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태양에너지"으로 검색하여,
2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오스트레일리아 표준협회(Standards Australia) 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 1~TC 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 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 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이미 다룬 기술위원회와 구성 연도를 살펴 보면 △1947년 TC 1~TC 67 △1948년 TC 69 △1949년 TC 70~72 △1972년 TC 68 △1950년 TC 74 △1951년 TC 76 △1952년 TC 77 △1953년 TC 79, TC 81 △1955년 TC 82, TC 83 △1956년 TC 84, TC 85 △1957년 TC 86, TC 87, TC 89 △1958년 TC 91, TC 92 △1959년 TC 94 △1960년 TC 96, TC 98 △1961년 TC 101, TC 102, TC 104 등이다.또한 △1962년 TC 105~TC 107 △1963년 TC 108~TC 111 △1964년 TC 112~TC 115, TC 117 △1965년 TC 118 △1966년 TC 119~TC 122 △1967년 TC 123 △1968년 TC 126, TC 127 △1969년 TC 130~136 △1970년 TC 137, TC 138, TC 142, TC 145 △1971년 TC 146, TC 147, TC 148, TC 149, TC 150, TC 153 △1972년 TC 154 △1973년 TC 155 △1974년 TC 156~TC 161 △1975년 TC 162~TC 164 등도 포함된다.그리고 △1976년 TC 165, TC 166 △1977년 TC 167, TC 168, TC 170 △1978년 TC 171, TC 172, TC 173, TC 174 △1979년 TC 176, TC 178 등이 있다.ISO/TC 180 태양에너지(Solar energy)와 관련된 기술위원회는 1980년 결성됐다. 사무국은 오스트레일리아 표준협회(Standards Australia, SA)에서 맡고 있다.위원회는 에란디 찬드라세카레(Ms Erandi Chandrasekare)가 책임지고 있으며 현재 의장은 코르비니안 크라머(Mr Dr Korbinian Kramer)이며 임기는 2026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키르시 실란데르-반 후넨(Mrs Kirsi Silander-van Hunen), ISO 편집 관리자는 아룬 ABY 파라에카틸(Mr Arun ABY Paraecattil) 등으로 조사됐다.범위는 공간 및 물 난방, 냉방, 산업 공정 난방, 공조 분야에서 태양 에너지 활용의 표준화다. 또한 태양 에너지 측정 및 태양 측정에 사용되는 장비 및 절차에 대한 표준 개발이 포함된다.현재 ISO/TC 180 사무국과 관련해 발행된 표준은 21개며 ISO/TC 18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10개다. ISO/TC 180 사무국과 관련해 개발 중인 표준은 4개며 ISO/TC 18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은 1개다.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26개국, 참관 회원은 46개국이다.□ ISO/TC 18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 10개 목록▷ISO 9488:2022 Solar energy — Vocabulary▷ISO 9553:1997 Solar energy — Methods of testing preformed rubber seals and sealing compounds used in collectors▷ISO 9806:2017 Solar energy — Solar thermal collectors — Test methods▷ISO 9808:1990 Solar water heaters — Elastomeric materials for absorbers, connecting pipes and fittings — Method of assessment▷ISO/TR 10217:1989 Solar energy — Water heating systems — Guide to material selection with regard to internal corrosion▷ISO 22975-1:2016 Solar energy — Collector components and materials — Part 1: Evacuated tubes — Durability and performance▷ISO 22975-2:2016 Solar energy — Collector components and materials — Part 2: Heat-pipes for solar thermal application — Durability and performance▷ISO 22975-3:2014 Solar energy — Collector components and materials — Part 3: Absorber surface durability▷ISO 22975-4:2023 Solar energy — Collector components and materials — Part 4: Glazing material durability and performance▷ISO 22975-5:2019 Solar energy — Collector components and materials — Part 5: Insulation material durability and performance□ ISO/TC 180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개발 중인 표준 1개 목록▷ISO/CD 9806 Solar energy — Solar thermal collectors — Test methods□ ISO/TC 180 사무국 분과위원회(Subcommittee)의 책임 하에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180/SC 1 Climate - Measurement and data ; 발행된 표준 6개, 개발 중인 표준 2개▷ISO/TC 180/SC 4 Systems - Thermal performance, reliability and durability ; 발행된 표준 5개, 개발 중인 표준 1개
-
지난 7월 1일(토요일) 중앙대학교 중앙문화예술관에서 중앙대학교 재난안전연구회 주관으로 기상기후재난세미나에서 기상·기후재난 산·학·연협의체 발족식을 가졌다.'재난예방과 대응을 위한 기상기후 빅데이터 융합·활용 방안'이라는 주제로 기상기후재난세미나를 기획한 중앙대학교 ICT융합안전전공 정 상 교수의 소개로 발족식이 거행됐다.협의체 회장은 중앙대학교 도시시스템공학과 소속으로 한국경관학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배웅규 교수가 추대됐다. 부회장으로는 중앙대학교 ICT융합안전전공 정상 교수가 임명됐다.▲ 협의체 회장 배웅규 교수(가운데), 부회장 정 상 교수(왼쪽) [출처=중앙대 재난안전연구회]또한 협의체 구성에 11개 연구소 및 기업이 참여했으며 이들 각각 11명의 대표가 부회장으로 공동 선임됐다. 참여한 연구소 및 기업은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주)AI Leader, (주) 한국융합아이티, (주)스페이스아이디, (주)포비드림, (주)비밍코어, (주)심심이, (주)비전21테크, (주)엠젠솔루션, (주)심시스글로벌, (주)코너스 등이다.특히 국가정보전략연구소 김봉석 객원연구원, (주)포비드림 허관 대표, (주)한국융합아이티 박성우 대표, (주)비밍코어 정성민 대표, (주)엠젠솔루션 장혜경 차장, (주)AI Leader 이정록 이사 등이 협의체 관계자로 참석했다.세미나에서 축사를 하기 위해 참석한 서울시 최재란 의원(서울시 주택공간위원회 위원/운영위원회 부위원장) 뿐 아니라 한국집합건물진흥원 성낙진 대표, 선문대학교 나방현 교수(지역문화혁신센터 부센터장/컴퓨터공학부 부교수) 등도 발족식을 축하했다.전례가 없는 기상이변으로 재난 규모가 확대되고 재난의 양태가 다양화되고 있다. 지난 2월 행정안전부는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기후변화 대비 재난관리체계 개선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향후 기상기후재난 산학연협의체의 활동에 기대감이 높은 이유다.2015년 7월 도입된 범부처 참여형 국가표준 운영체계에 따라 2017년 3월 국가·국제 표준화 업무가 기상청으로 이관됐다. 동년 9월 국가기술표준원과 기상청이 공동으로 기상 분야 표준화포럼을 개최했다.2017년 11월 기상청은 기상 및 태양에너지 분야 표준개발협력기관(COSD)기관으로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을 지정했다. 기상기후 국가표준화 작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 시발점이다.따라서 기상기후재난산학연협의체는 미래 재난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 행정안전부, 기상청, 한국기상산업기술원, 국가기술표준원 및 관계 부처와 협의해 다양한 전문활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아울러 기상기후재난산학연협의체는 향후 중앙대학교에서 기상기후재난을 공부할 전문 석·박사를 배출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이들 전문가가 서울시 뿐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의 기상기후재난을 대비할 동량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
독일 프라운호퍼 태양에너지연구소(Fraunhofer ISE)에 따르면 국내 연간 전력생산에서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추월했다.2019년 첫 11개월 동안 신재생에너지는 이미 화석에너지보다 24TWh(테라 와트시) 더 많은 전력을 생산했다. 신재생에너지는 2019년 전기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했다. 영국 식품기준청(Food Standards Agency, FSA)에 따르면 슈퍼마켓체인기업들에게 식품 리콜 경고를 발행했다. 식품 리콜 경고를 받은 슈퍼마켓체인기업들은 Asda, Tesco, Sainsbury’s, Morrisons, Aldi, Waitrose 등이다. 상기 슈퍼마켓체인들은 매장에서 쇼핑하는 고객들에게 식품기준청의 식품 리콜 경고문을 받았다는 것을 알려야만했다.영국 런던소방대(London Fire Brigade, LFB)에 따르면 지난 10년동안 월풀(Whirlpool)세탁기가 3000건의 주택 화재와 연관돼 있다. 2019년 12월 중순 미국 월풀은 국내에서 판매된 세탁기 중 최대 51만9000대를 리콜 조치했다. 과열 및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세탁기 도어잠금시스템의 결함때문이다. ▲런던소방대(London Fire Brigade, LFB) 홈페이지
-
독일 프라운호퍼 태양에너지연구소(Fraunhofer ISE)에 따르면 국내 연간 전력생산에서 처음으로 신재생에너지가 화석연료를 추월했다.2019년 첫 11개월 동안 신재생에너지는 이미 화석에너지보다 24TWh(테라 와트시) 더 많은 전력을 생산했다. 신재생에너지는 2019년 전기생산량의 약 46%를 차지했다.이 자료에는 발전시설이 자체 운영하는 데 소비하는 전력량, 또는 독일산업이 공공 전력망에 공급하지 않고 생산 및 소비하는 전력량에 대한 데이터는 포함돼 있지 않다.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은 독일에서 새로운 기록적인 수준에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재생 가능한 풍력 발전 설비의 지속적인 확장은 주로 육상풍력터빈의 라이센스 문제로 인해 지체되고 있다.주거 지역의 신규 터빈에 대해 계획된 최소 거리법칙은 신규 터빈의 가용 면적을 크게 축소시킬 수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전력 소비에서 65%의 신재생에너지를 차지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German-FraunhoferISE-renewableEnergy▲ 프라운호퍼 태양에너지연구소(Fraunhofer IS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인버터 브랜드(inverter brand)업체인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Sungrow Power Supply Co., Ltd)에 따르면 태양광발젼(PV) 및 에너지 저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신 제품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북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방정부 지원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에서 발표된 내용이다.미국 재생에너지 기업인 아메레스코(Ameresco)에 따르면 캐나다 온타리오주 뉴마켓(Newmarket)에 "배터리 솔리드(battery solid)"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4년 프로젝트를 완료했다.프로젝트에서 2개의 고체 리튬 이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4MW의 용량으로 Newmarket-Tay 전력 분배 그리드에 연결된다.미국 글로벌 항공회사인 델타에어라인(Delta Air Lines)에 따르면 라틴아메리카 최대항공사인 LATAM의 지분 20%를 인수할 계획이다.전체 인수금액은 $US 19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회사인 아메리칸에어라인의 사업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이다.▲델타에어라인(Delta Air Lines) 항공기(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인버터 브랜드(inverter brand)업체인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Sungrow Power Supply Co., Ltd)에 따르면 태양광발젼(PV) 및 에너지 저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최신 제품 포트폴리오를 발표했다.북미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방정부 지원 노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미국 태양에너지 전시회(Solar Power International)에서 발표된 내용이다.SG250HX-US 제품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1500 Vdc 스트링 인버터이다. 12개의 MPPT가 장착되고 이중 모듈과 호환되는 소형 인버터이다. 또한 SG33CX-US, SG55CX-US 제품은 업계 최고의 상업용 솔루션을 제공한다.내장된 PID 복구 기능을 통해 태양광 발전소의 전례없는 수율을 유지할 수 있다. 온라인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 O&M을 보장하는 것으로 분석된다.또한 ST556kWh-250UD 제품은 뛰어난 에너지 저장 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한다.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와 한국의 삼성SDI의 합작 투자를 통해 제공되는 올인원 솔루션이다.2019년 6월까지 미국에 300MWh 이상의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 에너지 저장 시스템 솔루션이 구축됐다. 향후에도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는 기술 혁신을 빠르게 발전시킬 방침이다. ▲ USA-Sungrow-EnergyStorage▲ 선그로우파워서플라이(Sungrow Power Supply Co., Ltd)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WA)주정부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9/20년 $A 5억5300만달러의 예산흑자가 예상된다.또한 향후 4년간 총 90억달러의 예산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내년에는 15억달러의 예산흑자가 예상된되는데 5년 만에 처음으로 예산흑자가 되는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 태양에너지 장비공급업체인 리버리나솔라(Riverina Solar)에 따르면 뉴사우스웨일즈(NSW)주정부로부터 새로운 태양광발전단지 건설 승인을 받았다.$A 1억3000만달러를 투자해 100MW규모의 West Wyalong태양광발전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건설 기간 중 15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소비자지원네트워크(ICAN)에 따르면 국내 역사상 최초로 원주민금융센터(First Nations Financial Centre) 설립을 추진 중이다.원주민재단(First Nations Foundation)의 금융 이해력 증진 단체와 함께 원주민들에게 전문적인 금융 조언과 훈련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원주민소비자지원네트워크(ICAN)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태양에너지연구소 APVI에 따르면 뉴사우스웨일즈(NSW)주 260만명은 아파트에 살거나 세입자이기 때문에 저렴한 태양열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SunTenants는 집주인으로부터 비용을 일시불로 지불받고 패널을 설치한 후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월별로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개발했다. ▲APVI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비영리의료법인 PHC(Primary Health Care)에 따르면 2017년 6월 30일마감 기준 연간 이익은 $A 9210만달러로 전년 9680만달러 대비 감소했다. 영상의학 및 병리학 부문의 강한 실적이 의료센터사업에서 34% 수입 감소를 상쇄시켰다. 의료센터사업 및 실적이 저조한 의료부문 등에서 5억8700만달러의 비현금 손실을 기록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식음료제조사 코카콜라아마틸(CCA)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3% 감소해 $A 1억4010만달러를 기록했다.상반기 매출액은 3.8% 감소해 2억4740만달러를 기록했다. 비거래 아이템을 제외한 순이익은 1억901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4.1% 줄어들었다.
-
2017-03-31■ 2016년 글로벌 석탄화력발전소 착공건수가 2015년 대비 62% 감소했으며 사전 계획 건수도 2015년 대비 48% 줄어들었다. 미국은 2015년 ‘Clean Power Plan’ 정책에 따라 석탄발전소 건설 축소 및 노후화된 인프라의 가동을 중단하고 있다. 따라서 화력발전소를 대체할 수 있는 기타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파이프라인, 송전선로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글로벌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Greenpeace), 시에라클럽(Sierra Club), 연구기관 콜스웜(Coalswarm)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2016년 전 세계에서 착공된 석탄화력발전소는 2015년 대비 62% 감소했다. (Boom and Bust 2017, ‘17.3)석탄화력발전소를 신설하기 전에 준비하는 사전계획 건수도 2015년 대비 48% 줄어들었다. 전 세계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신규 건설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인도와 중국 정부가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중국은 100건 이상의 석탄화력발전소 계획을 중단했으며 석탄광산 노동자를 해고하기 시작했다. 인도 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인도에 현재 건설 중인 석탄화력발전소만으로도 공급이 충분해 새로운 석탄화력발전소 건립이 필요하지 않다. 미국 정부 역시 석탄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오염을 줄이기 위해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줄이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 □ 미국의 석탄발전소 현황▲2015년 1~5월 자원별 전력생산 현황(출처: WP)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석탄발전소는 511개로 미국 전력의 34%를 담당하고 있다. 미국의 발전소는 전력발전을 위한 연료로 석탄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Midwest, Appalachia, East Coast에서 석탄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Wyoming, Utah, Montana, Arizona에서도 석탄이 전력발전의 주요 공급원이다.▲미국 석탄발전소 현황(출처: WP)석탄화력발전소가 1980년 후반 국가전력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천연가스에 의한 발전이 3분의 1을 담당하고 있다. 석탄은 22개주에서 주요 전력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14개주에서 전력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석탄발전소의 주(State)별 전력원 비율(출처:WP)특히 웨스트 버지니아주에서는 전력의 95%, 켄터키주는 전력의 89%를 석탄화력발전소에 의지하고 있다. 와이오밍주는 88%, 미주리주는 80%를 석탄발전에 의존하고 있으며 석탄발전 비율이 50%를 차지하는 주가 총 15개에 달한다.▲주(State)별 석탄 전력원이 50%이상인 TOP15 순위(출처 : iNIS)□ 미국의 석탄발전소 정책 미국 오바마 정부는 2015년 새로운 청정전력계획(Clean Power Plan)법을 제정했다.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오염수준을 줄이고 주(State)와 기업이 청정에너지 자원을 활용할 경우 보상을 촉진하는 정책을 펼치기 위한 목적이다.(‘15.10.23)미국 지역 전력회사들은 석탄광산, 수력댐, 새로운 천연가스 자원, 원자력발전소 등을 활용하고 있다. 석탄과 천연가스가 가장 흔한 전력 공급원으로 이용됐으나 점최근에는 점차 석탄 비율을 줄이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의 석탄화력발전소의 미래전망 2015년 오바마 행정부 이후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청정전력계획(Clean Power Plan)을 추진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또한 프래킹(fraking, 수압파쇄법)기술의 발달로 셰일층으로부터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비용이 줄어들면서 천연가스 발전소 건설이 늘어났다. 석탄화력발전소 인프라의 노후화에 따른 가동 및 건설 중단으로 석탄 수요 역시 줄어들고 있다. 2016년 미국 동부 캔터키주는 사양산업인 석탄 산업을 대체할 수 있는 산업으로 광섬유산업을 지정하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1970년 오일쇼크로 지역 광산이 증가했으며 동부 캔터키주 애팔래치아 주민 대부분이 석탄광산업에 종사했다. 하지만 40년이 지나면서 석탄산업이 위기에 직면했으며 지역경제는 침체하고 지역주민들의 삶은 피폐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 정치인과 기업인들은 석탄산업을 대체할 산업을 찾고 있으며 광섬유 네트워크산업이 지역경제를 회생시킬 것으로 믿고 있다.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미국지역 중 가장 열악하기 때문이다.3,400마일의 광섬유 네트워크를 구축할 경우 고용창출뿐만 아니라 지역에 5,350만 USD의 세수를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시사점 2015년 기준 미국에는 511개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으며 점차 노후화 되고 석유 및 천연가스발전소 및 태양광발전소, 수력발전소 등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다. 발전산업이 신재생에너지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석탄발전소를 비롯한 석탄 광산업은 오히려 침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석유 및 천연가스발전소건립, 태양광발전소, 풍력 및 수력발전소 건립이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파이프라인 건설프로젝트, 송전선로 건설 프로젝트 역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미국 동부 캔터키주 등 석탄발전소 산업 및 석탄산업의 침체로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신규 산업을 육성하고 부흥시켜야 한다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에너지산업, 새로운 산업단지 육성, 송전선로, 파이프라인 건설, 재생에너지 시설건설 등에 노하우나 기술력을 가진 한국 건설기업에게 미국 진출의 기회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자료출처: 그린피스 홈페이지, 시에라클럽 홈페이지, 미국정부홈페이지, 주정부홈페이지, 에너지정보청 홈페이지, 언론보도자료, iNIS수집 및 분석 자료 참조
-
글로벌 컨설팅회사 언스트앤영(Ernst&Young)에 따르면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재생가능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US$ 87억달러에 달한다. UAE와 KSA의 주요 투자동향은 다음과 같다.아랍에미리트에서는 800MW규모의 태양광발전소 'Mohammad Bin Rashid Al Maktoum Solar PV Phase III' 등 석탄, 원자력, 태양에너지 분야의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했다.▲언스트앤영(Ernst&Young) 로고사우디아라비아 부동산개발회사 Cayan Group에 따르면 Jeddah지역 Obhur해안에 12억리얄 규모의 프로젝트를 계획 중이다. 건축면적이 14만평방미터에 달하는 2개의 타워를 건설한다.건설되는 2개의 타워 중 하나는 5성급 호텔이며 다른 하나는 고급 생활수준을 제공하는 브랜드 주택이다. 또한 Cayan Group은 해외시장에서 브랜드를 확장할 수도 있지만 국내 발전을 위해 투자하는 것이다.글로벌 신용평가회사 무디스(Moody's)에 따르면 향후 사우디아라비아 은행시스템에 대한 전망을 부정적에서 안정적으로 수정했다.12개월에서 18개월 사이에 전체 경제가 안정화되면서 사우디 아라비아 은행의 유동성과 자금조달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한 것이 주요인이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