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할랄음료"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6-10-26아랍어로 ‘허용될 수 있는(حلال)’이라는 뜻의 ‘할랄(halal)’은 이슬람율법을 적용해 무슬림들이 먹거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인증한 제품 등을 의미한다.비신성적이고 정신을 오염시키는 것은 제외한다는 율법에 따라 할랄제품에 대한 인식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동남아시아에서는 신사업으로서 급부상하고 있다.특히 할랄산업의 꽃인 ‘할랄식품’은 현재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싱가포르 ▲태국 등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각 국가의 사례를 통해 할랄식품의 시장동향을 살펴보자.▲Etika Group 홈페이지◈ 말레이시아 - ‘할랄음료’ 제조업체 Etika Group 향후 5년 내로 매출액 30~40% 성장 전망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개발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해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지난 2015년에는 15억링깃의 매출액을 기록해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를 달성했다.게다가 국교가 이슬람교이기 때문에 이전부터 할랄식품이 깊게 자리잡고 있었으며 새로운 음료시장에 대한 수요도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참고로 Etika Group은 펩시콜라말레이시아법인(Permanis Sandilands Sdn Bhd)과의 합작투자로 탄생했으며 당사의 지주회사는 일본의 맥주업체 아사히그룹(Asahi Group)이 인수한 상태다.때문에 펩시콜라와 아사히의 제조기술, 유통, 마케팅 등의 다양한 노하우를 전수 및 공유할 수 있어 음료업체로서 발전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브루나이 - ‘할랄식품’ 이제는 국가 브랜드로서 이미지 제고위한 위생관리 강조브루나이 정부는 2016년 할랄산업의 성장을 위해 '국가 브랜드'를 제고시키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주장한다. 현재 동남아시아 할랄 문화권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기 때문이다.특히 할랄산업의 대표 분야는 ▲식품 ▲화장품 ▲은행 등이며 이중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식품’은 국가차원의 브랜드가 잘 구축돼야 글로벌 시장 진입에 유리하다는 입장이다.할랄식품은 약 18억명으로 추산되고 있는 세계 무슬림 소비자가 기본 시장을 지탱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식품을 포함한 무슬림 인구의 할랄 소비규모는 US$ 1조8000억달러에 달했다.향후 비무슬림 인구까지 확장될 경우 2016년 2조6000억달러까지 전망되고 있다. 이 비무슬림인구가 앞으로 목표시장이 될 글로벌 국가를 의미한다.전문가들은 할랄식품이 점차 유럽권까지 확장되는 추세라고 말한다. 건강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는 분위기에 잘 맞춰진 산업으로 해석되며 이제는 국가브랜드에 '위생'의 개념을 포함시켜 경쟁력을 확보하라고 조언한다.▲할랄제품 온라인상점 Aladdin Group 홈페이지◈ 싱가포르·태국 - ‘할랄 온라인상점’ 진입 및 ‘할랄식품 공장건설’로 시장진입 중현재 할랄식품에 대한 동남아시아 국가의 시장진입이 빠르게 확산되는 분위기이다. 싱가포르에는 온라인상점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태국은 현지공장을 건설할 예정이다.첫째, 말레이시아 전자상거래업체 Aladdin Group에 따르면 2016년 10월 싱가포르에 '할랄제품' 온라인상점 플랫폼인 Aladdin Street Singapore 서비스를 시작했다.싱가포르 내 첫 할랄제품 전자상거래가 시작된 것이며 식품, 음료, 화장품 등의 제품을 판매한다. 또한 할랄인증에서 제외된 패션, 가구 등도 취급하고 있다.둘째, 태국 수산물가공업체 PFP에 따르면 2016년 말레이시아에 1억5000만바트를 투자해 할랄식품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할랄식품의 수요시장인 만큼 공장진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또한 이슬람 국가이기에 수출거점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총매출에서 수출은 40%정도 예상하고 있으며 이중 아시아시장이 72%로 가장 높게 추산되고 있다.▲지난해 개최된 2015 할랄엑스포코리아 현장(출처 : MIN NEWS)◈ 할라시장 형태 다양하게 진화 중...‘할랄’에 치우친 산업보다 새로운 트렌드로 인식해야지금까지 동남아시아 ‘할랄식품’ 시장동향을 일부 국가의 사례를 통해 간략히 살펴봤다. 시대가 변하면서 온라인상점부터 현지공장까지 진입하는 현상도 볼 수 있었다.다만 할랄이라는 것이 아직까지는 종교적, 민족적 유사성이 없이는 지역적으로 크게 확산되는 데에는 시간이 더욱 소요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또한 할랄식품이 반드시 무슬림들이 먹는 건강식이라는 이미지가 아닌 하나의 새로운 트렌드로서 천천히 진화되는 것이 시장진입과 확장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할랄산업의 미래는?현재 한국에서도 할랄식품에 대한 관심을 높다.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이 아랍에미리트와의 회담에서 할랄식품 관련 MOU를 체결하면서 시장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하지만 ‘할랄인증’, ‘거대 할랄시장’, ‘국가사업’ 이라는 타이틀에만 매달려 있다보니 실제 산업과 시장의 방향성은 제대로 자리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무슬림이 반드시 할랄식품만 먹는 것은 아니기에 시장에 대한 명확한 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며 할랄식품에서 ‘할랄’의 특성을 살린 ‘식품산업’으로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참고로 지난 2015년 한국의 할랄식품 수출총액은 8억4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힘껏 추진하던 국내외 투자실적이 더이상 발현되지 않으면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전문가들은 할랄인증은 수단이고 거대시장은 추정치이며 건강식에 대한 것도 율법에 각인된 이미지일뿐 웰빙푸드는 얼마든지 많다고 주장한다.할랄인증은 ‘위생적이고 건강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에 활용하고 목표시장은 이슬람 국가뿐만 아니라 ‘글로벌 식품시장’ 전반에 대한 시장동향을 분석해 전략을 수립하라고 조언한다.
-
일본 식음료업체인 메이지(明治)·에자키글리코(江崎グリコ)는 2016년 8월 건강지향 소재를 고집한 초콜릿을 증산한다고 발표했다. 폴리페놀, 유산균 등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성분을 강조한 상품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초콜릿시장이 작년 처음으로 5000억엔을 돌파했기 때문이다. 고령자나 여성의 수요확대를 배경으로 소비량이 감소하는 여름철에도 판매량이 견조해지면서 업체들은 생산증강을 결정한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식음료업체인 가고메(カゴメ)는 2016년 8월 오이타현산 카보스를 활용한 야채주스를 계절한정으로 발매한다고 발표했다. 카보수의 싱그러운 향기와 시원한 맛이 특징이다. 주스명 '야채생활 100'의 계절한정 시리즈는 일본 각지의 채소와 과실을 사용해서 전국의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지역별 특산품을 알리기 위해 구상한 것이다. 이번에는 오이타현의 명산품인 카보스 등 21가지 야채와 3종류의 과일을 사용했다. ▲카보스 이미지일본 식음료업체인 가루비(カルビー)는 2016년 9월 상순 동사의 주력 스낵인 '쟈가리코'의 공급력을 10% 확대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홋카이도에 생산거점을 가동해 400억엔 규모로 끌어올린다. 능력향상과 함께 9월 하순에는 편의점 한정이었던 상품의 판로를 슈퍼로도 확대한다. 2016년 투입한 신상품수를 2015년 대비 40% 늘린다. 상품 및 판매촉진에 주력해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Etika Group 홈페이지일본 야쿠르트혼샤(ヤクルト本社)는 미얀마 양곤에서 가까운 티라와 경제특구(SEZ)에 유산균 음료 '야쿠르트'의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투자액은 약 49억엔으로 올해 10월에 착공해 2018년 봄에 생산하는 것을 목표한다. 공장이 완공되면 동남아시아연합(ASEAN)에 야쿠르트를 판매할 계획이다.태국 음료회사 Thai Beverage는 중부 아유타야와 남부 수라타니에 식수 '크리스탈'의 새로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투자액은 각각 1억5000만바트 규모이며 2017년 1분기에 가동시키는 것이 목표다. 생산능력은 금년말까지 8500만상자에서 1억상자로 늘린다. 1상자는 600밀리리터 62병이 들어간다.글로벌 음료업체인 코카콜라(COCA-COLA)는 최근 필리핀 마닐라에서 새로운 스프라이트 음료 출시행사를 개최했다. 전통적인 레몬-라임, 오렌지, 체리 등의 향이 포함돼 있다. 필리핀인들이 좋아하는 농구문화에 맞춰서 광고를 진행하고 있으며 스프라이트는 농구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유명한 음료다. 오스트레일리아 코카콜라 제조사인 Coca-Cola Amatil(CCA)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 이익은 $A 1억9820만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7.8% 증가했다. 높은 생수 판매에도 불구하고 탄산음료의 낮은 수요가 주요인이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이익은 감소했지만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등에서 커피, 알콜 음료의 판매가 늘었다. 일본 식음료업체인 아지노모토(味の素)는 2016년 8월 서아프리카 가나에서 영유아용 영양보조제의 판매지역을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영유아의 영양개선에 관한 수요가 증가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이유식 '코코'에 첨가하는 영양보조제 '코코 플러스'의 판매지역을 기존의 1주 3지구에서 5년 이내에 3주 40지구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대상이 되는 영유아수도 현재 2만명에서 25배인 50명으로 늘어난다.
-
2016-08-10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시(DBKL)는 시내 중심부의 주차 요금을 검토해 ▲시간당 1.5링깃 ▲2시간 이상인 경우 시간당 2.5링깃으로 설정했다.새로운 주차요금은 8월 1일부터 적용된다. 중심부 이외의 지역은 시간당 0.8링깃으로 결정했다. 시는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주차요금을 대폭 올리려고 했지만 시민들의 반발로 완화했다.말레이시아 국영은행 Public Bank Bhd에 따르면 2016년 ‘대출 및 이슬람금융’의 사업성장에 따라 2분기 순이익은 연간 5% 증가한 12.6억링깃으로 집계됐다.동기간 소매금융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순수수료 수입액이 확대됐으며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슬람금융의 성장이 실적상승의 주요인이다. 참고로 매출액은 47.4억링깃으로 6% 증가했다.▲Public Bank Bhd 로고말레이시아 엔지니어링업체 TH Heavy에 따르면 2016년 7월 말 해양경찰청(MMEA)에 3대의 해양순찰선 공급에 관한 협약서(LOI)를 체결했다.가계약과 같은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 확실한 수주계약은 아니며 이에 따라 당사는 순찰선 2대 건조에 약 7억링깃 상당의 계약금으로 합의를 검토 중이다.▲말레이시아 엔지니어링업체 TH Heavy 홈페이지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말레이시아 말라카주정부는 2016년 8월 약제작물인 ‘케텀(ketum, 또는 kratom)’의 상업적 재배에 대해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모르핀, 진통제 등에 사용되는 작물로 마약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현재 케텀은 의료약제로서 해외시장에 대한 수출잠재력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이익보다 국민건강의 리스크가 더욱 크다고 판단해 상품작물로서 전환에 반대하고 있다.참고로 케텀의 정식명칭은 ‘미트라기나 스페시오사 코스(Mitragyna speciosa)’로 낙엽성 상록수과 식물이다. 인도차이나 및 말레이시아에 다수 분포돼 있으며 원산지는 태국이다. 아직 의료약제로서 확실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케텀 이미지
-
2016-08-10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시(DBKL)는 시내 중심부의 주차 요금을 검토해 ▲시간당 1.5링깃 ▲2시간 이상인 경우 시간당 2.5링깃으로 설정했다.새로운 주차요금은 8월 1일부터 적용된다. 중심부 이외의 지역은 시간당 0.8링깃으로 결정했다. 시는 교통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주차요금을 대폭 올리려고 했지만 시민들의 반발로 완화했다.말레이시아 국영은행 Public Bank Bhd에 따르면 2016년 ‘대출 및 이슬람금융’의 사업성장에 따라 2분기 순이익은 연간 5% 증가한 12.6억링깃으로 집계됐다.동기간 소매금융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순수수료 수입액이 확대됐으며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는 이슬람금융의 성장이 실적상승의 주요인이다. 참고로 매출액은 47.4억링깃으로 6% 증가했다.말레이시아 엔지니어링업체 TH Heavy에 따르면 2016년 7월 말 해양경찰청(MMEA)에 3대의 해양순찰선 공급에 관한 협약서(LOI)를 체결했다.가계약과 같은 상황이기 때문에 아직 확실한 수주계약은 아니며 이에 따라 당사는 순찰선 2대 건조에 약 7억링깃 상당의 계약금으로 합의를 검토 중이다.▲말레이시아 엔지니어링업체 TH Heavy 홈페이지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말레이시아 말라카주정부는 2016년 8월 약제작물인 ‘케텀(ketum, 또는 kratom)’의 상업적 재배에 대해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모르핀, 진통제 등에 사용되는 작물로 마약성분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현재 케텀은 의료약제로서 해외시장에 대한 수출잠재력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이익보다 국민건강의 리스크가 더욱 크다고 판단해 상품작물로서 전환에 반대하고 있다.참고로 케텀의 정식명칭은 ‘미트라기나 스페시오사 코스(Mitragyna speciosa)’로 낙엽성 상록수과 식물이다. 인도차이나 및 말레이시아에 다수 분포돼 있으며 원산지는 태국이다. 아직 의료약제로서 확실한 검증이 이뤄지지 않았다.
-
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Etika Group은 펩시콜라말레이시아법인(Permanis Sandilands Sdn Bhd)과의 합작투자로 탄생했으며 당사의 지주회사는 일본의 맥주업체 아사히(Asahi Group)가 인수한 상태다.때문에 펩시콜라와 아사히의 제조기술, 유통, 마케팅 등의 다양한 노하우를 전수 및 공유할 수 있어 음료업체로서 성장 및 발전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된다. ▲Etika Group 홈페이지
-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나스(Petronas)에 따르면 2016년 8월 원유 공급과잉 및 저유가의 지속세로 캐나다와의 합작사업인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연기를 고려 중이다.이 프로젝트는 태평양 연안 북서부 지역의 LNG 개발사업으로 2019년 이내 상업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약 US$ 275억달러가 투자되는 대형사업이며 현재까지 추정 투자액의 1/3이 투입돼 신중한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참고로 올해 당사의 실적이 50% 이상 급감됐으며 지난 3월 1000명의 직원을 해고하는 등 구조조정에 집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용절감이 필요한 시점에 무리한 투자일 수 있는 해당 프로젝트의 연기 가능성은 점점 높아지고 있다.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지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Etika Group의 홈페이지말레이시아 슬랑고르(Selangor)주의 자료에 따르면 2017년 1월부터 소매점에서 스티로폼 용기의 사용을 금지할 계획이다. 또한 현재 토요일만 진행하고 있는 '비닐봉지 제공금지의 날'을 차차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현재는 토요일에 1장당 5센(sen)에 공급하고 있는데 모든 요일에 유료화할 계획이다. 1링깃은 100센이다.
-
말레이시아 할랄음료업체 Etika Grou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향후 5년 이내로 연간 매출액이 30~40% 성장한 20억링깃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현재 음료기술의 향상과 매출의 10%를 광고 및 마케팅에 지출하면서 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2015년 매출액은 15억링깃으로 이미 당사의 목표치 대비 66%에 달했다.▲Etika Group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