영을 재개했다.다이아몬드 판매량은 312만 캐럿으로 전년과 비교해 3분의 1 증가했다. 다이아몬드 매출액은 US$3억6600만달러로 13% 상승했다.해당사의 부채는 중반기 2억1200만달러에서 2억100만달러로 낮췄다. 캐시플로우가 향상되며 부채 압박을 해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다이아몬드 가격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여 시장 상황은 계속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 보츠와나 통계청(StatsBots)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국내총생산(GDP) 5.3%로 전년 대비 5.3% 축소됐다. 다이아몬드 산업과 광업 및 채굴 산업의 실질 거래 가치가 46.8%와 24.8%로 각각 하락하며 1분기 GDP가 하향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츠와나 킴벌리 프로세스(KP)에 따르면 2023년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 순위에서 처음으로 러시아가 보츠와나를 초과해 1위를 기록했다. 2023년 러시아의 원석 생산량은 3730만 캐럿으로 총 가치는 US$ 36억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보츠와나의 다이아몬드 원석 생산량은 2510만 캐럿으로 전년 2450만캐럿과 비교해 상승했다. 2023년 원석 총 가치는 32억8000만 달러로 1캐럿당 평균 가격은 131달러로 전년 총 47억 달러에서 1캐럿당 평균 가격 192달러와 비교해 내렸다.○ 잠비아 정부에 따르면 2027년까지 연간 구리 생산량 100만 톤(t)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2025년부터 2027년까지 구리 생산량을 40% 이상 높일 계획이다.2031년까지 구리 생산량을 300만t으로 4배 이상으로 늘리고자 한다. 잠비아 수출 수입의 70%는 구리 수출이 차지한다.하카인데 히칠레마(Hakainde Hichilema) 대통령은 2023년 12월 모파니 구리 마인즈(MCM)을 아랍에미리트 광산기업인 IRH(International Resources Holdings)에 매각하는 것을 승인하기도 했다. 모파니 구리 마인즈는 세계 최대의 광산 중 하나로 구리와 코발트를 주로 수출한다.이전 정부와 마찰과 빈번하게 변동되는 세수 문제로 2023년 잠비아의 구리 생산량은 69만8566t으로 14년 최저치를 기록했다.
-
▲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 로고[출처=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홈페이지]2024년 7월 4주차 인도 경제동향은 태양광 발전회사의 실적, 호텔의 실적, 석유업체의 사업 현황, 은행의 영업 현황 등을 포함한다.정부가 향후 3년 이내 농업 분야에서 전국에 공공 디지털 인프라(DPI)을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당국을 운송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항공 및 선박의 유지 및 보수, 점검(MRO) 산업에 대한 규정을 완화한다.인도 수즈론 에너지(Suzlon Energy)의 1분기 순이익은 30억2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00% 증가했다.○ 인도 외교부(MEA)에 따르면 2024-25년도 예산 중 방글라데시에 대한 개발지원금을 12억 루피 배정해 전년 대비 40% 감액했다. 전체 488억3000만 루피 중 상당한 부분이 네팔, 스리랑카, 부탄, 몰디브, 아프가니스탄, 미얀마에 결정됐다.부탄은 206억8560만 루피를 할당받음으로써 가장 높은 예산이 배정된 것으로 확인되나 2023년 240억 루피에 비해서는 감소한 수치이다. 네팔은 전년 55억 루피에서 2024년 70억 루피를 할당받아 가장 큰 수혜를 받았다.외교부의 2024-25년 회계연도의 예산 추정치는 2215억5000만 루피로 2023-24년 회계연도의 1805억 루피보다 많으나 해당 연도의 개정된 추정치 2912억1000만 루피보다는 적다.2023-24년도 동안 인도 정부는 외국 정부에 654억1790만 루피를 지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4-25년도는 566억7560만 루피를 지원할 것으로 예상한다.○ 인도 정부는 앞으로 3년 이내로 농업 분야로 하여금 전국에 공공 디지털 인프라(DPI)를 도입할 계획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애그리스택(AgriStack), 농업 관련 결정 지원 시스템(Krishi-DSS), 그리고 토양 개요 지도(Soil Profile Maps)로 구성된다.지난 회계연도부터 우타르 프라데시주와 마하라슈트라주에서 진행한 시범 사업에 따라 6000만 농부와 그들의 토지가 농업인 및 토지 명부에 기록될 예정이다. 더해 이들을 대상으로 카리프 수확철 시기 400개 지구에서 디지털 작물 조사를 진행한다.또한 당국의 운송 중심지로써 기능하기 위해 항공 및 선박의 유지 및 보수, 점검(MRO) 산업에 대한 규정을 완화할 방침이다.수리를 위해 수입된 물품의 수출 기간을 6개월에서 1년으로 연장하며 같은 맥락에서 품질 보증 목적으로 한 재수입의 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늘린다.○ 인도 풍력 및 태양광 발전 회사 수즈론 에너지(Suzlon Energy)에 따르면 2024년 6월30일 끝난 분기의 순이익은 30억2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00% 증가했다. 당사의 운영 수익은 201억6000만 루피로 전년 대비 50% 늘어났다.수즈론 그룹은 전세계 17개국에서 풍력 발전 용량 20.8기가와트(GW)를 보유해 재생 에너지를 공급 시장의 선두를 이끌고 있다. 수즈론 에너지는 국내 푸네에 본사가 위치하며 독일, 네덜란드, 덴마크, 인도에 연구 시설을 두고 있다.○ 인도 최대 석유정체업체인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Reliance Industries)에 따르면 미국 정부로부터 베네수엘라산 원유 수입을 허가받았다. 백악관이 베네수엘라에 대한 경제제재 조치를 취하고 있는 와중에 얻은 결과다.하지만 미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미국 정부는 2023년 베네수엘라에 대한 금과 석유 수출을 일부 허용했다. 베네수엘라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이 자유 및 공정 선거에 동의했기 때문이다.2024년 6월 베네수엘라의 1일 원유수출량은 65만4000배럴로 2020년 4월 이후 가장 많았다. 릴라이언스 인더스트리 외에도 인도 국영석유천연가스공사의 해외 투자법인인 ONGC Videsh도 베네수엘라에서 원유를 수입하고 있다.○ 인도 인프라 기업인 L&T(Larsen and Toubro)은 2024년 6월 마감 1분기 순이익은 ₹278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49억3000만 루피 대비 12%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5512억 루피로 전년 동기 4788억2000만 루피 대비 15% 늘어났다.1분기 EBITDA는 561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486억9000만 루피와 비교해 10.2% 확대됐다. 2024년 6월30일 기준 총수주액은 4조9000억 루피에 달한다. 전분기 대비 3%, 전년 동기 대비 19% 각각 확대됐다.○ JSPL(Jindal Steel and Power Ltd)은 2024년 6월 마감 1분기 세후 이익은 ₹145억654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39억9520만 루피 대비 4%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총수입은 1286억535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232억4570만 루피에 비해 소폭 늘어났다.1분기 비용은 1089억55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045억4990만 루피에 비해 증가했다. 1분기 철강 생산량은 205만 톤(t)으로 전년 동기 204만t과 비슷하게 유지했했다. 1분기 철강 판매량은 209t으로 전년 동기 184t과 비교해 확대됐다.○ 인도 아다니 그린(Adani Green)은 2024년 6월 마감 1분기 순이익은 Rs 44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2억2000만 루피 대비 38%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283억4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16억2000만 루피와 비교해 31% 확대됐다.매출액을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전력 공급 부문의 매출액은 252억8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04억5000만 루피 대비 24% 늘어났다. 전력 공급 부문의 EBITDA는 237억4000만 루피로 23% 증가했다.전력 공급 부문의 실적이 개선된 것은 2023년 2618메가와트(MW)의 전력을 판매했기 때문이다. 기타 수입은 26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17% 확대됐다. 아나디 그린은 전력구매협정 하에 연간 할당량보다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인도 호텔업체인 인디안 호텔(Indian Hotels Company)은 2024년 6월 마감 분기(Q1FY25) 세후이익(PAT)은 ₹24억8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22억2000만 루피 대비 11.7% 증가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매출액은 155억 루피로 전년 동기 146억6000만 루피 대비 5.7% 확대됐다.새로 사업을 시작한 Ginger, Qmin, Stays, Trails 등의 호텔이 16억2000만 루피의 매출 상승에 기여했다. Q1FY25 동안 6개의 호텔을 오픈했으며 지속적으로 호텔 체인을 확대하고 있어 매출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2025 회계연도 1분기는 2024년 6월 말에 종료된다. ○ 인도 카나라 은행(Canara Bank)는 2024년 6월 마감 1분기 순이익이 Rs 390억5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353억4000만 루피 대비 10% 늘어났다고 밝혔다. 1분시 순이자수입은 916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866억6000만 루피 대비 6% 증가했다.1분기 영업이익은 761억6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760억6000만 루피 대비 소폭 상승했다. 국내경제가 코로나19 팬데믹에서 회복되며 은행의 대출액과 이자수입 모두 개선되고 있다.○ 인도 식품 기업인 네슬레 인디아(Nestle India)는 2024년 6월 마감 1분기 순이익이 ₹74억6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69억8300만 루피 대비 7% 증가했다고 밝혔다. 1분기 매출액은 481억40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464억8500만 루피와 비교해 3.3% 늘어나는데 그쳤다.1분기 동안 낮은 소비 성장, 식품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생필품 가격의 등락 등으로 매출을 성장시키기 어려운 여건이 조성됐다. 12개 상위 브랜드 중 5개의 매출액이 2자릿수로 증가했다. 커피, 코코아, 곡물, 시리얼 등 재료가격이 상승하는 것도 마진을 확대하는 걸림돌로 작용한다.
-
▲ 중동·아프리카 주요 국가 [출처=iNIS]2024년 6월 중동·아프리카 광업 주요 동향은 카타르 국영석유기업인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에 따르면 미국 비료회사인 코흐 비료(Koch Fertilizer)와 15년 기간의 요소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남아공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에 따르면 랩 다이아몬드 브랜드인 라이트박스(Lightbox)의 귀금속 판매를 장기간 중단할 계획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영석유천연가스회사인 사우디 아람코(Saudi Aramco),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기업인 넥스트디케이드(NextDecade)와 자회사 간 주요 조건합의서(HoA) 체결... 합의서에 따라 사우디 아람코는 향후 20년간 LNG 연간 120톤(MTPA) 구매 계획[카타르] 국영석유기업인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 미국 비료회사인 코흐 비료(Koch Fertilizer)와 15년 기간 요소 공급 계약 체결... 2024년 7월부터 카타르산 요소 연간 74만t(MTPA) 제공[카타르] 국영석유기업인 카타르에너지(QatarEnergy), 향후 10년 간 인도 석유기업인 할디아 페트롤리엄(HPL)에 나프타 200만톤(t) 공급 계약 체결... 2분기부터 공급이 시작될 예정이며 양국간 에너지 파트너쉽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카타르] 국영석유회사인 카타르 에너지(QatarEnergy), 일본 석유화학회사인 에네오스 주식회사(ENEOS Corporation)에 2024년 7월부터 향후 10년간 나프타 최대 900만 톤(t) 공급 계약 체결... 양사 간 체결된 계약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장기간 프로젝트로 파트너쉽 강화를 통한 상호이익을 높일 방침[쿠웨이트] 국영석유공사(KPC), 알주르 정제소(Al-Zour refinery) 최대 생산량 1일 61만5000배럴(bpd)로 상향하며 글로벌 정제소 상위 7위 기록... 1일 생산량에 프리미엄 나프타 8만6000배럴, 항공연료 9만9000배럴, 저유황경유 14만7000배럴 포함[나이지리아] 석유회사인 Oando Plc, 2023년 매출 3조5000억나이라... 원유 외환 수입과 판매량 증가로 1년 전 매출액 대비 78.9% 상승[나이지리아] 복합기업인 당코테(Dangote), 처음으로 유럽 지역에 항공용 연료 화물 수출... 4월부터 아프리카 대륙 내 운송 시작[나이지리아] 투자회사인 AA홀딩스(AA Holdings), 국내 원유 및 가스 산업 생산량 안정되려면 매년 US$ 200억~250억 달러 투자 필요... 석유 절도와 빈번한 파이프라인 파손 문제로 글로벌 기업들 투자 규모 축소[나이지리아] 통계청(NBS), 4월 휘발유 평균 소매가 1리터당 701.24나이라... 전년 254.06나이라 대비 176.02% 급상증[나이지리아] 에너지 기업인 슈나이더 일렉트릭(Schneider Electric), 아프리카 교외지역 인구 9억 명에게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 제공 목표... 에너지 솔루션 시설 배치할 계획[나이지리아] 통계청(NBS), 1분기 원유 수출액 154조 나이라로 전년 103조 나이라 대비 50.2% 급증... 원유가 수출액의 88%를 차지하며 외화벌이의 주된 수입원[나이지리아] 국영석유기업(NNPC), 8월부터 소규모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3개 시작 계획... 압축천연가스(CNG) 마더스테이션(Mother Station) 6개 추가 계획에 대한 투자 결정도 완료할 방침[나이지리아] 규제청인 업스트림석유규제위원회(NUPRC), 2024년 석유 입찰 라운드에 심해 연안 원유 블록 17개 새로 추가하며 입찰 목록 총 36개... 석유 및 가스 자원의 생산량 상승, 탐사 활동 데이터 수집, 업스트림 부문의 투자 활성화 효과를 기대[나이지리아] 석유수출국기구(OPEC), 5월 원유 평규 생산량 1일 125만 배럴로 4월 1일 평균 128만 배럴 대비 감소... OPEC+ 회원국의 2024년 5월 총 원유 공급량은 1일 평균 4090만 배럴 집계[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 프랑스 석유 회사인 토탈에너지(TotalEnergies)와 협업벤처(JV)로 리버스주(Rivers State)의 새로운 가스 가공시설 개발에 US$ 5억5000만달러 투자 계획... 가동 시 하루 가스 생산량 3억5000만표준입방피트 전망[남아공] 다이아몬드 회사인 드비어스(De Beers), 랩 다이아몬드 브랜드인 라이트박스(Lightbox)의 귀금속 판매를 장기간 중단할 계획 ... 천연 원석과 랩 다이아몬드 차별화 목적[남아공] 정부, 2024 회계연도 연료세 추가 부담금 890억 랜드로 전망... 지난 2년간 연료가격 50% 이상 인상, 10년 전과 비교해 2배로 급상승하며 연료세 세수 지난 10년간 7300억 랜드 징수[남아공] 시민사회단체인 PAPPPI(People Against Petrol and Paraffin Price Increases), 정부가 국내 독점기업에 특별세 부과하면 연료 가격 1리터당 35%까지 감축 가능할 것... 1리터당 20랜드 이상의 높은 연료 가격이 전반적인 생활에 영향을 끼치기에 가격 완화는 필수라고 주장[남아공] 파이프라인 운송회사인 트랜스넷(Transnet), 대법원이 6월18일 화학 및 에너지기업인 사솔 오일(Sasol Oil)에 대한 손해 배상 60억 랜드 이상 지불할 것 명령... 2017년부터 사솔 오일과 에너지기업인 토탈에너지(TotalEnergies)는 트랜스넷이 수년간 원유 수송 가격을 과도하게 책정했다고 주장하며 법정 공방 시작[남아공] 광산업체인 툰겔라(Thungela), 온열용 석탄 가격의 인하로 2024 회계연도 상반기 수입은 최대 69% 하락할 것으로 전망... 유럽과 아시아 지역의 예상보다 낮은 겨울 에너지 수요와 거시경제 불안정성, 지정학적 제약, 남아공 리처드 베이(Richards Bay)항 철도의 실적 저하가 운영 리스크로 남아[짐바브웨] 정부, 밀수 우려로 금 생산량 감소 문제를 수사할 방침... 국내 소규모 금광 기업의 금 생산량이 평균 60%로 감소하며 전국 생산량 42%~53% 사이로 하향[가나] 정부, 2024년 8월부터 국내 첫 번째 망간 정제소 건설 시작... 중국 망간기업인 닝시아 텐윤 망간산업그룹(Ningxia Tianyuan Manganese Industry Group Company Ltd)과 건설 파트너쉽 체결[가나] 광산회의소, 2023년 금 생산량 400만온스로 2022년 370만온스 대비 8.3% 증가... 소규모 금광의 생산량이 70.6%로 급성장해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생산량 최고치 기록[코트디부아르] 정부, 2023년 금 생산량 51톤(t)으로 2022년 48t 대비 6% 증가... 코코아 중심인 수익 구조 다각화를 목적으로 광업 개발에 노력[탄자니아] 광업기업인 헬륨원글로벌(Helium One Global), 신주 16억 주 발행으로 £ 800만파운드 유치... 유치된 자금은 탄자니아 남서부의 룩와 리프트 베이슨(Rukwa rift basin) 탐사 및 개발 운영에 활용될 계획[탄자니아] 동아프리카공동체(EAC), 2025년 3월5일부터 3월7일까지 다르에스살람에서 제11회 동아프리카 석유 컨프런스 및 박람회 주최 계획... 동아프리카 지역의 석유 및 가스산업 기술 교류의 장과 관련 법규 및 정책을 논의하는 포럼 진행 예정 [보츠와나] 중국 광산회사인 MMG, US$ 7억 달러를 투자해 Khoemacau구리광산의 생산량 2배로 확대할 계획... 구리 생산량은 6만 톤(t)에서 13만t 및 은 생산량은 160만 온스에서 500만 온스로 각각 증가 전망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11월 연방정부 계좌로 송금해야 하는 NNPC 송금액은 계획된 월별 송금액의 8.5%로 급감했다.2021년 11월 NNPC 송금액은 N105억4000만나이라에 불과했다. 연방정부의 3개 기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금인 연방정부 계좌로 1227억나이라의 8.5%만 송금할 수 있었다. 나이지리아 정부에 따르면 US$ 13억달러 규모의 '중게루(Zungeru) 수력발전 프로젝트'가 착수됐다. 해당 프로젝트는 중국 2개 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진행하고 있다.상기 컨소시엄은 중국 국영 엔지니어링 기업인 CNEEC과 중국 건설기업인 SINOHYDRO이다. 중게루 수력발전 시설이 완공되면 카인지(Kainji) 수력발전 프로젝트에 이어 국내에서 2번째로 큰 수력발전 프로젝트가 된다.아프리카 지역 금융기관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 따르면 2021년 연말 기준 나이지리아의 공공부채는 N38조나이라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나이지리아의 공공부채는 2020년 연말 기준 32조9000억나이라였다. 하지만 9개월 만에 5조1000억나이라가 늘어난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11월 연방정부 계좌로 송금해야 하는 NNPC 송금액은 계획된 월별 송금액의 8.5%로 급감했다.2021년 11월 NNPC 송금액은 N105억4000만나이라에 불과했다. 연방정부의 3개 기구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자금인 연방정부 계좌로 1227억나이라의 8.5%만 송금할 수 있었다. 2021년 4월 NNPC가 연방정부 계좌에 입금을 전혀 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11월 송금액은 2021년 한 해 동안 2번째로 낮은 송금액이었다.2021년 11월 생산량 부족, 원유 및 가스 판매 수익 감소, 휘발유 보조금 지급, 반달리즘에 의한 손실 등 다양한 요인으로 지난 3개월 동안 꾸준히 수익이 줄었다. 2021년 12월 말까지 NNPC는 1조7800억나이라의 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종인 오미크론의 확산에 따라 글로벌 석유수요가 감소하면서 국제유가도 하락하고 있다.▲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1년 6월 N1419억6000만나이라로 전월 374억6000만나이라 대비 무역흑자를 기록했다.무역흑자액 증가의 주요인은 국영석유공사의 자회사인 국영석유개발공사(NPDC)의 원유 및 가스 판매 증가, 국영가스공사(NGC)의 가스 판매 확대 등이다.2021년 6월 영업수익은 전월 대비 9.07% 또는 892억7000만나이라 감소해 8946억4000만나이라를 기록했다. 2021년 6월 지출은 전월 대비 29.32% 또는 2994억4000만나이라 줄어들어 7219억3000만나이라가 됐다. 2021년 6월 수익의 비율 측면에서 지출한 금액은 0.81%로 전월 1.04% 대비 감소했다. 참고로 2021년 6월 기준 파이프라인의 파괴활동은 47개 지점으로 전월 64개 지점에 비해 26.56% 줄어들었다.▲국영석유개발공사(NPDC)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0년 매출은 N3조7200억나이라로 전년 4조6300억나이라 대비 감소했다.반면 2020년 기록적인 수익을 달성했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전 세계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국영석유공사는 44년만에 처음으로 이례적인 수익 달성을 이뤄 의문이 제기됐다.2020년 매출의 대부분은 원유 판매, 석유제품 판매, 천연가스 및 기타 서비스 판매 등에서 발생했다. 특히 1조나이라를 초과하는 연료보조금 지급에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환급으로 이익을 달성했다.국영석유공사는 정부로부터 전략적 제휴 금액을 회수하고 기존에 탕감한 비용을 환급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영석유공사의 경영 방만과 정부의 환급 방침에 대해 비난했다.전문가들은 국영석유공사가 2018년 8030억나이라에서 2019년 17억나이라로 손실을 줄인 것도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지난 수십년 동안 국영석유공사의 경영 방만은 지속돼 왔으며 정부가 바뀔 때마다 쇄신을 약속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국영석유공사(NNPC)에 따르면 202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지난 1년간 석유 및 가스 수출액은 US$ 16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 동기간 99.27% 이상의 정유 제품 판매로 창출된 연간 총 매출액은 N2조1570억나이라였다. 휘발유 매출액 2조1410억나이라는 연간 총 매출액에 기여했다.2021년 4월 국영석유공사 총 수출 매출액은 7840만달러를 기록해 전월 대비 57.99%나 감소한 바 있다. 이에 대한 정확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다만 전월의 9337만달러 기여에 비해 매출은 미국 달러 거래의 5.38%에 불과하다는 점이 특이하다. 2021년 4월 원유 수익은 189만달러에 달했다. 가스 수익과 기타 수익은 각각 6891만달러와 580만달러에 달했다.2020년 4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지난 1년간 원유 및 가스 총 수출액은 18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이 중 11억2000만달러는 합작기업인 JV Cash Call에 이체됐다. 2021년 4월 기준 잔액은 7억2000만달러이다.▲국영석유공사(NNPC) 홈페이지
-
러시아 연방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오일수출금액은 $US 329억2900만달러로 전년 동기 481억300만달러 대비 31.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반기 동안 오일수출량은 1억2780만톤으로 전년 동기 1억2050만톤 대비 5.2% 증가했다. 오일수출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유가가 하락해 수출금액이 감소한 것이다. 2016년 상반기동안 전력수출액도 2억88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7.2% 감소했다. 동기간 전력수출량은 81억kWh로 전년 동기 97억kWh보다 줄었다.러시아 국영석유회사인 로즈네프트(Rosneft)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오일생산량은 1억7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1%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동기간 탄화수소의 생산량은 1억2810만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증가했다. 2015년 액화탄화수소 생산량은 2억280만톤을 기록했다.러시아 경제개발부(MED)는 최근 3주 동안 유가가 상승한 것은 9월 OPEC회의에 대한 기대감이라고 주장했다. 유가는 20%정도 올라 배럴당 $US 50달러 선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원유재고가 감소하고 있지만 내년까지 완전하게 해소되기를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결과적으로 향후 1~2년 동안 유가는 45~50달러 선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중국석유(中国石油, CNPC)에 따르면 석유가격이 배럴당 $US 50달러선에서 안정화 될때 업스트림사업(Upstream Business)에서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2016년 상반기 원유가격이 배럴당 평균 $US 33.09달러를 기록하면서 상반기 순이익이 약 98%폭락했기 때문이다. 또한 2017~18년 국제유가가 $US 60달러선을 전망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US 60~80달러 선을 회복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중국석유(中国石油, CNPC)의 자회사 페트로차이나(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실현영업수입이 7390억670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 또한 실현영업이윤은 345억4000만위안을 기록했으며 주주에게 귀속되는 순이익은 5억3100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9% 급락했다. 원유, 천연가스 등 생산품의 매출은 증가했으나 주요생산품 가격이 하락해 전체 수익은 줄어들었다.▲ China_PetroChina_Homepage▲페트로차이나(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홈페이지말레이시아 석유업체 페트로나스(Petronas)는 2016년 8월 캐나다로부터 합작사업인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진행 여부가 향후 2개월 이내 결정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원유 공급과잉 및 저유가의 지속세로 해당 프로젝트의 연기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실적이 80% 이상 급감돼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있어 프로젝트가 시행되기를 기다기만 하기에는 난처한 입장이다. 이 프로젝트는 태평양 연안 북서부 지역의 LNG 개발사업으로 기계획상 2019년 이내 상업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페트로나스를 비롯한 협력사에서 1410억링깃 상당의 투자가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까지 60억링깃이 투입됐다.싱가포르 해양건설업체 셈코프마린(Sembcorp Marine)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이익은 S$ 11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90% 급감했다. 저유가의 장기화로 기계획된 해양유전 굴착사업이 연기되면서 실적이 악화된 것이다. 또한 굴착사업부문의 수익성 저조와 기타 금융비용에 대한 손실액만 4000만달러에 달했다. 반면에 달러($US) 및 파운드(£)화에 대한 환율변동이 심하지 않아 외환손실의 영향은 적었다. 이로 인해 매출액은 25%의 감소율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의 전분기에 비해 소폭 증가했다.▲셈코프마린(Sembcorp Marine) 홈페이지필리핀 최대 석유회사인 페트론(Petron)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순이익은 53억페소로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제유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좋은 실적을 낸 것이다. 상반기 판매량은 5180만배럴로 전년 동기 474만배럴 대비 9% 증가했다. 소매, 산업, LNG, 윤활유 등 모든 제품의 판매가 늘어났으며 페트론은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에서 영업을 진행하고 있다.인도 국영석유회사인 HPCL의 자료에 따르면 6월 30일마감 1분기 순이익은 209.8억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30%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순이익 증가는 판매량 증가, 안정적인 정제 마진, 재고마진 등이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하지만 매출은 5166억1040만루피로 전년 동기 5482억2000만루피 대비 5.7% 감소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오일 및 가스서비스기업인 MMA해양(MMA Offshore)은 2017년 EBITDA가 약 $A 1000만달러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동남아시아의 고객이 탐사를 연기하면서 2척의 지원선에 대한 매출이 사라졌고 중동에서도 3척의 계약이 연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매출손실을 회복할 수 있을지 판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고 공시한 것이다.오스트레일리아 소비자경쟁위원회(ACCC)는 주유소의 차량 연료가격이 여전히 너무 높다고 주장했다. 지난 14년동안 연료가격이 낮았지만 주유소들은 높은 마진을 챙기고 있기 때문이다. 2015/16년 국내 최대 5개 도시에서 연료 평균가격은 리터당 121.7센트로 200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회계연도 2015/16년의 마지막 분기 기준 연료 평균 가격은 리터당 1.2센트 인상됐다.오스트레일리아 소비자경쟁위원회(ACCC)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초부터 현재까지 연료가격의 상승으로 자동차운전자들이 추가로 지출한 금액이 $A 5억달러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자료에 의하면 석유회사들은 낮은 국제유가에도 불구하고 연료가격 인상으로 추가 수익을 내고 있다. 만약 이러한 마진 상태가 지속된다면 자동차운전자들은 추가로 10억달러를 더 지불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오스트레일리아 정유업체인 칼텍스(Caltex)의 자료에 따르면 전기자동차의 보급에도 불구하고 2025년까지 연료판매는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10억대 이상의 자동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교체수요도 무시하기 어렵다. 따라서 칼텍스는 장기적으로 연료소비 감소를 대비해 자동차정비사업에도 진출했다.
-
일본 재무성(財務省)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경상수지는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한 10조6256억엔으로 흑자를 기록했다. 9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원유가격 하락으로 무역수지가 개선됐으며 해외방문객의 증가로 서비스수지의 적자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다만 엔고로 향후 흑자가 유지될지 불분명한 실정이다.일본 재무성(財務省)은 2016년 8월 국내투자자에 의한 해외 중장기채권 매매는 5조4494억엔을 순매수했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의 마이너스금리정책으로 국채 수익률이 크게 하락하고 운영난에 허덕이는 업체들이 수익률이 높은 해외 채권으로 자금으로 돌린 것이 주요인이다.일본 재무성(財務省)은 2016년 6월말 시점 국가부채 잔액은 1053조4676억엔으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3월말 대비 4조1015억엔이 증가한 것으로 명목국내생산량(GDP)의 2배에 달한다. 재정 투융자의 기초 자금이 되는 재정투융자 국채나 연장채권 등도 포함한 국채 잔액은 918조4764억엔으로 7조6667억엔 증가해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다.일본 재무성(財務省)은 2016년 7월 무역수지흑자는 5135억엔으로 2개월 연속 무역흑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수출입은 모두 감소했지만 원유가격의 하락이 이어지면서 흑자로 집계됐다. 수출액은 5조7284억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0% 감소했다. 미국용 자동차와 파나마에 대한 선박수출 감소가 주요인이었다. 수입액은 5조2149억엔으로 24.7% 감소했다.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등 석유제품의 감소가 영향을 미쳤으며 관련 제품의 국제가격 하락도 기여했다.일본 재무성(財務省)은 2016년 1~6월 해외자회사의 내부유보액은 2조5706억엔으로 반년기간 베이스로는 과거 최고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연초부터 시작된 엔고에 의해 해외 자회사의 이익을 국내로 전환하면 엔환산으로 눈에 띄게 하락하기 때문이다. 일본기업이 해외자회사의 이익을 현지에서 정리해두는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다. 해외 현지법인의 배당 및 이자와 현지법인의 내부유보를 합친 직접투자수익은 5조3234억엔이었다. 전기대비 20%이상 확대됐다.▲ Japan_MOF(Ministry of Finance)_Homepage▲재무성(財務省) 홈페이지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2016년 6월 광공업생산지수 확보치는 96.9로 전월 대비 2.3포인트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항공기용 부품이 성장해 속보치였던 1.9포인트 상승인 96.5에서 상향조정됐다. 6월은 비누 등의 화학공업 및 수출기계 등의 수요가 증가했다.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2017년 예산안의 개산요구액은 1조2959억엔으로 2016년 당초예산 대비 10% 증가를 전망한다고 발표했다. 인공지능(AI) 및 IoT 보급을 대비하고 기업에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보조금 및 실증실험 등을 추진하기 때문이다. 사이버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예산도 증가해 2020년 도쿄올림픽을 위한 인프라 보호력을 높인다.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2016년 7월 소매판매액은 12조30억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0.2%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원유약세의 영향으로 5개월 연속 전년을 하회했지만 계절조정을 받은 전월 대비로는 1.4% 증가했다. 7월은 선풍기 및 냉장고 등의 백색가전이 증가했다. 리우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TV 등의 판매도 호조를 보였다. 소형소매점의 판매액은 백화점과 슈퍼의 합계로 1조7210억엔으로 전년 대비 0.9% 증가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에 따르면 2015년 일본기업의 해외매출비율은 58.3%로 지난해에 비해 1.4%P 상승했다. 국내시장의 성장 둔화로 일본기업은 해외에서 사업을 진행한 것이 주요인이다. 지역별로 상승률을 보면 미국이 25.9%, 아시아대양주 18.4%, 유럽 8.9% 순으로 나타났다. 2015년 세계 무역액은 $US 16조4467억달러로 전년 대비 12.7% 감소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일본의 201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보건의료지출은 GDP의 11.2%인 55조9354억엔으로 세계 3위를 차지했다. 당국이나 의료관계자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주장해왔으나 의료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