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식품산업"으로 검색하여,
3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덴마크 장남감 회사인 레고그룹(LEGO Group)이 사무실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 4주차 덴마크 경제동향은 레고그롭에 관련돼 있다. 레고그룹은 덴마크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세계적인 완구회사로 친환경 정책을 도입 중이다.○ 덴마크 장남감 회사인 레고그룹(LEGO Group)은 2024년 상반기 가장 많이 판매된 상위 5개 주제에 대해 공개했다. 1위부터 순서대로 보면 LEGO Icons, LEGO Star Wars, LEGO Technic, LEGO City, LEGO Harry Potter 등이다.하지만 회계 장부의 주문 내역을 보면 LEGO Icons이 가장 많았지만 가장 선호한 주제였는지는 불명확하다. 18세 이상 성인용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키덜트족의 증가로 호실적을 보였다.2023년 상반기와 비교하면 LEGO Harry Potte는 LEGO Friends를 대체했다. 2024년 9월 새로운 주제로 LEGO Harry Potter가 출시될 예정이다.2024년 상반기 매출액은 310억 크로네로 전년 동기 대비 13%, 영업이익은 81억 크로네로 전년 동기 대비 26% 각각 증가했다.○ 레고그룹(LEGO Group)은 2026년까지 최대 70%의 블럭을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계획이다. 장난감을 더욱 친환경적으로 만들기 위한 목적이다. 2032년까지는 100% 재활용 플라스틱을 사용한다는 구상이다.전체 블럭을 재활용 유리병으로 만들려고 했던 계획은 비용과 제조 어려움을 포기했다. 하지만 600가지 이상의 대체 재료를 테스트 중이다.재활용 플라스틱 뿐 아니라 식용유나 식품산업 쓰레기 등도 연구 중이지만 비용이 기존 재료 대비 2~3배 비싸서 고민 중이다.현재 컬러 블럭의 재료 중 22%는 화석연료로 만드어진 것이 아니다. 지속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면 블럭의 생산비가 급상승하는 문제가 있다.2025년까지 지속가능성에 30억 크로네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투자비를 고객에게 전가하지 않아 제품의 가격은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레고그룹은 고객이 오래된 블럭을 회사에 기부하면 무료로 배송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현재 영국에서만 시행되고 있지만 비슷한 방식을 미국과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테스트 중이다.
-
▲ 세계보건기구(WHO) 세계 헌혈자의 날 홍보 [출처=홈페이지]이탈리아 로만에 본부를 둔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에 따르면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는 '식품 표준이 생명을 구한다(Food standards save lives)'라는 캠페인에 참여하고 있다. WHO가 6월7일을 세계 식품 안전의 날로 지정해 해당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CAC는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가 합동으로 운영한다.소비자 건강을 보호하고 좋은 식품 거래 관행 보장할 것을 천명하고 있다. CAC는 국제적으로 인정된 표준, 실행규범, 지침, 기타 권장사항 모음을 담당하는 국제 식품안전 및 품질표준 설정 기관이다.전 세계 식품 안전 옹호자들은 농장에서 식탁에 이르기까지 식품 생산의 모든 측면에 표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공정거래 관행 및 소비자 건강 보호를 위한 식품 기준이 중요하기 때문이다.정부, 식품산업, 과학계, 소비자들은 국가 차원에서 식품 표준을 제정하기 위해 노력한다. 국가가 식인성 질병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감시를 통해 잠재적인 발병 위험을 식별하고 완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도 중요하다.WHO에 따르면 연간 1억5000만 건의 식인성 질병이 발생해 17만5000명이 사망한다. 1200만명의 장애보정생존연수(DALY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가 발생해 매년 식중독으로 전 세계 인구 10명 중 1명이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참고로 장애보정생존연수는 전 생애주기 동안 질병 또는 건강 상태로 건강하게 살지 못하는 기간, 조기 사망으로 손실된 기간을 합산한다.
-
낙하산 사장 깜깜이 경영… 퇴직 임원들 ‘회전문 재취업’양파값 폭락에 중국산 수입… 농민보다 자사 이익 우선온실가스 실천은 양호… 부채해결 거버넌스 개선 필요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글로벌 식량위기가 점점 심화되고 있다. 국회예산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한국의 식량안보지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 38개국 중 29위이다. 식량자급률은 1970년 86.2%에서 2019년 45.8%까지 추락했다. 동기간 곡물자급률은 80.5%에서 21.0%로 하락했다.글로벌 인구가 79억명을 넘어서면서 선진국조차 에너지·식량안보를 확보해야 한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식량자급률이 바닥을 기고 있음에도 매년 풍년·흉년에 관계없이 농산물 가격은 휘청거린다. 소비자는 농산물이 비싸다고 아우성이고 농민들은 가격이 폭락했다며 밭을 갈아엎는다. 농수산물 수급 조절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사(aT)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스카이데일리 데이터베이스(DB), 국가정보전략연구소 DB, 국정감사, 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사장부터 비전문가로 낙하산 심각… 부채해결 위해선 전문 경영진 영입 절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환경 3개, 사회 4개, 지배구조 4개 등 총 11개 전략과제를 수립했다. 기후변화 대응, 사회적 가치 경영 선도, 공정·투명한 지배구조를 핵심 가치로 삼고 있다. ESG 경영헌장은 구비되어 있지 않으나 농어민 소득증진, 깨끗한 공직풍토, 인격 존중, 능력과 성과, 인권 경영, 환경 및 생태계 보전, 노사 간 화합 등의 내용을 포함하는 윤리인권헌장·윤리인권강령을 제정했다.2021년 ESG경영전략수립, 이사회 내 ESG전문위원회 신설, ESG경영 전담부서, 최고경영자(CEO)자문위원회 등을 조직했다. 또한 △안전한 먹거리 순환 체계를 조성하는 녹색경영 실천 △국민·농어민·근로자 모두의 가치 존중 △지역경제 활성화와 사회적 약자 지원 △윤리와 인권을 지키고 국민과 소통하는 투명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경영진의 낙하산 인사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현 사장도 치과의사로 3선 국회의원이다. 국회 의정활동을 하면서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을 조금 했다는 것이 경력의 전부다. 2019년 비전문 낙하산 경영자와 더불어 퇴직 임원들도 사장 자문단으로 재취업했다.2017년 국정감사에서 해외 12개 지사의 예산 편법 집행, 횡령, 공금 유용, 허위 지출결의서 작성 등 총체적 부정부패가 드러났다. 2018년 국정감사에서 직원 3명에 대해 해임·복직을 5회 반복 처분 후 해임시킨 인사권 남용을 지적받았다. 경영진의 내부통제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2019년 감사원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3년간 비리 직원 20명 중 10명의 처벌 수위를 감경시켰다고 지적했다. 동년 국정감사에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K-푸드(Food) 박람회의 수출상담액이 8400억원이라고 홍보했으나 실제 수출액은 25억원에 불과했다는 것이 밝혀져 질타를 받았다.2020년 말 기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부채 금액은 1조1203억원, 자본금 683억원, 부채 비율 618.78%다. 동년 매출액은 4101억원, 당기순이익은 6억2700만원 적자를 기록해 현재 경영실적으로 부채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낙하산이 아닌 전문 경영진을 구성해야 하는 이유다.◇농어민보다 자사 이익 추구해 논란… 양파가격 폭락에도 중국산 수입2019년 국정감사에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동남아산 쌀을 수입해 논란을 빚었다. 국내에 입국한 동남아시아인의 밥상용으로 수입한다고 답변해 국회의원들을 분노케 만들었다. 수급조절 실패로 채소가격이 폭락해 농민들의 피해가 급증했다고 비난을 받자 ‘부족했다.’ 말만 반복해 무능함을 드러냈다. 2021년 국정감사에서 4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농산물 수급 조절에 실패해 질타를 받았다.2020년 말 기준 일반 정규직 평균 연봉은 7014만원, 무기계약직 평균 연봉은 3854만원으로 조사됐다. 무기계약직의 연봉은 정규직 대비 54.9%에 불과했고, 자회사의 평균 연봉은 3437만원으로 모회사의 일반 정규직의 49% 수준이다. 공정한 임금 체계를 개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올해 3월 초 안전한 작업환경 조성, 직원의 안전의식 고취 등 안전경영을 강조했다. 중대재해에 대해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는데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운영 중인 서울 양재동 aT센터에 무인 감시로봇을 설치해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해 나갈 예정이다.2019년 양파 등 겨울채소 가격이 하락해 산지폐기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중국에서 양파를 수입해 농민들의 시름을 깊게 만들었다. 3월 말 현재 제주산 저장 양파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80% 폭락했다, 양파재배농민들은 제주도에서 44헥타르, 전라남도에서 100헥타르 양파 밭을 갈아엎었다. 정부는 저장 양파 6000t 출하를 연기했으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전문성 부족, 무능으로 인해 농산물 파동은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2022년 상반기 농식품마케팅대학 교육생을 대상으로 ESG경영이해 및 사례 연구, ESG경영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ESG경영 교육은 없다. 반면 윤리경영 교육은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교재도 발간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평가 결과◇온실가스 저감 노력은 호평… 해외 수입 농산물 폐기 근절 필요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저탄소 식생활 캠페인 ‘코리아 그린푸드 데이’를 실시해 먹거리 생산·유통·소비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51%를 저감해 나갈 계획이다. 5개 유관 기관과 농장에서 식탁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다자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2021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SBTi)에 가입해 탄소중립을 달성해 나가고 있다. 전 세계 2200여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이니셔티브는 파리기후협약 이행을 위해 기업이 추진하는 탄소배출 감축 목표 설정을 돕고 검증한다.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5년간 기준치를 초과한 농약이 검출돼 폐기·반송 처리된 수입 농산물은 342건이다. 반송하지 못한 33건 농산물 폐기물은 1만6711t이다. 잔류농약 기준 위반 농산물의 78.9%가 전체 상위 5개국으로 수입됐다.올해 초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비축기지에 보관돼 있던 미국산 신선란 20125만개 1275t이 폐기될 예정이다. 폐기 비용만 4억8450억원에 달해 혈세 낭비 논란이 초래됐다. 2021년 국정감사에서 국내 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지 않고 1023억원 규모의 계란을 수입해 예산을 낭비했다는 비판을 받았다.◇경영 정상화 통해 부채 문제 해결 가능… 검역 강화로 외래종 유입 차단 절실농수산식품산업 진흥을 통해 국민의 안정적인 먹거리 확보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는 농민과 소비자 보호를 위한 노력은 미흡하다. 새로운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비전문가가 낙하산으로 임명되면서 경영부실은 심화되고 있다. 경영정상화롤 통한 부채 해결을 위해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사회(Social)도 농민·어민·소비자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 농수산물 수급 실패로 소비자 부담은 상승하고 농민은 수익 감소로 고통을 받고 있다. 환경(Environment)은 수입농산물의 잔류농약 검역 강화, 폐기량 축소 등이 요구된다. 검역 소홀로 씨앗·벌레·종자·질병·바이러스 등이 국내로 유입돼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김백건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선임연구원[출처=iNIS]- 계속 -
-
2021-03-01싱가포르 식품 스타트업인 넥스트 젠(Next Gen)에 따르면 초기 펀딩에서 US$ 1000만달러를 확보했다. 국부펀드인 테마섹 등이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목표액인 700만달러를 상회했다.다른 투자자는 3 Ventures, EDB New Ventures, NX-Food, FEBE Ventures, Blue Horizon이다. EDB New Ventures는 싱가포르경제개발위원회의 투자 부문이다.넥스트 젠은 식물을 기반으로 한 음식을 개발하고 있으며 2020년 10월 설립자인 Timo Recker와 Andre Menezes가 시작했다. 초기 자본금은 220만달러이다.설립자들은 식품산업에서 다양한 경험을 축적했다. Timo Recke는 독일에 본사를 둔 LikeMeat를 설립했었으며, 이 회사는 2020년 LIVEKINDLY Collective에 인수됐다.글로벌 식물 기반 단백질 식품 시장은 연간 30%씩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 500억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물 기반의 식품시장의 성장 전망은 밝은 편이다.▲넥스트 젠(Next Gen) 로고
-
인도 대법원에 따르면 ASUS의 ZenFone 브랜드 기기 판매를 중단하라고 명령했다. 기간은 2019년 5월 28일부터 6월 23일까지 8주간이다. 대만의 ICT제조업체인 ASUS는 2018년에 개정된 ZenFone Max 시리즈를 발표할 정도로 해당 브랜드의 국내 인지도는 높은 편이다. 인도 데이터 매니지먼트 플랫폼인 칼라가토(KalaGato)에 따르면 국내 식품배달업 시장에서 스위기(Swiggy)의 점유율은 최대 50%로 전망된다. 식품산업 데이터를 기반으로 조사한 결과이다. 2018년 1월부터 11월까지의 평균 시장점유율에서 스위기는 36.40%를 기록했다. 인도 IRDAI(Insurance Regulatory and Development Authority of India)에 따르면 2019/20 회계연도 자동차 TP(Third Party) 보험료율 개정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렸다. 개정된 적용율은 2019년 6월 16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IRDAI는 2011년부터 자동차 TP 보험료율을 매년 발표한다. ▲IRDAI(Insurance Regulatory and Development Authority of India) 홈페이지
-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피치(Fitch)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주요 4대은행들은 심각한 주택 경기침체에도 견딜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피치는 오스트레일리아 모기지 $A 1조6000억달러의 80%를 차지하는 주요 4대은행들의 모기지 회계장부 스트레스 테스트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오스트레일리아증권거래소(ASX)에 따르면 성장 잠재성이 큰 우량주는 식품산업 관련 주식으로 나타났다. 국내 인구의 빠른 증가와 더불어 해외시장에서의 국내산 식품수입이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인구 증가는 멜버른(Melbourne)이 주도하고 있는데 향후 몇 년간 연간 2% 이상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오스트레일리아 광산기업 뉴크레스트(Newcrest)에 따르면 2018년 연간 금생산량을 240만~270만온스에서 225만~235만온스로 삭감할 계획이다. 2018년 3월말 마감 기준 3월분기 3개월동안 뉴크레스트의 금생산량은 57만5791온스로 이전 분기 대비 6% 감소했다.▲뉴크레스트(Newcrest) 로고
-
2017-11-20인도 상공회의소(FICCI)에 따르면 국내 식품산업의 성장율이 높을 것으로 전망됐다. 국제 식품무역에 대한 연간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 회계연도 식품 서비스 부문의 직접 고용은 550만~600만명으로 추정되며 2021 회계연도에는 850~900만명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 통신사 바티에어텔(Bharti Airtel)에 따르면 자회사 Bharti Infratel 주식의 4.49%인 8300만주를 매각했다. 채무상환에 이용할 자금인 332억5000만루피를 조성하기 위한 목적이다. 채무를 갚고 시장점유율 경쟁을 강화할 방침이다. 자회사 주식판매는 2017년에서만 3번째이다. 채무 문제와 4G 서비스 수용을 위한 인프라시설할 재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바티에어텔(Bharti Airtel) 로고 인도 정부에 따르면 요식업의 물품서비스세(GST) 세율을 18%에서 5%로 인하했다. 소비자들은 요식업계에 대한 혜택이 적으며 발효되기 이전과 큰 변화를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외식비용이 소비자 예상과 다르게 크게 내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새액공제의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가격을 인상한 식당이 많았다. 인도 복합제약회사인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에 따르면 2017 회계연도 2분기에 순이익이 59.7%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에서의 판매약세가 주요인이다. 2017년 9월 30일 마감 기준 3개월 동안 순이익은 100억1790만루피로 감소됐다. 2016년 동기간 순수익은 248억7890만루피였다.
-
인도 국제 자산컨설팅기업인 쿠시먼&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에 따르면 2017년 1~9월 뭄바이(Mumbai) 주택판매가 300%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저렴한 주택은 30평방미터를 말하며 동기간 1만가구 이상으로 2016년 1~9월 2454가구 대비 대폭 늘어난 것이다. 국내 상위 8개 도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저렴한 주택 판매가 27% 상승했다.▲쿠시먼&웨이크필드(Cushman & Wakefield) 로고 인도 정부에 따르면 2017 회계연도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5.7%로 감소했다. 제조업의 둔화로 인해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제도 혜택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로 집계됐다. 재무장관 아룬 자이틀리(Arun Jaitley)는 국내 경제가 좀 더 급격하게 성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물품서비스세(GST)의 도입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개혁정책에 대한 대중의 지지가 있기 때문이다. 인도 시장조사업체인 RedSeer Consulting Pvt. Ltd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식품산업의 성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겨우 US$ 10억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인 알리바바(Alibaba Group)는 국내 온라인 식품업체인 BigBasket에 투자할 방침이다. 아마존이 식품사업을 확장하고 있어 플립카트가 2017년 말부터 시작하는 식품사업은 초기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
뉴질랜드 와인재배자협회(NZ Winegrowers)에 따르면 2017년 6월말 마감 기준 연간 와인수출액은 $NZ 16억6000만달러로 전년 대비 6% 증가했다. 와인 수출증가폭은 6%에 불과해 지난 20년 평균 17%에 비해서는 축소됐다. 하지만 협회는 2020년까지 20억달러 수출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뉴질랜드 와인재배자협회(NZ Winegrowers) 로고뉴질랜드 은퇴촌운영기업 Metlifecare에 따르면 2017년 6월말마감 기준 연간 순이익은 $NZ 2억5030만달러로 전년 2억2900만달러 대비 10% 증가했다. 은퇴자용 유닛, 노인 간호용 병상 등에 대한 꾸준한 수요가 마진을 확대해 순이익 창출에 기여했다. 부동산자산 및 자산 가치에 따른 이익을 제외한 기본이익은 24% 증가해 8200만달러를 기록했다.뉴질랜드 매시대학(Massey University)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농식품산업은 글로벌 산업기술이 도입될 변화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급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 농식품산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쟁점은 생물학적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 도입이 가장 필요한 부문이다.
-
뉴질랜드 매시대학(Massey University)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농식품산업은 글로벌 산업기술이 도입될 변화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변화는 점진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급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더욱 준비를 철저히 해야한다. 농식품산업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쟁점은 생물학적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이다. 이는 새로운 기술 도입이 가장 필요한 부문이다.5년 이내에 비즈니스 효율성, 지속가능성, 생물 보안성 등에 중점을 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유용한 기술로는 빅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지목된다. ▲매시대학(Massey University) 홈페이지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