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Transport Agency"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국제공항(AUH)의 이용객들의 모습. [출처=AUH 홈페이지] 2024년 9월 중동 관광·교통업 주요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카타르의 관광업과 항공업, 교통업,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두바이 국립 항공 여행사(dnata)에 따르면 두바이 운영 지역의 공항 내 차량 및 지상지원장비(GSE)의 연료를 전부 바이오디젤 혼합연료로 교체했다.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두바이 국립 항공 여행사(dnata)에 따르면 요르단 항공사인 로열 요르단 항공(Royal Jordanian Airlines)의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사우디아라비아 국책항공사인 사우디아(Saudia)에 따르면 2024년 8월31일부터 인도네시아의 메단(Medan) 직항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비즈니스 및 관광산업 위원회인 DET(Department of Economy and Tourism in Dubai)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두바이 관광객 수는 1062만 명으로 전년 동기간 983만 명과 비교해 8% 증가했다.월별 관광객 수는 △1월 177만 명 △2월 190만 명 △3월 151만 명 △4월 150만 명 △5월 144만 명 △6월 119만 명 △7월 131만 명으로 각각 집계됐다.해외 관광객 중 서유럽 국가 방문객 수는 약 208만6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20%를 차지했다. 2위는 남아시아 국가로 방문객 수는 184만8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17%를 점유했다. 3위인 걸프협력회의(GCC)의 방문객 수는 153만7000명으로 전체 관광객의 14%였다.○ 헝가리 저가항공사인 위즈항공(Wizz Air)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이탈리아 밀라노(Milan)에서 아랍에미리트 수도 아부다비(Abu Dhabi)까지 직항노선을 운영할 계획이다.해당 직항노선은 새로 도입하는 에어버스 A321XLR(Airbus A321XLR) 기체로 운영된다. 운항 효율성을 높여 저가의 장기간 운항 노선을 도입할 수 있었다.항공권 예매는 현재 위즈항공 홈페이지와 공식 앱을 통해 가능하다. 위즈항공은 최근 아부다비에서 몰도바 수도인 키시너우(Chisinau)와 루마니아의 클루지나포카(Cluj) 직항노선의 운항을 시작했다.▲ 헝가리 저가항공사인 위즈항공(Wizz Air)의 항공기 기체. [출처=위즈항공 엑스(X) 계정] ○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드나타(dnata)에 따르면 두바이 운영 지역의 공항 내 차량 및 지상지원장비(GSE)의 연료를 전부 바이오디젤 혼합연료로 교체했다.공항 당국인 두바이 항공청(Dubai Airports)과 에미레이트 국영석유기업(ENOC)과 파트너십을 통해 진행됐다. 주요 운영 허브인 두바이 내 모든 차량 연료를 교체해 탄소 배출량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이다.정부의 2050년 넷 제로 전략에도 동참하고자 한다. 드나타는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3500톤(t)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아랍에미리트 저가항공사인 플라이두바이(flydubai)에 따르면 스리랑카 항공사인 스리랑카 항공(SriLankan Airlines)과 인터라인 협정(Interline Agreement)을 맺었다. 2024년 9월9일부터 적용된다.양사의 운항 네트워크 내에서 UAE와 스리랑카 양국 간의 연결성을 확장하고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협정을 통해 동남아시아, 중동, 오스트레일리아,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유럽 등 플라이 두바이의 노선 30곳과 스리랑카 항공의 노선 16곳이 연계된다.플라이 두바이는 2010년부터 스리랑카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양국 간 무역 및 관광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 이번 협정이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두바이 국립 항공 여행사(dnata)는 주요 운영 허브인 두바이 내의 모든 차량 연료를 바이오디젤로 교체해 탄소 배출량을 절감할 계획이다. [출처=dnata 홈페이지] ○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6월2일부터 폴란드와 체코 직항 노선의 운항을 동시에 시작할 계획이다.각각 폴란드의 수도 바르샤바(Warsaw)와 체코의 수도 프라하(Prague)와 연결된다. 폴란드와 체코의 첫 직항 노선으로 1주당 4회 직항 노선을 운항할 예정이다.UAE의 관광객 중 폴란드와 체코 양국의 관광객 수가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직항노선을 통해 국내외 항공 서비스 연결성을 높이고자 한다.해당 노선에는 보잉 787 드림라이너(Boeing 787 Dreamliner) 기체를 도입한다.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 262석과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 28석으로 편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드나타(dnata)에 따르면 영국 저가항공사인 이지젯(EasyJet)과 다년간 지상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서비스 제공 지역은 스위스 국제공항인 취리히 공항(ZRH)으로 이번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스위스 내 양사간 협업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지젯의 스위스 내 연간 운항 횟수는 3800회로 이용객 수는 64만 명에 달한다. 공항 내의 승객, 경사로, 수하물 서비스 등을 dnata에서 수행하게 된다.드나타(dnata)는 2022년부터 취리히 공항 내의 모든 이지젯 기체의 제빙 서비스를 제공한바 있다. 드나타는 지상조업 외에 여행사도 운영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두바이 국립항공 여행사(dnata)는 영국 저가항공사인 이지젯(EasyJet)과 스위스 취리히 공항(ZRH) 내의 다년간 지상 관리 계약을 체결했다. [출처=dnata 홈페이지]○ 세계여행관광협회(WTTC)에 따르면 2024년 아랍에미리트 관광 매출액 AED 2360억 디르함으로 2023년 대비 1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2023년 UAE 관광 매출액은 2200억 디르함(US$ 599억 달러)로 국내총생산(GDP)의 11.7%를 기여했다. 2034년 UAE의 여행 및 관광 매출은 2752억 디르함(749억2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국내 공항과 숙박시설을 포함한 인프라 시설과 매력적인 관광지로 관광객이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UAE 정부는 'UAE 관광 전략 2031'의 일환으로 2031년까지 관광업 투자를 1000억 디르함(272억 달러)까지 유치하고 GDP 기여도를 4500억 디르함(1225억 달러)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아랍에미리트 공항 서비스 제공업체인 드난타(dnata)에 따르면 요르단 항공사인 로열 요르단 항공(Royal Jordanian Airlines)과 다년간 계약을 체결했다.계약에 따라 미국 뉴욕의 국제공항인 존 F. 케네디 국제공항(JFK)에서 로열 요르단 항공에 승객, 램프(경사면), 수하물 서비스를 제공한다.로열 요르단 항공은 요르단 수도 암만의 퀸 알리아 국제공항(AMM)과 JFK 노선을 매일 운항한다. 연간 운항 횟수는 360회로 승객 수는 12만5000명 사이이다.이번 계약은 2019년 체결된 디트로이트 메트로폴리탄 웨인 카운티 공항(DTW)의 지상 통제 서비스 협업을 강화한 것이다.○ 아랍에미리트 관공서인 두바이 경제 관광청(DET)에 따르면 환대 사업 기업인 이마르 호스피탈리티 그룹(Emaar Hospitality Group)과 관광 부문 협업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협업은 두바이 관광 부문의 홍보와 프로모션 향상, 관광 상품 개발, 관광 부문 교육과 시설 구축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한다.2024년 1월부터 7월까지 두바이 관광객 수는 1062만 명으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8% 증가했다. 2023년 관광객 수는 1715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여름 시즌의 운항 일정에서 주요 유럽 지역의 노선 운항을 2배로 늘릴 계획이다.아랍에미리트의 관광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프랑스 파리, 이탈리아의 밀라노 및 로마 등 주요 유럽 지역의 운항 횟수와 빈도를 높였다.유럽 외에도 여름 시즌 동안 인도네시아 발리,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의 운항 횟수도 늘릴 계획이다. 비즈니스 여행객을 대상으로 오후 시간대의 노선도 운영한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도로 및 교통 당국(SRTA)에 따르면 친환경 전기 버스 서비스 운영을 시작했다. 기존의 버스 운행 선택지를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정부의 2050년 넷 제로(Net Zero) 목표 달성의 일환으로 환경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승객 수요가 가장 높은 주요 행선지인 두바이(Dubai), 아지만(Ajman), 알 함리야(Al Hamriyah) 3곳의 노선에 전기버스 10대를 우선 도입했다.향후 국내 기후 환경에 적합한 전기버스의 대수를 늘릴 예정이다. 대중교통의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늘려 탄소 발자국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 항공(Emirates)에 따르면 2025년 3월1일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Johannesburg) 항공 노선을 일일 4회 운항한다.2024년 9월1일 두바이와 요하네스버그 노선의 일일 2회 운항의 연장선상으로 남아공 노선의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남아공 노선에 대한 관광업과 비즈니스 승객 수요가 성장하며 항공 노선의 연결성과 서비스 품질을 높이고자 한다. 승객 수요와 더불어 남아공으로의 화물 수송 수용력도 1주에 300톤(t)으로 늘릴 계획이다.참고로 에미레이트는 1997년 남아공 항공사인 남아프리카 항공(South African Airways)과 코드셰어를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중앙은행(CBUA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국내 공항의 이용객 수는 717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동기간 6280만 명과 비교해 14.2% 증가했다.공항별 교통량에서 2024년 상반기 아부다비 국제공항(AUH)과 두바이 국제공항(DXB)의 이용율은 전년 동기간 대비 각각 33.8%와 8%로 상승했다.2024년 상반기 AUH의 이용객 수는 137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33.8% 증가했다. 수도 아부다비의 교통 허브로서의 중요성과 국내 항공업의 성장이 운영 강세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티하드 항공(Etihad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여름 시즌의 운항 일정에서 주요 유럽 지역의 노선 운항을 2배로 늘린다. [출처=에티하드 항공 엑스(X) 계정] ○ 사우디아라비아 국영통신사인 SPA(Saudi Press Agency)에 따르면 2024년 9월4일부터 호텔 운영을 위한 상업적 활동 라이센스 취득 비용을 없앤다.국내 관광업 투자 활성을 목적으로 정부가 2024년 3월부터 진행한 TIEP(Tourism Investment Enabler Program)의 일환이다.세계적인 관광 선도국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향후 관광업의 투자를 향상해 국내총생산(GDP) 기여도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비전 2030(Vision 2030)은 국내 경제의 현대화와 석유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경제 다각화를 위해 편성된 예산은 US$ 8000억 달러 이상이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책항공사인 사우디아(Saudia)에 따르면 2024년 8월31일부터 인도네시아의 메단(Medan) 직항노선 운항을 시작했다.운항 횟수는 1주당 4회로 사우디아라비아 제다(Jeddah)와 메디나(Madinah), 메단을 잇는다. 인도네시아 직항노선은 수도 자카르타(Jakarta) 다음으로 2번째다.양국 간 항공 교통 서비스를 원활히 하며 이슬람 순례지인 움라(Umrah)와 종교 의례인 하즈(Hajj) 등의 순례자 수요를 충족시킬 것으로 판단된다.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은 2030년까지 움라 순례자 3000만 명을 주최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운송위원회인 UKOME(Transportation Coordination Center)에 따르면 도심 내 택시 수를 2500대 추가하기로 결정했다.UKOME의 승인으로 택시 번호판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새로운 입찰 소식에 택시 번호판 가격은 6% 인하됐다. 지난 5개월 간 택시 번호판 가격은 15% 이상 하락했다.높은 금리와 안플레이션의 영향으로 택시 번호판 면허를 취득하려는 자가 감소하며 가치가 하락한 것으로 판단된다.이스탄불의 택시 번호판 수는 1990년대 이후 1만7395개를 유지했다. 미니버스와 공유 택시도 택시 수로 포함하며 현재 택시 수를 1만8395대로 늘렸다.▲ 아랍에미리트 저가항공사인 플라이두바이(flydubai)는 2024년 9월9일부터 스리랑카 항공사인 스리랑카 항공(SriLankan Airlines)과 인터라인 협정(Interline Agreement)을 맺었다. [출처=플라이두바이 홈페이지] ○ 카타르 국영항공사인 카타르 항공(Qatar Airways)에 따르면 2025년 1월2일부터 사우디아라비아 아브하 국제공항(Abha International Airport) 직항 노선을 개시할 계획이다. 운항 횟수는 주 2회다.또한 겨울 시즌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새롭게 개발하고 있는 신도시인 네옴(NEOM)으로 운항 횟수를 주 2회에서 4회로 늘릴 예정이다.이번 계획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의 관광객 항공 연결성 향상 계획인 사우디 ACP(Saudi Air Connectivity Program)의 일환으로 협업이 체결됐다.○ 카타르 정부에 따르면 2024년 8월 말 기준 국내 방문객 수는 320만 명 이상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26% 성장했다.정부의 2024-2030 3차 국가개발전략(Third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for 2024-2030)에 따라 국내 관광업의 성장을 주도하고자 한다.관광업의 일자리 창출, 포용성 강화, 국내 경제 강화를 통해 경제 다양화와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목표로 정했다.2030년까지 국내 연간 방문객 수 600만 명 달성과 관광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율을 7%에서 12%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
▲ 국가 디지털 포렌식 연구소(National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NDFL) 포렌식 장면 [출처=홈페이지]브루나이 CSB(Cyber Security Brunei)에 따르면 정보보안경영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에 대한 ISO/IEC 27001:2013 인증을 획득했다.CSB는 교통정보통신부(Ministry of Transport and Infocommunications, MoTI) 산하 국가사이버보안청(national cyber security agency, NCSA)이다.이번 인증은 정보보안인증기관인 사이버보안 말레이시아(CyberSecurity Malaysia, CSM)로부터 지난해 10~11월 2단계 감사를 통해 ISO/IEC 27001:2013 인증을 획득한 것이다.CSM은 정보보안에 초점을 두고 국제표준 및 지침에 따라 엄격한 감사를 진행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CSB의 QMS에 대한 인증을 완료했다.감사는 CSB의 ISMS 정책, 절차가 데이터 자산의 보안 관리에서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는 프레임워크를 충족시키는지 여부에 대한 검토가 포함됐다. ISO 27001의 핵심 목표는 주요 데이터 자산에 대한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장하는 것이다.또한 CSB의 국가디지털포렌식연구소(National Digital Forensics Laboratory, NDFL)은 지난해 미국 국가표준기구(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국가인증위원회(National Accreditation Board, NAB)로부터 포렌식 테스트 분야의 ISO/IEC 17025:2017 인증을 획득했다.
-
▲한국 국가기술표준원(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빌딩 [출처=홈페이지]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는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활동 중인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e, TC)는 TC1~TC323까지 구성돼 있다.기술위원회의 역할은 기술관리부가 승인한 작업범위 내 작업 프로그램 입안, 실행, 국제규격의 작성 등이다. 또한 산하 분과위원회(SC), 작업그룹(WG)을 통해 기타 ISO 기술위원회 또는 국제기관과 연계한다.ISO/IEC 기술작업 지침서 및 기술관리부 결정사항에 따른 ISO 국제규격안 작성·배포, 회원국의 의견 편집 등도 처리한다. 소속 분과위원회 및 작업그룹의 업무조정, 해당 기술위원회의 회의 준비도 담당한다.1947년 최초로 구성된 나사산에 대한 TC1 기술위원회를 시작으로 최근 순환경제를 표준화하기 위한 TC323까지 각 TC 기술위원회의 의장, ISO 회원, 발행 표준 및 개발 표준 등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ISO/TC 21 화재 예방 및 소방용 장비(Equipment for fire protection and fire fighting) 관련 기술위원회 역시 TC1, TC2, TC4, TC5, TC6, TC8, TC10, TC11, TC12, TC14, TC17, TC18, TC19, TC20과 같이 1947년 구성됐다.사무국은 한국 국가기술표준원(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에서 맡고 있다. 위원회는 김준형(Mr Junhyung Kim)이 책임지고 있으며 의장은 키스 신(Mr Keith Shinn)으로 임기는 2025년까지다.ISO 기술 프로그램 관리자는 안나 카테리나 로시(Dr Anna Caterina Rossi), ISO 편집 관리자는 앨리슨 리드-자몬드(Ms Alison Reid-Jamond) 등이다.범위는 소방관의 개인 장비, 용어, 분류 및 기호와 관련된 작업뿐 아니라 소화매체를 포함한 모든 화재 예방 및 소방 기구, 장비 분야의 표준화다.또한 화재 예방 및 소방용 장비 및 기기의 일반 원칙 및 적용에 관한 자문 문서의 승인 등이며 ISO/TC 94에서 다루고 있는 보호복은 제외된다.현재 위원회(TC) 및 소위원회(SC)와 관련된 공개 표준은 97개며 개발 중인 표준은 10개다. 이 중 ISO/TC 21의 직접적인 책임 하에 발행된 표준은 5개며 참여하고 있는 회원은 31명, 참관 회원은 35명이다.□ ISO/TC 21 사무국의 직접적인 책임하에 발행된 ISO 표준 47개중 10개 목록▲ISO 8421-1:1987 Fire protection — Vocabulary — Part 1: General terms and phenomena of fire▲ISO 8421-2:1987 Fire protection — Vocabulary — Part 2: Structural fire protection▲ISO 8421-6:1987 Fire protection — Vocabulary — Part 6: Evacuation and means of escape▲ISO 8421-7:1987 Fire protection — Vocabulary — Part 7: Explosion detection and suppression means▲ISO 16852:2016 Flame arresters — Performance requirements, test methods and limits for use□ 소위원회(Subcommittee, SC)에서 발행 및 개발 중인 표준 현황▲ISO/TC 21/SC 2 Manually transportable fire extinguishers 관련 발행 5개▲ISO/TC 21/SC 3 Fire detection and alarm systems 관련 발행 31개, 개발 중 5개▲ISO/TC 21/SC 5 Fixed firefighting systems using water 관련 발행 16개▲ISO/TC 21/SC 6 Foam and powder media and firefighting systems using foam and powder 관련 발행 12개, 개발 중 1개▲ISO/TC 21/SC 8 Gaseous media and firefighting systems using gas 관련 발행 19개, 4개▲ISO/TC 21/SC 11 Smoke and heat control systems and components 관련 발행 9개
-
뉴질랜드 사업혁신고용부에 따르면 수입한 차량 안전벨트 1만6000개 중 1200개의 소유주를 파악했다. BVL(Business Ventures Limited)가 수입한 안전벨트가 조사대상이다. 2018년 11월 BVL은 수입 안전벨트의 자발적 리콜 조치를 시행했다. 2019년 5월 중순 현재까지 50kmh 낮은 속도에서도 안전하지 않은 안전벨트 브랜드를 장착한 차량만 추적했다.BVL이 리콜 작업에 협력하고 있지만 안전벨트를 추적하는 것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에서 수입된 안전벨트가 자동차, 버스, 밴, 모터홈 등에 장착된 것으로 보고 있다.안전하지 않은 안전벨트를 식별하는 라벨은 벨트 자체에 부착돼 있다. 차량 소유자들에게 라벨에 BVL 로고 혹은 제조업체 이름 Changzhou BWD 또는 Jiang Su Jiu Jiu가 표시되어 있으면 BVL에 연락해 즉시 교체해야 한다.정부에 따르면 안전벨트의 라벨은 유럽표준에 대한 인증을 나타내지만 뉴질랜드교통부(Transport Agency)의 테스트 및 감사결과 해당 제품은 규격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뉴질랜드교통부(Transport Agency) 홈페이지
-
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2017년 12월 무역흑자액은 NZ$ 6억4000만달러를 기록했다. 2015년 3월이후인 2년 반만에 가장 큰 월별 무역흑자액을 기록한 셈이다.2017년 12월 수출액은 수입액 56억달러를 초과했다. 분유, 버터, 치즈 등 유제품 수출이 기록적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통계청(Stats NZ) 로고뉴질랜드 웰링턴공과대학(Wellington Institute of Technology, WelTec)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2017년 3월마감 연간 해외방문객은 전년 대비 8.9% 증가해 350만명에 달했다. 5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해외방문객 및 관광객 등의 지출은 전년 대비 1.9% 증가에 그쳐 NZ$ 359억달러로 집계됐다. 내국인 지출은 전년 대비 4% 증가해 214억달러를 기록했다.뉴질랜드 교통부(NZ Transport Agency, NZTA)에 따르면 오클랜드(Auckland)의 NZ$ 14억달러 규모의 워터뷰(Waterview)터널 건설에 사용된 장비의 경매를 실시했다.최소 1달러부터 시작하며 300개 이상의 건설 장비 등이 경매사이트인 TradeMe, turners.co.nz. 등에 업로드됐다. 실제로 건설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사려는 사람뿐만 아니라 기념품으로 소지하고자 하는 구매자들이 경매에 참가하고 있다.
-
2017-08-25글로벌 차량공유업체 우버(Uber)에 따르면 필리핀에 운전사 6만6000명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은 우버의 영업정지로 인해 생계에 큰 타격을 입고 있다.대중교통수단이 열악한 국내에서 우버는 신뢰할 수 있고 저렴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정부의 규제로 인해 사업이 중단된 것이다.필리핀 시장에 싱가포르 차량공유업체인 그랩도 진출해 시장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교통수단인 우버를 어떻게 허용할지 고심 중이다.▲차량공유업체 우버(Uber) 로고
-
뉴질랜드 교통부(NZTA)에 따르면 2020년까지 오클랜드 주요 도로의 1/3이 정체돼 교통이 혼잡할 것으로 예측한다. 오클랜드 인구의 급속한 증가가 주요인이다. 지난 3년동안 오클랜드 인구는 12만1000명으로 급증했다. 향후 이러한 인구 성장률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또한 오클랜드는 매주 800대의 신규 차량이 등록되고 있다.NZTA는 도로 및 대중교통 등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인프라 투자 및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급속한 인구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곤란을 겪고 있다. ▲교통부(NZTA) 로고
-
2017-02-28뉴질랜드 교통청(NZTA)에 의하면 경찰은 전국의 과속단속카메라 네트워크 관리를 민영화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현재 19대의 고정 과속단속카메라, 43대의 이동 과속단속카메라, 3대의 적색등/과속단속카메라 등이 있다.올해 연말까지 고정 과속단속카메라의 수를 56대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경찰은 단속카메라의 운영을 민영화하는 한편 소유권도 민간업체에 넘기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교통청(NZT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