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 (62)노조가 경영진과 결탁해 비윤리적인 경영을 자행하는 것은 노조 본연의 역할과 거리가 멀어
민진규 대기자
2016-09-22 오전 10:31:02
 

 

▲2012년 3월 홍콩의 ‘Occupy Central’시위장 모습(출처 : iNIS) 

◈ 노조가 경영진과 결탁해 윤리경영을 위한 내부고발을 저지하는 경우도 발생

1980년대 민주화 투쟁으로 그 지위를 인정받은 한국기업의 노동조합(이하 노조)도 문제투성이다. 대기업이나 공기업 노조를 포함해 모두 ‘귀족노조’이니 ‘패거리문화’에 예속돼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소위 말하는 ‘패거리 문화’는 노조의 이기적인 이익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경영진의 불법행위의 묵인하는 수준을 넘어 옹호 혹은 적극적으로 결탁하는 행동까지 자행한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노조의 잘못된 결속이 오히려 직원의 내부고발을 저지하는 경우가 빈발하고 있다.

노조원 내부행동강령이나 윤리규정이 윤리경영에 부합하는지 먼저 고민해야 한다. 그동안 일부 노조가 자행한 비리행위의 유형을 보면 부패정치인보다 더하면 더했지 부족하지는 않다.

직원 채용비리에 개입하고 노조간부가 협력업체를 차려 이권에 개입하는 것은 애교에 가깝다. 납품업체로부터 뇌물을 받고 비리경영진을 협박해 돈을 뜯어내는 행동은 범죄집단과 차이가 없다.

조직폭력배인지 시장 양아치인지 구분이 가지 않는 노조와 노조대표가 많았다. 가장 민주적이야 하는 노조가 가장 비민주적이고 노조원의 이익을 위해 존재해야 하는 노조가 노조간부를 위해 존재한지는 오래됐다.

한국의 노조는 투쟁을 위한 명분은 그럴듯하게 포장하지만 실제로 특정집단의 이익만을 옹호하는 ‘귀족노조’라는 비난을 듣는다.

노조대표가 자신을 뽑아준 노조원에게 무소불위의‘권력자’로 행세하고 노조 전임자는 일도 하지 않고 임금을 받는다. 전임자라고 해도 직원은 직원일 뿐이다.

노조활동이 끝났으면 현업으로 복귀해야지 전임자로 놀고 월급을 받겠다는 발상 자체가 경이롭다. 노조 집행부는 최소한으로 유지해야 하고 1명이라도 더 본업에 충실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 노조도 머리띠 두르고 투쟁하기보다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해 기업경쟁력 강화에 동참해야

노조도 초심으로 돌아가 본연의 역할을 해야 한다. 지금까지 불미스러운 모습을 보인 것은 과도기에서 겪은 시행착오라 보면 된다.

이제 노조도 직원의 권익을 보호하고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는데 일익을 담당해야 한다. 비윤리적 경영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면서 도약기로 접어 들어야 한다.

기업이 경쟁력을 잃으면 노조도 설 자리가 없으므로 기업의 핵심 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윤리경영 활동에 동참하라는 것이다.

한국의 노조도 무책임한 정치적인 투쟁에 개입하지 말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경영활동에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

급여인상이나 근로조건의 개선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기업경영이 어려우면 가장 먼저 피해를 보는 것이 직원들이기 때문이다.

노조가 기업경영에 개입하려면 기업경영에 대한 공부를 먼저 해야 한다. 기업문화의 혁신활동이나 윤리경영을 위한 감사(audit)활동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습득하지 않으면 ‘눈 뜬 장님’에 불과하다.

머리띠 두르고 농성을 하거나 큰 목소리로 경영진을 압박하는 시대는 이미 지났다. 경영진보다 더 혁신적인 사고를 통해 기업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앞장선다면 자연스럽게 노조의 권위와 노조원의 권리는 보호된다. 

– 계속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장> stmin@hotmail.com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Estimate 분류 내의 이전기사